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문이란 불타의 정토(淨土)를 상징한 화문(花紋)인데요.
삼국시대로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일반인에게 많은 사랑을 받으며
즐겨 쓰여 왔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불교적 의미보다는 연꽃의 고귀한 생태에서 비롯된
부귀를 상징하는 길상적(吉祥的) 의미를 지니게 되었는데요.
< ↑ 고구려 시대의 연화문 >
진흙 속에서 피지만 그것에 물들지 않고 청향(淸香)을 내뿜는 연꽃의 생태에서 군자의 기풍을 느껴 특히 선비들이
즐겨 사용하였다고 하네요.
아래 사진은 여러가지 연화문의 무늬입니다.
|
----------------------------------------------------------------------------------------
연꽃 문양은 사찰 장식 문양 가운데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연꽃이 불교의 내밀內密한 종교적 ? 신앙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과 동시에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기 때문일 것이다.
|
'♧강의목록1♧ > 미술.애니어.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의 주름은 흉측해도 영롱해도 다 아름답다 (0) | 2010.02.15 |
---|---|
겨울 만다라 / 임영조 (0) | 2010.02.15 |
만다라 (0) | 2010.02.15 |
애니어그램: 9가지 유형의 주요 특성 (0) | 2010.02.11 |
미술치료의 실제 (0) | 2010.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