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수술.치료♧/☎음식.운동

[스크랩] 허리,?,허벅지 통증 테이핑

花受紛-동아줄 2009. 1. 30. 00:56
테이핑요법 - 허리를 옆으로 돌리면 반대편 옆구리에 통증이 올때


허리를 옆으로 돌릴때 반대편 옆구리에 통증이 오는 경우는 내복사근을 검사해 본다. 내복사근은 외복사근과 같은 부위에 위치하나 근육의 방향이 반대로 놓여 있으며 척추의 회전을 보조한다.

1. 통증부위 검사 방법
환자는 70도 정도로 허리를 구부리고 앉아 팔짱을 낀 후 상체를 회전시킨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 환자의 다리를 고정시키고 다른 손으로는 환자의 어깨를 잡고 회전이 안 되도록 힘을 가한다. 환자가 오른 쪽으로 회전시킬때는 좌측의 내복사근과 우측의 외복사근이 함께 작용한다. 따라서 오른쪽으로 회전시켰을 때 왼쪽 옆구리가 아프다면 왼쪽 내복사근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그 근육에 테이프를 붙인다. (사진은 환자가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때의 자세)

2. 테이프의 형태

    폭 5cm, 길이 15cm, I자형 테이프


3. 붙이는 방법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들게 하고 테이프의 한쪽 끝을 고관절 위에 고정시킨다.

상체를 테이프를 고정시킨 반대쪽으로 틀면서 사선방향으로 명치부위까지 테이프를 붙인다.


4. 완성형태
요방근형의 이상시에도 허리 뒷쪽에서 옆쪽 및 골반쪽으로 통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내복사근 테이핑에 요방형근 테이핑을 추가할 수 있다.


허리 전체가 뻐근하게 아픈 것이 엉덩이 뒤쪽과 옆으로 이어지고 특히 보행시에 심해진다면 중둔근과 소둔근을 검사해 본다, 임신 말기에 나타나는 요통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의자에 깊숙이 앉아 있을수가 없으며 걸을 때 심한 통증을 느낀다. 이 근육에 마비가 오면 걸을 때 심한 지장을 느낀다. 허리를 의자에 대지 않고 앉는 사람, 항상 서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중둔근은 엉덩이의 옆을 대부분 차지하는 근육으로 걸을 때 움직이는 다리쪽으로 골반이 기울어지는 것을 막는다.

1. 통증부위 검사 방법
환자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들어올린다, 검사자는 한손으로 환자의 골반을 누르고 다른 손으로는 환자의 무릎에 대고 아래 쪽으로 힘을 가하고 환자는 이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힘을 준다. 이때 환자가 통증을 느끼거나 힘이 약하면 중둔근에 테이프 를 붙인다.

2. 테이프의 형태

   5cm, 길이 20cm, Y자형 테이프


3. 붙이는 방법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들어올린다, 허벅지 바깥쪽에 Y자의 아랫부분을 고정시킨다.

근육이 최대한 늘어나도록 다리를 구부려 앞으로 내민다. 한쪽 끝은 엉덩이 위로 타원형을 그리며 붙인다.

테이프의 다른 한쪽 끝은 구부린 다리를 뒤로 보낸 상태에서 엉덩이 위를 따라 붙인다.


4. 완성형태
중둔근은 보행시 골반의 균형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행은 우리가 가장 많이 반복하는 행동인 만큼 중둔근에 이상이 있으면 빨리 치료하는 것이 다른 질환을 예방하는 길이다. 중둔근은 비교적 근육이 넓어 테이핑 치료의 효과가 좋은 편이다.

 


허리를 숙이거나 무릎을 펴려 할 때 허벅지 뒤쪽이 당기고 통증이 오면 슬괵근을 검사해 본다. 통증은 대개 걸을 때 허벅지 뒤쪽에서 생기며 장딴지 쪽으로 확산되기도 한다. 통증으로 이 근육에 부담을 주지 않고 걷게 되면 고관절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다리를 절름거리게 된다. 슬괵근이 단축되면 윗몸 앞으로 굽히기를 했을 때 손이 바닥에 닿지 않으며 척추가 앞으로 많이 휜 사람들은 슬괵근이 단축된 경우가 많다. 슬괵근은 허벅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근육으로 무릎을 구부리고 고관절을 신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1. 통증부위 검사 방법
환자는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린다. 검사자는 한 손은 환자의 엉덩이를 고정시키고 다른 손은 환자의 발목을 잡아 무릎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힘을 준다. 환자는 이 힘에 저항한다. 이때 환자가 허벅지 뒤쪽에 통증을 느끼면 슬괵근에 테이프를 붙인다.


