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물고기가족화는 어항을 그린 도식을 주어 그 안을 자신이 꾸미고 싶은 세계로 꾸며보게한다. 단 자기집에 있는 수족관이나 실물을 보고 그리면 안되며 자신이 꾸미고 싶은 세계를 꾸미게 한다. 또한 검사자가 의도하여 "나"를 포함한 물고기의 세계를 표현하라고해도 무방하며 자신의 가정에 대한 비유나 마음속 내면에 대한 것을 그리게 코멘트해도 무방하다. 이 도식화는 가족관계의 역동성을 나타내주며 현재 심리적 갈등을 일으키는 주제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주의할것은 그림을 그린 사람에게 반드시 왜 그렇게 그렸는가의 설명을 들어서 분석에 도움이 되고 정확한 갈등과 억압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것이다. 어항(Fish bowl)은 "프라이버시"가 없는 상태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가족내의 역동성을 물고기라는 매개체를 통해 별저항없이 표현하게 된다.
2. 분석방법 어항의 형태에서 어항가 물고기의 조화가 적당하고 동적인 움직임이 있으며 공간이 여유롭고 물풀이 조화롭게 있으면 안정된 정서로 해석한다. 나를 중심으로 그려졌을 때, "나"의 위에 위치한 배열은 권위적이고 지배적인 상징이며 수평적이거나 아래에 위치해 있으면 친절한 관계를 나타낸다. 주어진 어항 도식외에 손잡이를 그린다거나 받침을 그리는 등의 가필은 불안 심리와 외부로부터 도움받기를 요청하는 안전에 대한 욕구로 해석된다. 주변장식을 하지않고 물고기만 그리는 경우는 인간관계에 대한 관심도나 고민을, 반대로 주변장식에 치중하면 사회화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물고기의 형태에서 물고기가 지나치게 크면 자기중심적이며 외향적인 성격, 지나치게 작으면 자아축소와 내향적인 성향을 나타낸다. 또한 중심에 모양을 넣어 화려한 물고기를 그리면 감정적이며 감각적인 면이 많음을 보여준다. 이를 드러낸 물고기의 모양은 부정적이며 억압으로 인해 정서상태가 공격적인 상태를 표현한다. 아기물고기나 임신한 엄마 물고기, 또는 새끼집을 그릴 경우에는 유아기적 퇴행과 모성회귀 욕구를 말해주고 희미하여 분명하지 않은 필압은 자신감이 결여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다가 지워진 부분에는 반드시 심리적인 원인이 숨어있는 것으로 해석해야하고 물풀이 물고기 보다 지나치게 무성하거나 자갈을 크게 그리면 숨고 싶어하는 비사회화와 열등감을 보여준다. 물 위에 떠있는 연잎이나 수련잎을 크게 그릴 때, 어항 밖으로 누성하게 뻗은 수초를 그릴때는 나서고 싶지않은 소극적인 성격으로 대인관계의 장애를 의미한다. 산소기는 의존적인 성격에서 강조하여 그리며 큰 물방울은 감정의 둔감함을 작은 기포는 타인의 태도 여하에 따라 민감한 성격을 나타낸다. 무링 어항에 가득한데도 밖으로부터 연결된 호수는 억압으로부터 분출의 욕구를 나타낸다. 물이 어항의 2/3정도를 차게 그린 모양은 정서적으로 안정된 형태이지만 절반이하는 정서적인 결핍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실시 방법 "어항에 물고기 가족을 그려보세요. 반드시 물고기가족이 무언가를 하는 그림을 그려주셔야 합니다. " 자신이 꾸미고 싶은 것이 최대한 표현 될 수 있도록 정성껏 그려주세요(집 어항이나 실물을 보고 그려서는 안됩니다)
물고기 가족화 검사.
작성요령: 어항에 물고기의 가족을 꾸며 보세요. 반드시 물고기 가족이 무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리셔야 합니다. 자신이 꾸미고 싶은 것이 최대한 표현될수 있도록 그려주세요.
1.물고기 가족화 (어항그림)
2. 분석방법
- 나를 중심적 그렸을 때 - 어항 손잡이나 받침 그렸을 때 : 불안심리와 외부로부터 도움받기 요청하는 안전에 대한 욕구. - 주변장식에 치중 : 사회화에 대한 관심. -주변장식 않고 물고기만 그렸을 때 : 인간관계에 대한 관심도나 고민. -물고기가 지나치게 크면 : 자기중심적 외향적인 성격. -물고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 자아축소와 내향적인 성격. -중심에 모양을 넣고 화려한 물고기 : 감정적이며 감각적인면이 많은 성격. -이를 드려낸 물고기 모양 : 부정적이며 억압으로 공격적인 정서상태. -아기물고기,임신한 엄마물고기, 새끼집 그릴 때 : 유아기적 퇴행과 모성 회귀 욕구. -희미하고 분명하지않은 필압 : 자신감 결여된 상태. -지워진 부분 : 숨어있는 심리적인 원인 반영. -물풀이 물고기 보다 지나치게 무성, 자갈 크게 그리면 : 숨고싶어 하는 비사회화와 열등감 반영. -물위에 떠있는 잎 크게그릴 때, 어항밖으로 무성하게 뻗은 수초 : 나서고 싶지않은 소극적 성격으로 대인 관계의 장애. -산소기 : 의존적인 성격 강조. -큰 물방울 : 감정의 둔감함. -작은 물방울 : 타인의 태도 여하에 따라 민감한 성격. -밖으로 연결된 호스 : 억압으로 부터 분출욕구. -물이 어항의 2/3정도 : 정서적 안정. -물이 어항 절반 이하 : 정서적인 결핍.
