우리 아이의 행복은 몇점일까요? 지난 어린이 날을 맞이하여 한국 방정환재단과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초·중·고등학생 6400여 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와 소속감, 외로움 등을 조사한 결과,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65.98점으로 OECD 평균보다 34점 낮았다. 또한 한국보다 한 단계 앞선 헝가리보다..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자녀와식사 식사는 단지 배고픔을 해결하는 것 만은 아닐 것입니다. 청소년들에게 질문해보면 가족과 함께 보낸 시간은 식사(그것도 가끔의 저녁정도일 뿐이지만) 할 때 뿐인 경우가 많습니다. 바쁘다는 이유로 우리는 가족으로서 함께 해야할 필요도 잊어버릴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교육과학기술..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학령전기의 부모역할 학령 전기는 보통 3-6세정도를 말합니다. 이때의 자녀들은 자신과 세상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늘어나면서 제한과 경계를 시험하므로 부모-자녀간의 갈등이 시작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부모가 해야할 역할은 1. 건강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 제공 균형있고 규칙적..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자녀를 위한 기도 자녀를 위해 기도해야 합니다. 학교가 안전하지 않습니다. 우리 동네도 범죄현장이 되고 있습니다. 너무 많은 위험과 유혹이 우리 자녀들앞에 놓여 있습니다. 정말 우리 자녀를 위해 기도해야 할 때입니다. 펀 니콜스. 닛 코보벨의 <모든 자녀에게는 기도하는 엄마가 필요하다>라는 책..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발췌- 의지를 갖고 행동하면 세상이 밝아진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10/2012041000045.html?news_Head1 조선일보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그쪽 제목은 좀 자극적이어서.. 꼭 명문대를 보내고자 하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주인공이 한 이야기가 마음에 들었습니다. "의지를 갖고 행동하면 세상이 밝아진다" 이말이 조금 인본주의적인..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학교폭력진단표 청소년 폭력예방재단이 제시하는 학교 폭력 진단표를 소개합니다. 다음 12개의 문항 중 2~3가지가 자녀에게 감지되면 학교 폭력피해를 의심해보세요 1. 비싼 옷이나 운동화 등을 자주 잃어버리거나 망가뜨리는 경우가 있습니까? 2. 몸에서 다친 상처나 멍자국을 자주 발견하게 되며, 물어..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어떻게4. 말을 더듬는 아이 말을 더듬는 아이에 대해 부모님은 아이를 나무라고 고치라고만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원인을 심리적인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1.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말을 배운 경우 2. 말하는 것에 대한 불안과 긴장, 자신감의 부족 3. 심리적 갈등- 표현하고 싶은 혹은 표현하지 못하는 ..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어떻게3. 거짓말이나 도벽이 있는 자녀 거짓말이나 훔치는 자녀 거짓말을 자주 하거나 도벽이 있는 자녀들의 행동원인으로는 1. 단순한 이해력이나 판단력이 부족한 경우 또는 사회적으로 미성숙한 경우 2. 자제력이나 충동조절의 어려움이 있을때 3. 부모의 관심과 사랑의 부족으로 인한 심리적인 결핍감과 허전함이 있는 경..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어떻게2. 학교가기 싫어하는 아이 학교가기 싫어하는 자녀들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왜 아이들이 학교를 가기 싫어할까? 그 원인을 생각해보면 1. 허용적이고 과잉 보호적인 보살핌을 받아왔던 경우 2. 애정욕구 및 관심 받으려는 욕구가 충족이 안 될 때 3. 엄마와의 분리 불안 때문에 4. 또래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
어떻게1. 자신감이 부족하고 위축된 아이 자신감이 부족하고 위축되어 있는 아이 아이들이 이렇게 되는 원인으로는 1. 실패와 좌절을 많이 경험했을 때 2. 부모의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양육태도가 있을 때 3. 지나치게 보호하고 간섭할 때 4. 조심스럽고 잔 걱정이 많은 양육태도가 있을 때 자녀들은 자라면서 적당한 실패와 좌절.. ♧강의목록1♧/부모교육.청소년.일반 201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