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수술.치료♧/☎음식.운동

[스크랩] 목통증,다리,허벅지 당기고 저림증

花受紛-동아줄 2009. 1. 30. 00:54
테이핑요법 - 목을 좌우로 움직였을때 통증을 느끼는 경우, 다리, 허벅지 당기고 저림증


아침에 자고 일어나서 목의 근육이 아파서 머리를 움직일수 없다. 목 근육의 피로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며, 근육의 신축성이 결핍하게 되었을때, 갑자기 목을 움직이면 근육이나 근막에 염증이 일어나고 마는 경우이다. 목의 통증은 근육의 통증에서 일어나는 증상과 신경의 통증에서 오는 증상 2종류가 있다. 목의 통증이나 결림은 어깨와 밀접하게 관계하고, 어깨의이상에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목 옆의 근육은 3개의 근육이 있으며, 이가운데 어느 하나가 통증이 있기 때문에 아픈 근육을 따라서 테이핑을 한다. 여기서 가장 많은 것은 목옆에서 바로 아래로 늘어져 있는 근육(중사각근)과 뒤에 늘어져 있는 근육(후사각근)에 대한 테이핑을 한다.

1. 통증부위 검사 방법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목을 옆뒤쪽으로 고개를 젖힌후 한손은 어깨를 누르고, 한손은 젖힌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피검사자는 반대방향으로 대항하면서 힘을 가할때, 피검사자가 통증을 느끼면 후사각 테이핑을 한다.

2. 테이프의 형태

    폭 2.5cm, 길이 10~15cm 2개


3. 붙이는 방법

얼굴은 약간 숙인 상태에서 I자형테이프 한쪽 끝을 귀 뒤의 턱의 부분에 고정시킨다.

얼굴을 옆으로 돌려서 테이프를 견갑골의 내측상단으로 향해서 붙인다.

다른 하나의 테이프 끈은 동일하게, 귀의 뒤에서 2개의 테이프 끝은 겹쳐지도록 붙인다.

얼굴은 약간 옆으로 향해서 어깨선으로 향해서 테이프를 붙인다.


4. 완성형태


대퇴부 뒤쪽에서 다리에 걸쳐 저림 및 통증이 있으며, 좌골신경이 자극과 압박을 받으면서 일어난다. 추간판헤르니아 등이 원인인 경우도 있으며, 하반신 좌우 한쪽에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은 허리에서 다리의 통증이외에 다리의 저림, 장딴지 경련 등도 있다. 주로 중년의 여성에게서 많이 볼수 있다.

1. 통증부위 검사 방법
피검사자의 무릎을 그림과 같이 굽히고 검사자는 한손으로 무릎을 누르고 있을때 다리저림증상이 있으면 이 테이핑을 한다.

2. 테이프의 형태

    폭 2.5cm I 자테이프 100~120cm


3. 붙이는 방법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피고 I자 테이프의 기부를 복사뼈또는 발뒤꿈치에 붙인다.

복숭아뼈에서 장딴지, 무릎의 뒤까지 붙인다.

무릎을 구부리고 허벅지의 중앙까지 붙여간다.

허벅지 중앙에서 부터 무릎을 끌어 안듯이 하여 근육을 늘리도록 하고 엉덩이, 허리까지 붙인다.


4. 완성형태


오랫동안 쭈그리고 앉아서 일을 하다가 일어설 때 허벅지 앞쪽이 아프거나 무릎을 펴고 걷기가 힘들다면 대퇴사두근을 검사해 본다. 운동을 할 때도 대퇴사두근의 통증이 종종 발생한다. 이 근육이 약한 경우 무릎부상을 당하기 쉽고 계단을 오르내릴 때도 무릎이 약해진 느낌을 갖는다. 무릎을 완전히 펴기도 힘들어져 무릎 관절염에 의한 통증으로 오인되기 쉽다. 대퇴사두근은 허벅지의 앞부분을 대부분 차지하는 근육으로 서 있을때 무릎이 꺾이는 것을 막고 걷거나 달릴 때, 또는 일어설 때 무릎을 펴는 기능을 한다.

1. 통증부위 검사 방법
환자는 침대에서 눕거나 앉은 자세로 가장자리에 양다리를 내리고 팔은 침대의 끝을 잡고 안정된 자세를 취한다. 검사자는 한쪽 팔로 환자의 한쪽 허벅지를 고정시키고 다른 손으로 환자의 발목을 잡고 무릎이 구부러지게 힘을 준다. 환자는 이에 저항하여 무릎을 편다. 그때 허벅지 앞쪽에 통증이 있으면 대퇴사두근에 테이프를 붙인다.

2. 테이프의 형태

  폭 5cm, 길이 35cm, Y자형 테이프


3. 붙이는 방법

천장을 보고 눕는다. Y자의 아래부분을 허벅지 위에 고정시킨다.

무릎부위의 근육이 늘어나도록 무릎을 굽힌다. Y자의 윗부분이 슬개골(무릎)을 감싸도록 붙이되 양끝은 서로 겹쳐지게 붙인다.


4. 완성형태

출처 : 얼추하르방 鏡潭 秘望錄
글쓴이 : 鏡潭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