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音樂♪ 오락♧/국악

판굿에 대하여

花受紛-동아줄 2007. 9. 4. 23:11

판굿에 대하여

판제와 가름새

보통 풍물굿에는 "판제"와 "가름새"가 존재한다. 한 굿의 판제는 다른 지역의 굿과 판제가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지역의 굿의 판제와도 갈라지는 부분이 명확해서 가름새라 지칭되기도 한다. 풍물굿의 온전성 여부는 판제와 가름새가 어떠한가에 따라서 판별된다. 그래서 이들이 분명하게 쓰인 경우를 보면 우선 순서가 명확하고 용례 또한 흐트러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판굿의 한틀은 "겉바탕굿"과 "안바탕굿"으로 구성된다. 겉바탕굿(채굿, 호허굿)은 치배들의 역량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상쇠, 설장고, 대포수가 쉬는 반면에 안바탕굿(풍류굿에서 탈머리까지)은 주로 놀이와 상쇠의 판제력에 힘입고, 가름새에 대한 식견이 있어야 하므로 반드시 참여하여야 한다.(범례 : 좌도굿)

● 가락

"가락은 모든 예능행위의 기본으로 흥과 신명을 불러일으키는 기능을 가지며, "분박", "채", "마치", "장단", "리듬"으로도 일컫는다."

○ 가락의 특성

풍물가락의 특성은 개별이 전체화되어 하나를 이루는 것으로 사물악기와 태평소 등이 박자와 강약, 고저완급의 조립을 통해 통일된 리듬음악으로서의 조화를 이루는 것 없이 춤을 추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풍물춤은 풍물굿판에서 자연스럽게 신명을 돋우어 주는 역할을 한다.
전통 풍물굿에서 치배들의 움직임을 보면 그 몸짓이 아주 자연스럽다. 그러나, 이들 춤 중에서도 가장 보편화되어 있고 예술성을 짙게 나타내는 춤은 쇠꾼이 추는 부포놀이춤과 발림춤, 장고잽이들이 추는 설장고춤, 무동들의 긴춤과 잡색들이 추는 허튼춤 등을 들 수가 있다. 풍물춤은 노는 형태에 따라 윗놀이춤과 밑놀이춤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윗놀이춤은 상모놀이를 위주로 한 춤이고, 밑놀이춤은 손짓과 발짓을 다양하게 움직이는 춤이다.

두레굿과 마을굿

1. 두레굿 : 농번기의 두레굿은 김매기 때 그 성격이 잘 나타나며 놀이는 "일터로 출발→일터에서→일터 이동시→일터에서 돌아올 때"의 순으로 진행된다. 그 중에서 일과 놀이가 긴밀히 결합된 예로 모방고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논에서 일을 할 때 풍물굿과 노래를 함께 함으로써 능률을 높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풍물굿은 또한 단오(음 5.5), 백중(음 7.15), 추석(음 8.15)에도 쓰였으며, 특히 백중에 쓰이는 풍물굿은 한 해의 농사를 마감하며 풍농을 기원하는 뜻에서 마련되는 것이기에 "두레굿 최고의 날"로 농민들에게는 최대의 축제가 된다.
2. 마을굿 : 마을굿은 농한기, 그리고 농번기에서 농한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집중된다. 대표적인 것으로 섣달 그믐날 밤부터 정월 대보름까지의 마을굿을 들 수 있는데, 이 때 행해지는 지신밟기, 줄다리기 등의 여러 가지 놀이에는 당시 농민들의 세계관이 잘 드러난다.

● 도움받는 자료
○ <풍물교실>, 풍물춤패 "깃발", 민맥, 1991
○ <풍물굿에서 사물놀이까지>, 김헌선, 귀인사, 1991

'♧♪音樂♪ 오락♧ >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물의 왕은 징이다!!  (0) 2007.09.04
풍물굿의 구성  (0) 2007.09.04
가락의획일화현상을경계한다 펌  (0) 2007.09.04
호남좌도 필봉굿의 유래  (0) 2007.09.04
좋은 음악가가 되려면…  (0) 200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