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목록1♧/미술.애니어.도형

[스크랩] 미술치료 기법 2

花受紛-동아줄 2010. 11. 26. 21:44

미술치료의 몇 가지 기법들

 

 

  예술치료는 심리치료의 한 기법으로서 활용되며 그 가운데서 미술치료는 그림

이나 조소, 디자인의 기법, 서예 등을 통한 심리상담 및 치료를 하게 된다. 특히 미술치료는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황이 많아 진단과 치료를 융통성 있게 활용해야 한다.

 

  1) 자유화법 : 제재나 방법을 내담자 스스로 결정하여 그리게 한다. 색채,

     선, 공간, 내용 등을 분석할 수 있다.

  2) 과제화법 : 인물, 가족, 친구, 집, 나무, 산 등의 과제를 미리 주고 내담

     자가 상상화를 그리게 한다. 이상행동에 대한 내면의 욕구와 그 욕구를 저

     지하는 압력을 잘 알 수 있다.

  3) 묘사화법 : 어떤 그림을 내담자에게 제시하고 그것을 똑같이 그리게 하는

     방법이다. BGT검사와 비슷하며 눈과 손의 협응력, 뇌손상 문제, 정서적 문

     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4) 협동화법 : 가족이나 내담자들이 소집단을 이루어 한 장의 종이에 협동해

     서 그림을 그리게 하는 방법이다. 집단치료에 유용하며 자발성의 정도, 경

     험의 표출, 협동성, 그리는 위치와 내용, 그림 순서, 주의력 등을 관찰하

     여 분석한다.

  5) 나무그림 그리기법 : 진단에 많이 이용되며, 열매가 달린 나무를 한 그루

     그리도록 지시한다. 나무는 내담자의 질병상태를 잘 발견할 수 있게 한다.

  6) 집, 나무, 사람 검사(HTP) : 진단도구로 많이 사용되며, 사전사후검사에도

     유용하다. 4장의 종이에 집(house), 나무(tree), 사람(person)의 남, 여를

     그리게 한다. HTP는 저항이 적으며 동일환자의 그림을 배열했을 때 질병의

     경과를 잘 파악할 수 있다.

  7) 인물화 검사(DAP) : 인물화에 의한 성격검사로 많이 사용되며, 전산상의

     남녀를 따로 받는다. 자유화에 비해서 저항이 적다.

  8) 가족화와 동적가족화 : 가족을 그리게 하여 가족의 체계나 내담자의 가족

     지각을 파악한다. 가족화와 동적가족화는 지시가 다르며, 후자가 더 역동

     성 파악에 좋다.

  9) 학교생활화 또는 친구화 : 학교생활화는 학교의 친구와 선생님을 포함해서

     그림을 그리게 하여 내담자의 학교생활을 분석한다.

  10) 그림완성법 : 소정의 용지에 기호가 그려져 있는 8개의 정방형을 제시하

     고 그 기호를 사용해서 그림을 완성하게 하는 방법이다. 유아나 성인, 정

     상적인 사람, 정신질환자 등에게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그린 순서를 적고,

     무엇을 그렸는가를 해석하게 한다. 이는 환자의 거부감이나 저항, 공포

     를 제거할 수 있다.

  11) 콜라주기법 :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미술치료 기법이다. 거부의 감

     소, 분노의 표출, 희망에 대한 상징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표현이

     쉽고 그리는 것보다 정확한 감정전달이 쉬우나 선택할 수 있는 사진 매체

     가 많아야 한다. 자기 감정을 나타내기, 가족이나 친구에게 말하고 싶은

     것, 선물 주고받고 싶은 것, 타인에 대한 느낌 표현, 문제의 예방 및 대책

     방법 등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12) 역할교환법 : 채색이나 콜라주, 난화, 그림 그리기 등에서 내담자와 치료

     자가 서로 번갈아 가며 작품을 제작한다. 레포 형성이나 거부감 감소, 흥

     미 유발 및 촉진 등에 효과적이다.

  13) 색채 선택법 : 내담자가 좋아하는 색을 선택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이다.

  14) 풍경구성법 : 도화지에 “산, 내, 밭, 길, 집, 나무, 꽃, 동물, 돌, 만족

     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을 차례로 그려 넣게 하고 하나의 풍경이 되도

     록 채색하게 한 다음 그것에 대해서 계절, 시각, 기후, 내의 흐르는 방향,

     사람과 집, 밭 등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치료 가능성의 평가와 문

     제점의 추측과 관찰이 풍경구성법에 유용하다.

출처 : 도형분석상담연구소
글쓴이 : 이른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