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채
두 속으로 치기 때문에 가장 다양한 소리를 내 어깨춤이 절로 나게 만든다. 분위기를 흐드러지게 하고 풍성하게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악기이며, 민요나 춤 장단을 칠 때는 궁편을 손으로 치기도 한다. 장구를 메는 방법도 지역이나 사람마다 다르고, 그 나름의 맛을 제각기 갖고 있다. ① 통 ② 가죽 ③ 채 그 외에도 장구는 되도록 악기 가방에 넣어 보관한다. 또, 가죽이 찢어지는 가장 많은 경우는, 가죽이 오래 되어 낡았다거나 잘못 쳐서 찢어지는 경우보다는 방금 구입하여 쨍쨍한 가죽을 바로 칠 때 찢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 악기구입은 되도록 공연 일주일이나 보름 전에 구입해 연습으로 길을 들여 공연을 하는 것이 좋으며, 장구를 바로 샀을 경우에는 부전을 조이지 않고 물이나 막걸리를 먹여 조금씩, 꾸준히 두들겨서 길을 들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악기는 (특히 장구, 북 등의 가죽악기)는 숨을 쉰다. 대지와 함께 숨을 쉬는 사람이 날씨나 몸상태에 따라 건강관리를 하듯이, 무엇보다 악기도 날씨와 쓰임에 따라 상태를 잘 조절해 주는 것이 중요한 관리법인 것이다. ① 수리용품 ② 금이 간 통 ③ 찢겨진 가죽 ④ 늘어진 가죽 이러한 여러 수리법 중에 가장 중요한 점은 악기가 조금 파손되었을 때 바로 수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금 파손된 악기를 그대로 방치하여 계속 사용하다 보면, 수리가 불가능해질 정도로 악기가 파손되기 때문이다. |
|
'♧♪音樂♪ 오락♧ >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물북 치는법 (0) | 2007.09.04 |
---|---|
풍물이란 오늘날에는 농악으로 .. (0) | 2007.09.04 |
서양음악에 있어 피아노와 같이 기본적이면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우리의 악기를 들라면 "장구"라고 주저없이 내세울 수 있다. 장구는 모든 우리음악에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한다. (0) | 2007.09.04 |
♣ 쿵 치는법 - 장구장단치는법[출처;표선중학교] ♣ (0) | 2007.09.04 |
♣ 덕(따)치는법 - 장구장단치는법[출처;표선중학교] ♣ (0) | 2007.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