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필,선♧/哲學.心理學

해리장애

花受紛-동아줄 2009. 2. 9. 22:32

해리장애


Ⅰ해리성 기억상실

이는 과거 심인성 기억상실이라고 불리던 장애로서 ICD-10과 DSM-Ⅳ에서 심인성이 해리성으로 바뀌었다. 이는 이미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에게 중요한 정보를 갑자기 회생시키지 못하는 장애이다. 단순한 건망증으로 설명할 수 없는 상태이며 뇌기능장애 때문이 아니다. 어떤 특정한 사건과 관련되어, 심적 자극을 준 부분을 선택적으로, 혹은 사건 전체를 기억 못하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지속적인 과거생활을 포함한 전생애나 그 중 일정기간에 대한 기억상실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능력은 남아 있다.


Ⅱ. 해리성 둔주

자신의 과거나 자기 신분이나 주체성에 대한 기억을 상실하여 가정 및 직장을 떠나 방황하거나 예정 없는 여행을 하게 되는 장애이다. 환자는 다른 곳에서 새로운 신분이나 직업을 갖기도 한다.


Ⅲ. 이인성 장애

이는 자기 자신이 변화했다는 이인증 또는 외부세계가 달라졌다는 비현실감을 호소하는 등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지각의 변화로서 현실감각이 일시적으로 상실되는 장애이다. 환자는 이 증상에 자아비동조적이어서 고통을 느낀다. 현실검증능력은 정상적이다. ICD-10에서는 이를 이인증-비현실감 증후군이라하여 기타 신경증적 장애에 포함시키고 있다.


Ⅳ. 기타 해리장애

1. 갠서 증후군

1898년 독일의 Sigbert J. M. Ganser가 기술한 증후군이다. 이는 의도적으로 정신과적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에 "요점을 벗어난 대화" 또는 "근사한 대답"으로 언급되던 장애이다. 다소의 의식혼탁 상태에서 질문의 의미를 알면서도 유사한 대답을 적당히 한다(예: 4×5는 ? 했을 때 21이라고 대답한다). 환자는 누군가 자신을 보고있다고 생각할 때 증상악화를 보인다. 전환증상과 환각을 보이기도 한다. 고전적으로 재판중에 있는 죄수에서 흔히 발견된다. 정신분열증, 우울증, 중독상태, 진행마비, 기타 알코올중독, 인위성 장애 때도 흔히 본다. 기억상실, 둔주, 전환장애, 지각장애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남자에 많다. 원인은 대체로 인격장애이다. 꾀병과 감별하기 어렵다. 갑자기 회복한다. 그러나 당시의 기억상실을 주장한다.

2. 해리성 황홀경

의식의 변화된 상태로서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반응이 감소된 상태이다. ICD-10에서는 황홀경과 빙의장애라고 명명하고 있다. 이때 환자는 개인적 정체성과 주위에 대한 충분한 인지능력을 모두 일시적으로 상실한다. 또한 환자는 다른 인격, 영혼, 신, 또는 '힘'에 사로잡힌 듯이 행동한다. 주의력과 인지능력은 인접한 환경의 오직 한두 측면에 국한되거나 집중되고, 반복되는 일련의 행동, 자세 및 발성을 볼 수 있다. 기타 종교적 엑스터시, 신비주의적 경험, 귀신들림 또는 빙의, 영매 또는 무당의 신이 내린 상태, 환각제 중독상태, 어린이가 학대당한 후 등에서 나타난다.주의집중을 강하게 할 때 나타나는 환각, 마비, 감각장애 등 무의식적 반복행동 등도 이에 해당한다.

3. 해리성 혼미

ICD-10의 진단명으로 환자의 행태는 혼미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킨다. 그러나 진찰 및 검사 결과 신체적 원인의 증거를 찾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다른 해리성 장애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스가 심했던 최근의 사건, 혹은 현저한 대인관계의 문제나 사회적 문제 등의 심리적 원인들이 발견된다. 혼미는 수의적 운동이 없고, 빛, 소리, 신체접촉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 소실된 상태이다. 환자는 장시간 꼼짝 않고 누워 있거나 앉아 있다. 말하기나 의도적인 동작도 거의 없다. 어느정도의 의식장애가 있을 수 있지만 근육 긴장도, 자세, 호흡, 때로는 눈을 뜨거나 조정된 안구운동으로 미루어 환자가 잠들었거나 의식상실이 되어 있지 않음이 분명하다.

4. 해리상태

강한 강제적 설득시에 여러 수준의 해리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뇌, 사고개조, 테러리스트에 포로로 사로잡혔을 때, 광신적 종교의식, 납치된 사람이 강요받을 때 등 해리상태가 나타난다. 나치스 집단수용소 포로들에서도 볼수 있었다. 몽유병도 유사해리상태이다. (DSM-Ⅲ-R에서 몽유병은 수면장애로 분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