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필,선♧/심리치료 testing

[스크랩] 풍경 구성법에 의한 미술치료-도입/실시방법

花受紛-동아줄 2011. 12. 28. 21:24

풍경 구성법(LMT : Landscape montage technique)은 미술치료 혹은 그림검사법의 하나로 1969년에 中井久夫  교수에 의해 창안되었다. 이 풍경구성법은 원래는 정신분열증 환자를 주 대상으로 하여 모래상자 요법의 적용 가능성을 결정하는 예비검사로서 고안되었으나 독자적인 가치가 인정되어 이론적으로 분석되어 치료적으로도 많이 활용되는 기법이다. 또한 이 풍경구성법은 일본에서 고안되어 널이 이용되고 있는 기법이었으나 1977년 제 10회 독일어권 표현병리, 표현요법 학회에 발표된 이후 독이르 미국 미 인도네이사에서도 시행되고 있으며, 진단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치료과정 속에 활용되어 많은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中井久夫 교수에 의한 이 풍경구성법은 로샤검사(Rorcschach test)와 같은 앞에 있는 패턴을 읽고, 선택, 해석하는 투영적 표상과 대조적인 접근방법으로서 4면이 테두리로 그어져 있는 구조화된 공간에 통합적 지향성을 지닌 하나의 전체를 구성하는 구성적 표상을 기초로 하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1. 풍경구성법의 실시방법

 1)준비물

 도화지, 싸인펜(보통 흑색 싸인펜을 사용한다), 크레파스, 혹은 색연필

 

 2)도입과 실시방법

 먼저 치료사가 4면을 테두리(통제받는다고 느끼지 않도록 함)를 그린 도화지와 싸인펜을 내담자에게 건네준다. 그 다음에 치료사가 말하는 사물 즉 (1)강, (2)산, (3)밭, (4)길, (5)집, (6)나무, (7)사람, (8)동물, (9)동물, (10)돌 등 이상 10가지 요소를 차례대로 그려 넣어서 풍경이 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그려 넣고 싶은 사물이 있으면 그려 넣게 한다. 모두 다 그린 다음에 색을 칠하도록 한다. 지도시 사용하는 언어나 행동은 치료의 흐름을 파괴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다음의 LMT 의 도입과 실시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해 본다.

 

 (1)치료사가 한 장의 도화지를 꺼내어 싸인펜으로 테두리를 그린 다음 싸인펜과 도화지를 내담자에게 건네주고 "자, 지금부터 풍경을 그릴 거예요. 잘 그리는 것을 보려는 것이 아니니까 자신이 원하는 대로 그려 주세요. 단, 내가 말하는 순서에 따라서 그려주세요."라고 부드럽게 말한다. 내담자가 "싫어요. 최근에는 그림을 그린일도 없고...." 혹은 "그림을 그리라고요?", "못 그려요."등으로 난색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지만, "먼저 강을 그려주십시오."하고 구체적으로 '강'을 지시하면, 조금 머뭇거리다가 싸인펜을 쥐고 쉽게 그리는 경우가 많다. "이 강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고 있어?"라든가 "한가운데서 좌우로 갈라져 버렸네, 어디로 흘러가는 것인가?", 혹은 "아주 작은 강이네요. 이것을 표현하는 것은 대단하게 보인다. 초조하게 생각하지 말고..." 등 치료사가 내담자가 그리는 여러 가지 패턴을 혼자말로 관심을 나타내어 동기유발을 시킨다.

 

 (2)"자, 강을 그렸습니다. 다음은 산입니다. 산을 그려주십시오." 

 처음에 "풍경을 그린다"는 말을 염두에 둔 사람은 대개 산이나 암벽 등의 공간을 어느 정도 위쪽에 남겨두고 강을 그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대로 안심하고 그린다. 그러나, 뒤에 그릴 것을 전혀 상관하지 않고 강을 종이 윗 부분에 그려버린 사람은  "산"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에는 당황하지만 잠시 후, 여러 형태로 산을 처리한다. 공간의 왜곡이나 주저함 없이 잘 그려넣는 사람, 상당히 생각하고 나서 지도처럼 등 고선상의 산을 그려 넣는 사람, 강의 상부를 색칠해서 그곳에 산을 그려 넣는 사람 등 다양하다.

 

 (3)"다음은 밭입니다. 밭을 그려 주세요."  일반적으로 별 문제없이 그리지만, 밭을 본적이 없는 사람의 경우에는 "논이라도 상관없습니다."라고 말을 덧붙이는 것이 좋다.

 

 (4)"자, 다음은 길 입니다. 길을 그려 넣어 주세요."

 이 단계에서 "2개 그려도 괜찮습니까?", "다른 길을 그려 넣어도 됩니까?"등을 묻는 경우도 있다. 물론 강이나 산도 마찬가지이지만 그려진 수는 단수든 복수든 상관 없다.

