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아의 미술지도를 위한 방법
1) 아동 관찰 : 정신지체아 미술교육에 있어서 첫 단계는 아동을 분석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기록하는 일이다. 이 단계에서 장애의 정도, 개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특징, 생활
습관, 경험의 범위 등을 교사는 구체적으로 관찰, 분석하여 지도계획을 짜야 한다.
2) 조화의 확립 : 관찰이 끝나면 교사 자신을 그 정신지체아의 입장에 조화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교사 자신이 지도 대상 아동의 특성에 그 감정을 이입시켜 상호조화를 이루지
않고는 그들의 입장에서 교육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3) 미술 매개체와의 친숙 : 미술 매개체와의 친숙은 창조활동의 일부분이다. 미술 재료
및 용구 사용법도 사전에 익혀둘 필요가 있다.
4) 창조 과정에 대한 관계 확립 : 창조 과정과 대상자간의 관계 확립은 장애종류와 정도
에 크게 관련된다. 감정적으로 폐쇄된 아동은 그 앞에 제시된 여러 용구들을 극복함에 있
어서 어려움을 겪는다. 그것은 바로 그 자신과 외부 세계 내에서의 융통성 있는 관계를
확립하는데 있어 무능력하기 때문이다.
5) 자신감 부여 : 교사와 아동 모두에게 자신감이 선행되어야 한다. 교사 역시 미술에 소
질이 없다거나 전공하지 않았다는 이유 등으로 방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이다.
미술교육은 가르치는 敎보다는 이끌어주고 육성하는 育에 비중이 더 높다는 사실을 인정
하고 주입식 시범수업보다는 열등감을 제거하고 의욕을 북돋아 줄 뿐 아니라 억압대신
해방감을 심어 주기 위한 적절한 칭찬을 잘 하여야 한다.
6) 동기 유발 : 표현 의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기능면보다는 심상면을 더 중요시해야
한다. 정신지체아의 미술활동은 놀이의 일종이기 때문에 미술의 소재나 내용 등을 이야
기 식으로 설명하여 흥미를 갖도록 해야 하며, 도입 단계에는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7) 경험 확대 : 미술표현은 과거의 경험이 상상력과 창조성을 높여주므로, 경험의 기회를
확대해 줄 필요가 있다. 사물에 대한 관찰, 견학, 체감의 느낌 등 다양한 경험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8) 재료의 변화 : 미술재료의 사용방법 못지 않게 다양한 재료의 변화를 주어서 새로운
경험과 흥미를 갖게 해야 한다. 종이의 크기, 색화지, 사인펜, 젓가락으로 그리기, 스펀
지로 찍기 등 미술도구의 변화를 주어야 한다. 또한 생활주변의 폐품을 이용하여 창작놀
이가 즐겁도록 하여야 하며 야채 공예 등은 먹는 것만이 아니라 약간의 변화를 줌으로써
훌륭한 창작품이 된다는 것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강의목록1♧ > 미술.애니어.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신을 발견하는 미술치료기법 (0) | 2010.11.26 |
---|---|
[스크랩] 미술치료 기법 2 (0) | 2010.11.26 |
[스크랩] 고장난 마음, 그림으로 고쳐요 (0) | 2010.11.26 |
[스크랩] 색을 통해 아이의 성격고치기 (0) | 2010.11.26 |
[스크랩] <여자아이가 좋아하는 색, 남자아이가 좋아하는 색> (0) | 2010.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