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핍욕구--------------------
1.생리학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2.안전에의 욕구( Safety Needs )
3.애정과소속감의 욕구( Belongingness & Love Needs )
4.존경의 욕구 ( Esteem Needs )
-------------존재욕구---------------------------
5.인지적욕구 ( Need to Know & Understand )
6.심미적 욕구 ( Aesthetic Needs )
7.자아실현의 욕구 ( Self-Actualization )
8.초월의 욕구 ( Transcendence )
그가 말한 욕구에는 먹고 자는 것과 같은 생물학적 욕구와, 안전의 욕구, 사랑및 소속감의 욕구,자존의 욕구, 진리추구의 욕구, 탐미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가 있다.
생물학적 욕구부터 자아실현 욕구까지는 위계관계가 있으며 전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이중 아래 생리적 욕구에서부터 자존의 욕구까지는 결핍욕구이다.
이 욕구는 말 그대로 "결핍"(deficiency)에 의해 생겨나며 본인보다는 남에 의해 충족되어야 한다.
결핍 상태는 불쾌한 긴장을 유발하고, 충족 상태는 긴장을 감소시키고 만족을 가져온다.
결핍 상태가 너무 오래 가거나 극단적이면 몸과 마음에 병이 든다.
헌데 결핍상태가 막상 채워진다고 해서 건강해지는 것도 아니다.
결핍욕구를 제외한 상단의 욕구들은 존재욕구이다.
이 욕구는 긴장감소보다는 긴장 증가를 추구한다. 이 긴장은 즐거운 긴장(pleasure tension)이다.
낮은 욕구의 충족은 낮은 기쁨, 만족과 현상유지, 질병 없는 상태를 가져오지만,
높은 욕구의 충족은 높은 기쁨, 행복과 성장, 긍정적 건강을 가져온다.
'♧전공,필,선♧ > 社會福祉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단일사례. 인과관계 추론과 집단설계 (0) | 2011.05.15 |
---|---|
단일사례조사설계 (0) | 2011.05.15 |
8차 교육과정은 아직 확정되지도 않았습니다. (0) | 2011.05.08 |
교육과정 변천사 (0) | 2011.05.08 |
사회복지조사론 과목의 상세 목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0) | 201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