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ttp://www.kinesiocenter.co.kr/image/i1.gif) |
|
|
|
|
|
|
매일같이 운동이나 노동으로 인해 또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잘못된 자세등으로 인해 우리의 근육은 쉽게 손상된다.
예를 들어 상체를 뒤로 젖히고 걷는 사람들은 허리주변의 근육이 긴장되어 통증이 있을수 있으며 중심을 잡기위해 머리를 몸 앞쪽으로 내밀게 되므로 목뒤와 어깨근육이 딱딱해지거나 긴장되어 어깨가 결리는 증상이 있을수 있다. |
|
다리에 쥐가 잘 나거나 발목이 자주 아픈 것도 근육성 통증일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근육이 긴장되거나 손상되어 근막에 이상이 생기면 근육이 부어 오르고 근막의 출혈로 내압이 상승하여 혈관이나 림프관, 조직액 등의 통로가 막히게 된다. 따라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경우 특수처리된 테이프를 붙이면 혈액 및 림 프 순환이 증가하여 통증을 느끼는 물질도 빨리 제거 되며, 테이프를 붙인 기계적 자극에 의해 통증의 완화를 돕는다. |
|
|
|
|
이와 같이 특수처리된 테이프를 붙여서 통증의 완화를 돕는 것을 "테이핑 요법" 이라 한다.
|
|
키네시오 테이프는 1982년 일본의 카세 겐조 박사가 근육 및 관절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 테이핑에 관한 연구중에 개발된 테이프로서 인체 근육과 유사한 신축성을 가지도록 특수한 공법으로 제조되었다.
현재 일본에서는 국가대표나 프로선수들, 그리고 일반인에까지 널리 애용되고 있어 병원, 약국은 물론 슈퍼에서도 판매가 될 정도로 유명하게 되었다.
|
|
|
|
| 2
![](http://www.kinesiocenter.co.kr/image/i2.gif) |
|
|
|
|
|
테이핑요법에 쓰이는 탄력 테이프는 단지 피부와 유사한 약 30%의 신축성이 있고, 접착제만 붙어 있을 뿐 특수하게 약품처리된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어떤 원리로 통증이 완화되는 것일까? 통증부위의 근육을 최대한 늘이고 테이프는 늘이지 않은 상태에서 테이프를 근육에 붙이면 피부와 근육이 정상 위치로 되돌아 왔을 때 테이프를 붙인 부위에 굴곡이 생긴다.
테이프에 의해서 피부가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어 피부와 근육 사이의 공간은 커지게 되는데, 그 공간으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이 증가하여 자연 치유력이 높아져 통증이 완화되고 근육의 운동기능이 되살아나게 되어 정상적인 신체활동을 할수 있게 된다.
![](http://www.kinesiocenter.co.kr/image/kine3.gif)
또 다른 가설은 관문조절설(gate control theory)이다. 피부에 붙여진 테이프는 피부에 물리적 자극(진동, 압력, 촉각)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된다. 이 자극은 통증을 전달하는 섬유보다 먼저 척수에 도달하여 통증의 전달을 억제하기 때문에 통증을 못느낀다는 것이다.
그외 가설로 골지건, 근방추반사설이 있다. 골지건은 근육과 건의 지나친 수축을 막아 주고, 근방추반사는 근육이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예방하여 근육의 긴장성 조절, 자세조절, 신체의 평형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3
4
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