 강, 산 밭 길이 그려지면 <풍경>은 거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다시 말하면 풍경의 골격을 갖추고 구성의 기본을 형성한다. 그런데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는 만성분열증자나, 정신지체자, 사춘기형의 일부는 '풍경'을 구성하지 못하고 들은 그 자체가 하나의 두드러진 증상이며 표현이기 때문에 느낌을 말하거나 수정시키지 말고 그대로 계속 시행한다.

 

 (5)길 다음은 집입니다. 집을 그려주세요."

 이와 같이 집, 나무, 사람을 순서대로 그려넣게 한다. 창안자  中井久夫 는 "집이 있으면 좋겠네", "나무가 있어도 괜찮을까?"등으로 대상에 따라서는 웃으면서 말끝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지시하였다. 아무튼 검사는 명령에 의해서가 아니라 참여하여 하나의 그림을 서로 음미하듯이 진행해 나가는 것이 좋다.

 집, 나무, 사람은 일반적으로 인격을 투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때문인지 사람을 그리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 앞 단계에서는 길을 좀처럼 그리지 못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또한 사람을 거부지는 않지만, 멀리 아주 작게 그려 넣거나, 혹은 가까이에 크게 그리기는 했지만 stick figure라고 하는 선 묘사만의 도식적인 표현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사람만 색칠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람의 표현은 그만큼 저항이 강한 항목인것 같다.

 

 (6)"자, 다음은 꽃입니다. 꽃을 그리세요."

 내담자에게 있어서 사람 다음으로 거부감이 큰 것은 곳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7)"꽃 다음은 동물입니다. 어떤 동물이라도 상관없습니다. 동물을 그려 넣어 주십시오." 사람을 그리는 것을 거부한 사람도 동물은 그리는 경우가 많다. 선택되는 동물은 그 사람의 어떤 측면을 절묘하게 나타낸다.

 

 (8)"다음은 돌입니다. 돌을 그려주세요."

 일반적으로 어떤 풍경화를 보아도 빠짐없이 그려져 있는 항목이다. 대부분 눈에 띄지 않는 돌을 길가, 물가, 혹은 집구석, 밭두렁, 나무밑 등 10개 항목의 맨 구석진 곳에 둔다.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사람이나 동물, 길을 거부해도 돌만은 지킬려고 확실하게 바른 위체에 두는 경우가 많으며, 신경증 환자들은 많은 돌을 여러곳에 흩어 놓는 경우가 많고, 강박증 환자들은 강가에 돌을 세심하게 정돈해 놓는다.

 

(9)"자, 내가 말하는 것은 이것뿐입니다. 마지막으로 무엇인가 부족한 것이나 자신이 그려 넣고 싶은 것을 그려 주세요. 또한 첨가해서 그리고 싶은 부분이 있으면 그려도 좋습니다. 아무튼 풍경을 완성시켜 주세요."

 가장 많이 추가하는 것이 다리이다. 다리는 흔히 길의 단계에서 강을 건널 때 이미 그려 넣는 경우가 많다. 태양이나 달을 첨가하는 경우도 있다. 하늘에 구름, 강에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을 그리는 자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풍경화의 장식물들은 환자의 내적 상황을 아는데 상당한 도움을 준다.

 

 (10)풍경화가 완성된 후 12색 내지 24색 크레파스나 색연필을 제시하고 "자, 여기에 색칠해 주세요."라고 지시한다. 분열증 환자들은 흔히 강과 길을 바꾸어서 색칠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낮 풍경에 하늘을 까맣게 칠해 버리거나, 빨갛게 칠하는 자도 있다.

 풍경구성법에서 가장 현저한 변화를 보이는 부분은 색이라고 하였으며 색채는 투영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어떤 색을 선택하여 산을 칠하는가 하는 의미로는 확실하게 투영적이지만 item과 item 사이의 공백을 채색하는 묘화를 마무리해 나가는 단계에 실시하기 때문에 풍경구성법에 따른 변화가 묘화면 보다 색에 있어 현저하게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색칠이 끝난 뒤 치료사는 내담자가 그린 그림을 보고 2~3가지 질문을 한다. "자, 가르쳐 줄래요?, 이것은 사계절 중 언제입니까?, 시간은 몇 시경입니까?, 기후는?, 강은 어디로 흐르고 있습니까?, 사람은 몇 살이며 남자입니까 여자입니까?" 등의 질문을 한다. 날씨는 대부분은 맑음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나 때로는 소나기가 내리는 것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이 중  中井久夫 교수가 고안한 풍경구성법의 도입과 실시방법이다. 처음에는 스케치북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A4크기의 용지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출처 : 사랑이 가득한 마을
글쓴이 : 가을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