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에 담긴 음양의 원리 서양음악에 있어 피아노와 같이 기본적이면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우리의 악기를 들라면 "장구"라고 주저없이 내세울 수 있다. 장구는 모든 우리음악에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한다. 민속악뿐만 아니라 궁중음악과 불교음악에도 어김없이 쓰인다. 그뿐만 아니라 춤과 민속놀이에까지 장르를 가리.. ♧♪音樂♪ 오락♧/국악 2007.09.12
사물놀이의 구성 5 - 삼도 설장구/사물놀이 삼도설장구 가락은 사물놀이와는 다르나 오늘날 사물놀이패에 의해 많이 연주되고 있다. 역시 사물놀이와 같이 앉은반으로 연주되기 때문에 가락이 치밀이 변화하고 조직적이며 체계적이다. 삼도의 설장구 가락만을 모아 예술적으로 다시 엮은 것인데, 1.다스름(다스림)- 2.굿거리(풍년질굿, 풍류굿, .. ♧♪音樂♪ 오락♧/국악 2007.09.12
[동영상] 설장구 " 설장구 "란 장구수들 중에서 가장 으뜸되는 장구수를 일컫는다. 장구수들 중에서도 가장 으뜸되는 기예와 재주를 가진 설장구수가 노는 놀음놀이가 " 설장구놀이"이고 이를 그냥 " 설장구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 설장구 "라고 할 때는 ' 으뜸되는 장구수 ' 라는 의미와 ' 가장 멋들어지게 노는 장구.. ♧♪音樂♪ 오락♧/국악 2007.09.12
다드리 1 - 푸리 (장고 네대의 합주) 예전미디어/1999 다드리 1 - 장고 네 대의 합주 설장고는 서서 장고를 연주하는 "선장고"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지금은 즉흥 연주를 포함하여 장고 연주자의 기량을 과시할 수 있는 화려한 연주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다드리는 장고의 소리를 표현한 말인데 그 가운데 열편의 소리를 말한다. 푸리.. ♧♪音樂♪ 오락♧/국악 2007.09.12
장구 타법 장구 타법 장고, 장구는 가죽 타악기의 하나로 양편 머리가 크고 그 허리가 가늘다 하여 세요고라고도 한다. 이름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으나 한자로 지팡이"장"과 북"고"를 쓰면 장고가 맞고, 노루"장"과 개"구"를 쓰면 장구도 맞다. 풍물의 현장을 조사하는 가운데, 전북 진안 김봉열선생님과 강원도 .. ♧♪音樂♪ 오락♧/국악 2007.09.12
휘모리(이채)와 이채 변형가락 ♧ 휘모리(이채)와 이채 변형♧ 덩 덩 쿵 따 쿵 ① 덩 덩 따 쿵 따 쿵 (따) ② 덩 따 따 따 쿵 따 쿵 따 ③ 따 쿵 쿵 따 쿵 ④ 쿵 따 쿵 쿵 따 쿵 ⑤ 쿵(덩) 따 쿵 따 쿵 따 쿵 ⑥ 쿵 따 쿵 따 쿵 따 쿵 따 ⑦ 구궁 따 쿵 따 구궁 따 쿵 따 ⑧ 따 쿵 따 쿵 따 쿵 ⑨ 덩 더 더 쿵 따 쿵 ⑩ 더 더 덩 (따) 쿵 따 쿵 표 1 .. ♧♪音樂♪ 오락♧/국악 2007.09.12
[동영상] 인사굿 (출처 - 강릉관노가면극) 인사굿은 행진가락에 맞추어 들어와 우로 한바퀴 돈 다음에 원을 그리고 쇠가락에 맞추어 밖을 향하여 절을 하는 장단입니다. ♧♪音樂♪ 오락♧/국악 2007.09.12
[동영상] 삼채/땅도땅도내땅이요조선땅도내땅이다.. 삼채는 어느 고장이나 흔히 사용되는 쇠가락으로 3분박 좀빠른 4박자 8분의 12박자입니다. 구음사설은 “땅도 땅도 내땅이오 조선땅도 내땅이오”라고 입으로 외우면서 장단을 치면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출처;강릉관노가면극] ♧♪音樂♪ 오락♧/국악 2007.09.12
[동영상] 굿거리 2 굿거리는 가장 보편적인 국악장단으로 주로 춤을 출 때 사용되며 3분박의 느린 4박자로서 구성지고 흥겨운 느낌을 줍니다. ♧♪音樂♪ 오락♧/국악 2007.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