2. 테이프의 형태

  폭 5cm, 길이 40cm, Y자형 테이프


3. 붙이는 방법

똑바로 엎드려 눕게 한 후 Y자의 아랫부분을 허벅지가 시작되는 부위의 중앙에 고정시킨다.

근육을 늘이기 위해 다리를 테이블에서 떨어뜨린다. 오금 부위의 조금 위에서 Y자의 윗부분을 양쪽으로 갈라서 붙인다.


4. 완성형태
옷벗기가 불편한 경우 테이프를 조금 내려서 붙여도 된다. 무릎의 통증시에도 슬괵근 테이핑을 병행하면 효과적이다


다리를 과도하게 벌리는 운동을 하고 난 후 허벅지 안쪽이 쏘는 듯이 화끈거리고 아플 경우는 박근을 검사해 본다. 이 근육의 통증은 일정하게 나타나지만 다리를 모았을 때나 걸을 때에는 오히려 통증이 줄어든다. 태권도나 요가를 하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통증이다. 박근은 치골에서부터 허벅지 안쪽을 거쳐 무릎의 안쪽까지 이어지는 기다랗고 가는 근육으로, 허벅지를 안쪽으로 회전시키고 종아리를 구부리는 기능을 한다.

1. 통증부위 검사 방법
환자는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린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 환자의 허리를 누르고 다른 손으로는 환자의 허벅지를 누르고, 환자는 이에 저항하여 들어올린다. 이때 환자가 통증을 느끼거나 힘이 약하다면 대둔근에 테이프를 붙인다.


2. 테이프의 형태

    폭 2.5cm, 길이 45cm, I자형 테이프


3. 붙이는 방법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눕는다. 테이프를 허벅지의 끝에 고정시킨다.

테이프를 붙일 쪽의 무릎을 구부리면서 밖으로 벌려 허벅지 안쪽의 근육의 선을 따라 테이프를 붙인다.


4. 완성형태
테이프는 무릎을 감싸듯이 붙인다.


상체를 숙이고 언덕이나 계단을 오랫동안 오르고 난 후, 또는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거나 수영을 하고 난 후 엉덩이가 아프다면 대둔근을 검사해 본다. 관련통은 둔부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며 꼬리뼈 부근에 통증이 생기면 미골통 (꼬리뼈통증)으로 이어진다. 대둔근은 엉덩이 표면에 있는 넓은 사각형의 근육으로 무릎관절을 구부리거나 고관절을 펴는 기능을 한다. 보행시보다는 달리기를 하거나 등산시, 계단을 오르내릴 때 사용되는 근육이다.

1. 통증부위 검사 방법
환자는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린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 환자의 허리를 누르고 다른 손으로는 환자의 허벅지를 누르고, 환자는 이에 저항하여 들어올린다. 이때 환자가 통증을 느끼거나 힘이 약하다면 대둔근에 테이프를 붙인다.

2. 테이프의 형태

  폭 5cm, 길이 30cm, Y자형 테이프


3. 붙이는 방법

옆으로 눕게 한 후 허벅지 바깥쪽에 Y자의 아랫부분을 고정시킨다.

테이프를 붙일 다리를 앞으로 내밀어 근육을 늘인다. (무릎을 구부린다)

나머지 한쪽 테이프를 붙일 때는 구부린 다리를 뒤쪽으로 보낸 후에 테이프를 붙인다.


4. 완성형태
대둔근은 넓고 겉에 있는 근육이므로 손가락형 테이핑을 할 수 있다. 그럴 경우 다른 테이프로 근육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보강형 테이프를 붙이면 더욱 효과적이다.
출처 : 얼추하르방 鏡潭 秘望錄
글쓴이 : 鏡潭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