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音樂♪ 오락♧/사물놀이.민요..

[스크랩] 풍물이란?

花受紛-동아줄 2008. 12. 28. 20:48
.. 풍물이란


1) 원래 여러가지 명칭


(1) 굿 : 상고시대 칼이나 창으로 그릇을 두드리면서 그 소리로 노래와 춤의 반주를 삼아 뛰어놀았고 그 그릇을 우리말로 구유 또는 구사라고 하였으니 <구시치기>의 준말이 <굿>이 되었다. 그 후에 고구려,백제시대에 구취의 한자 발음이 중국에서 들어와 <구사>가 <구치>로되어 <굿>이란 발음으로 불리어졌고 조선시대에 <고사>의 발음으로 또한<굿>이라하였다.


(2) 군몰 : 군사훈련 및 전쟁에서 군사를 내몰아칠때 사용하는 고무, 고취한다는 뜻으로 우리말의 <군몰이> 또는 <군악>등으로 쓰이고 궁중의 나례의식에서 귀신 쫓는다는 뜻으로 <구나(驅儺)>라고도 하였으며 굿을 할 때 신을 모시는 많은 깃발을 들고 굿을 치므로 <기물>, <기몰>이라고도 했으니 신라 시대에는 <사내기물악>이라고 하였다.


(3) 매구 : 부여시대부터 <맞이 굿>이란 뜻의 <여고>가 성행 하였으며 나례굿에서 잡귀를 쫓거나 신을 맞이한다는 말이다. 신라 시대에는 원효 대사가 <매구>를 치며 불교적인 향가를 부르며 돌아다닌 일이 있는데 이것은 불교용어로 <무애무> 라고 불렸던 것이 아닌가 한다.


(4) 걸굿 : 사찰의 보수 및 건축 기금 등을 모금하는 굿으로 가정을 방문하여 집안 신에게 매굿 과 고사굿을 해주고 양식과 베 돈 등을 받는다.<동량(돌이굿)> 이나 <걸립>,<걸량> 이라는 이름으로도 기록이 되어 있다.


(5) 두레 : 들굿,두렁쇠등의 들농사를 뜻하기도 하며<돌아다니는 굿> 으로 육은회, 윤경, 돌림 불경 등의 뜻도 된다. 신라시대의 <두레놀이>,화랑도의 도(徒)와 길굿(道)의 뜻으로 <일꾼의 굿> 이란 말로 쓰이고 있다. 마한시대에는 소도의 도(塗)라는 뜻으로 <농사신 굿>을 뜻하였다.


(6) 풋굿 : 푸리굿과 살풀이 등의 뜻으로 <신에게 소원을 푼다는 뜻이지만 농사의 <풀밭 농사>로 해석하는 경향도 많다.


(7)풍물 : 풋굿과 같이 신풀이 살풀이의 뜻으로 소원을푼다는 뜻으로 풍년을 기원한다는 <풍장(풀이장구)굿>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8) 농악 : 1870년까지도 판소리 춘향가에 두레굿이라고 기록되었으나 농업장려의 운동으로 원각사의 협률사 단체에서부터 처음으로 농악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일제 시대에 일본의 가면극 능악(能樂)의 발음<노까구>를 <농악>으로 붙여 버린듯하다.
또 일본인들이 우리의 민속 신앙을 말살하기 위하여 농사장려의 목적에 한해서만 두레굿을 허락했기 때문에 굿하는 단체들이 <농악>이라는 이름으로 공연신청을 한데서 일반화 되었다.
지금도 삼남지방에서는 대부분<굿>이나 <매구>로 불리고 있으나, 까닭도 모르는 메스콤 등에서 <농악>으로 써왔기 때문에 전민족의 <민악>이 일부 농민에게 구한된 <농악> 이 되고 말았다.


→ 굿이든 매구이든 풍물 또는 두레이든 기본적으로 생산 활동 과의 깊은 관련속에서 나온 말이다. 굿--풍물 내지 두레로 올수록 노동과의 관계가 더욱 직접적이 되고 재의성 종교성은 감소된다. 그러나 용어로 보았을때 위와같은 흐름을 생각하는 것이지 실제로 일년 중 일이 많을 때와 적을 때,세시에따라 여러용어가 공존했다




2) 풍물이라 하는 이유
(1) 풍물은 농악이라고 일컬을 때의 단순한 음만이 아니라,음(가락) 과 춤과,재담,극과놀이와 의식이 통일적으로 결합된 종합 표현 매체이다.


(2) 원시사회 이래 민족의 생활과 노동의 리듬으로 형성된 생활과 노동, 놀이 즉 농경문화속에 노동과 함께 나타난 민중의 생활의식, 공동체적 문화 양식이다.


(3)이러한 종합적인 형태, 기능을 가진 것이 자본재 사회로 넘어오면서 그 사회의 특성으로 인하여 전문화 분화 된것이 오늘날 <농악> 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분화 되었던 각 표현매체들을 다시 종합하려는 노력과 공동체, 공동체문화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시기이며 따라서 풍물을 통일적으로 인식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4)풍물이 농경사회의 공동체속에서 생성 발전되어 왔으나, 지금은 전통시대와는 달리 상이한 구조와 조건속에 놓여있는 다양한 생활공간에 모두 필요하다.

(5)전통적이고 생활, 노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 굿 > 이나 < 두레 > 처럼 다른 의미를 내포하여 혼란을 일으키지도 않는 < 풍물 >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출처 : 정원기의 국악 아카데미
글쓴이 : 사물노리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