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 관계 자료 목록
민족굿회 ,<민족과 굿> ,학민글방 ,1987.
신용하 편,<공동체 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5.
심우성 ,<남사당패 연구>,동화출판공사,1974.
연성수,< 공동체 놀이>,동녘,1987.
정병호,<농악>,열화당,1986.
주강현.이보형 외.<노동과 굿>,학민사,1989.
강릉농악보존회,<강릉 농악-강릉 농악 학교교재>,원영사,1992.7.20.
강릉농악보존회,<강릉 농악-강릉 농악 학교교재>,자인당연구소,1990.12.31.
국립국악원,<중등교사 국악연수교재>,세신문화사,1991.12.30.
굿 연구소 ,<굿>제6호.
권희덕,<농악,선예굿,악기놀이>,후반기 출판사,1981.7.
김우현,<농악 교본>,세광음악출판사,1984.
김원호,<풍물굿 연구>,학민사,1999.
김헌선,<사물놀이란 무엇인가>,귀인사,1988.
김헌선,<풍물굿에서 사물놀이까지>,귀인사,1991.6.18.
김헌선,<김헌선의 사물놀이 이야기>(사물놀이란 무엇인가의 증보판),풀빛,1995.
김헌선,<김용배의 삶과 예술>풀빛,1999.
노동자문화예술연합 풍물 춤패 깃발,<풍물교실>,민맥,1991.7.8.
봉천놀이마당,<민속교육자료집>,우리교육,1994.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전통음악교실>,1991.11.1.
심우성,<남사당패 연구>,동문선,1989.
윤병하(석운),<한국 무악고>,동학당,1979.
장사훈,<한국전통음악연구(장구 장단법),보진재,1975.8.3.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문화국,<1993전국 문화부 매체별 활동가 연수>,1993.1.
정병호,<농악>,열화당,1986.
최종민,<전통문화(농악의 지역별 특성)>,1984.12.
풍물패 터울림,<문화전선 1>,1989.1.28.
한국전통예술연구보존회,<사물놀이 1>,삼호 출판사,1990.8.
호남 좌도 풍물판굿 발표회 실무팀(양진성,오광열,안병탁 외),호남 좌도 풍물굿 자료 집.
황용주,김동원,박상운,<전통문화활동>,한국청소년연구원,1992.12.25.
논문
김성희,<노동자 풍물패 활동의 일보전진을 위하여>
<노동자 문화통신>3호,새길,1991.
김영희,<풍물 운동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하여>
<노동자 문화통신>창간호,새길,1990.9.
김인우,<풍물굿과 공동체적 신명>,<민족과 굿>학민글밭,1987.
<풍물 운동에 대한 긴급한 문제제기>,<민족예술>5호, 민예총,1991.2.
김정업,<농악의 기원과 변천>,<새전남>43, 1972.
노광일,<풍물의 새로운 이해>,<문화운동론>,공동체,1985.
문학사상사(편),<위대한 유산 7 :농악 속의 한국인>, <문학사상>,1978,9.
이보형,<쇳가락의 충동과 그 다양성>
<농악의 용어 해설>
신용하,<두레 공동체와 농악의 사회사>,<한국 사회 연구> 제2집,한길사 1984.
이보형,<길굿(길군악)과 채굿>,<민속음악>제5호,1984.
<농악가락의 충동성>,<문학사상>,1978.9.
<마을굿과 두레굿의 의식구성>,<노동과 굿>,학민사,1989.
<농악의 채에 대한 음악적 고찰>,<한국 민속학>,민속학회,1981.
<풍물>,<샘터>,샘터사, 1974,7.
인정식,<두레와 호미씻이>,<노동과 굿>,학민사, 1989.
정병호,<농악의 예술적 특성>,<창론>3집 ,중앙대학 극예술연구소,1983.
<농악 예능의 상징성과 의미에 관한 일고찰>,<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 논문집>,민족학회 편,1986.
정병호.박진주,<밀양백중놀이>,<무형문화재지정 조사보고서>제 138호, 문화재관리 국,1980.
조경만,<농업노동형태의 생태경제적 맥락>,<역사속의 민중과 민속>, 이론과실 천,1990.
주강현,<두레공동 노동의 사적 검토와 생산문화>,<노동과 굿>,학민사,1989.
<마을 공동체와 마을굿.두레굿 연구>,<민족과 굿>,학민글밭,1987.
현장보고,<농촌두레활동보고서>,<공동체 문화>제2집,1984.
신문,학보
황루시,<마을굿의 현장>,<연세춘추>, 1983.10.24.
황선진,<생활문화 예술로서의 풍물의 기능>,<연세춘추>,1983.11.21.
김병연,<마당굿의 역사적 전개>,<서강학보>,1984.11.6.
김준용,<새해를 펼치는 풍물마당>,<서울여대학보>,1986.1.6.
신경욱,<오늘의 전통문화-풍물굿>,<고대신문>,1985.3.25.
장이환,<굿의 현대사적 인식>,<외대학보>,1985.9.17.
정이담,<놀이,연희에서 의식으로-거리굿에 대하여>,<이대학보>,1984.10.1.
황루시,<굿 연구의 실례와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이대학보>,198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