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목록1♧/미술.애니어.도형

[스크랩] 멀티테라피 색채치료의 원리

花受紛-동아줄 2010. 11. 26. 21:13

멀티테라피 색채심리치료란

 

색채심리치료란 색의 에너지와 성질을 이용해 심리치료와 의학에 활용하는 요법이다.
색채는 심리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신체활동이나 질병의 경과에도 많은 변화를 일으킨다. 고유한 파장의 색채가 주는 영향을 치료에 활용하는 것이 컬러테라피이다.
색채가 가진 일정한 물리적 파동과 시각적 자극을 통해 중추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심리적 안정감을 취하게 하고 오장육부의 밸런스를 바로잡아 주는 것이다.

중국 문화에 있어서 색이라는 것은 5천년 이상 전에 만들어진 음양오행의 우주관에서는 대단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음양사상은 혼돈의 우주'태극'에서 음과 양의 2대 원소가 분리되며,
더욱이 목, 화, 토, 금, 수의 요소를 정해 오행으로 했다.
그리고 오색, 오방, 오시, 오감, 오장, 오승 등 혹성에서 인체까지
하나로 연결된 우주로 보며, 삼라만상을 대응시켜 생활의 지혜로 삼았던 것이다.

더불어 목, 화, 토,금, 수에 대응하는 오색은 청, 적, 황,백, 흑이다.
더욱이 오방은 동, 남, 중앙, 서, 북이며, 오시는 봄, 여름, 토용(土用):
[입하와 입추 사이의 18일간], 가을, 겨울을 말하고 오장은 간장, 심장,
비장, 폐, 신장에 대응한다. 중국 역대 황제의 상징적 색깔이 노랑색인 것도,
세계의 중심을 나타내는 색이기 때문이다. 이 우주관은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각국에 전해졌다.
한국에선 현재에도 국기의 디자인에 음양을 상징하는 색과 오행을 의미하는
표징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색이 가진 치료 효과와 관련해서 말한다면 환자의 피부색으로 진단을 하는
한방(韓方)치료에서 오색의 의미는 진단 기준이 되며, 치료 방법으로도 색이 지침이 되는 것이다.

 

* 대장금에서도 두창에 걸린 환자의 습포의 색을 보고 진단한 바 있는데
습포의 색이 흰색을 띠면 폐장의 기운이 약한 상태이고 청색을 띠면 간장이,
검은빛을 띠면 신장이 안 좋은 것이라 진단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색과 오장육부의 관계를 살펴 보면 왜 근심이 많아지면 검은색 옷을 입게 되는지,
흥분을 하거나 기쁨이 넘치면 빨간색을 찾게 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색과 오장육부의 관계-

구분

푸른 색

빨간 색

노란색

흰색

검은색

계절

여름

가을

겨울

장부

간담

심소장

비위장

폐대장

신방광

감정

성냄

기쁨,흥분

욕심,의지

우울함,슬픔

미움,놀램



컬러테라피의 목적

수많은 컬러 중에서 각자에게 잘 맞는 컬러를 찾아내고 이용함으로써 심신의 균형과 조화를 찾아내는 것이 컬러테라피의 목적이다.


컬러테라피의 효과

1. 컬러가 가진 에너지를 이용하여 각자 체질과 상태에 맞는 컬러를 찾는다
2. 심리상담 효과
3. 심리적 안정감, 집중력 강화 효과
4. 신체 밸런스 조율, 유지
5. 나에게 필요한 색과 어울리지 않는 색을 찾는다
6. 컬러감각을 향상시켜 감각적인 안목을 키워준다
7. 생산능률, 학습능률의 향상

컬러테라피의 일곱가지 황금법칙

1. 색을 주관하는 것은 빛이다.
2. 색마다 에너지 작용이 다르다
3. 색채치료사와 환자, 색채환경의 삼위일체가 중요하다
4. 순수한 색일수록 에너지 작용이 강하다
5. 대상에 따라 색채배색을 조절해야 한다
6. 색채치료를 받으면 명현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다.
7. 색은 3가지 이상 사용한다.

컬러테라피의 주의점

1. 눈을 자극시켜 시선집중효과를 가져오도록 한다.
2. 비위를 주관하는 土의 기운을 항상 함께 보아 중심으로 잡아 준 다음, 보색과 색상 대비 등으로 색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
3. 치료사와 환자의 관계가 상극관계일 경우에는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4. 빛의 양과 주변환경에 따라 같은 색이라도 다른 느낌을 줄 수 있다.
5. 색에 대한 선입견을 버려야 한다. 같은 색이라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른 명도와 채도로 나타난다.

출처 : 도형분석상담연구소
글쓴이 : 이른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