# 그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담자는 내담자 그림의 설명을 들으며, 면담을 통하여 가족내에서의 관계 와 어항속 물고기의 필압 형태를 통해서 성격과 가족관계, 또래 관계와 같은 인간관계를 이해 할수있도록 노력 하여야 하며 어항속 역동의 관계와 필압을 통하여 내담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충분한 대화를 통한검사내용 및 면담일지를 작성 하여 차기 검사시 활용한다.
|
[물고기 가족화에서 분석방법]
어항 안의 물이 절반 이하인 경우는 정서적인 결핍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물고기를 조그맣게 그린 것은 자존감이 낮은 것을 시사한다. 특히, 먹이를 먹고 있는 물고기의 표현은 양육적인 허기를 반영하고 있다.
어항을 보고 있는 사람, 어항에 눈을 그리는 사람 --> 감시당함, 타인의식 큰돌 --> 가슴에 큰 근심 작은 물방울 --> 민감한 성격 호스를 그리는것 --> 억압, 분출 진로방해 --> 대인관계 풀 뒤에 숨은 그림 --> 열등감 그리다 만것 --> 숨기고 싶다 임신한 물고기 --> 퇴행적, 모성애 화려하다--> 감정적, 적계심, 유행민감 물고기가 작거나 지나치게 크다 --> 외항적 물고기만 그린그림 --> 인간관계문제 어항에 손잡이를 그린그림 --> 불안감 그림이 아래 --> 안정적, 온화함 나를 크게 중심에 그림 --> 권위적 크기 --> 자아 존중감 나 자신이 없음 --> 자아 존중감이 낮다 (자신감 부족) 물고기 보다 주변을 화려하게 그린 그림 --> 주변 환경을 정리하고 치우침 물레방아, 잡초, 물고기 없는 그림 --> 주변환경 관련 물고기 가족화 학년초 아이들의 가족관계를 빨리 파악하는 방법 소개해 드립니다. 이 결과를 보면 먼저 상담해야 할 아이들이 보이겠죠? ------------------------------------------------------------------------------ 심리분석에는 HTP검사, 동적가족화, 동그라미 가족화, 물고기 가족화, 풍경구성법, 별 파도 그림검사, 동굴화, 계란화 등등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표현력이 부족한 성인이나 유아들에게 물고기 가족화 를 적용하면 좋습니다.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기 어려워 진단하기 어려운 가족의 상호관계를 쉽고 간단하게 진단 할 수 있는 우회적인 방법입니다. 완성된 그림의 어항안은 꾸민 사람의 마음 세계입니다. 어항이라는 한정된 공간은 그린 사람의 생활과 연관 지울 수 있으며 물고기들의 여러방법을 통하여 가족 관계, 또래 관계, 현재의 심리적 갈등을 일으키는 존재를 파악하는데 유용합니다. 준비물은 어항그림이 그려진 A4용지, 연필, 지우개, 12색 색연필 시행 방법은 그리기에 들어가기 전에 주위에 어항, 수족관등이 있으면 보고 그릴 수 있어 분석에 오류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하해야 합니다. 어항그림을 그린 A4용지를 준비 하여 "이 어항 속에 사는 물고기 가족을 그려 주세요" "그리고 색칠도 해 보세요". 라고 멘트를 줍니다. "다른것을 그려도 돼요?" 라고 질문하면 "자기가 그리고 싶은것이 있으면 마음대로 그려도 됩니다" 라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그릴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 주면 됩니다. 성인의 경우는 어항 그림이 그려져 있는 용지에 해도 좋고 직접 어항을 그리게 해도 됩니다. 물고기 그린 순서를 적고, 왜 그렇게 그렸는지에 대한 설명을 들어야 합니다. 어느 그림 분석이나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느낌이나 직관적으로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 정상적인 표현은 대개 중심에 부모 물고기가 크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먼저 그린 물고기, 큰 물고기는 가족중에서 주도적인 인물로 목소리가 큰 사람이겠죠 * 물고기의 방향이 마주 보게 그린 물고기가 의견 대립과 충돌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신과 마주 보고 있는 물고기가 스트레스의 원인 입니다. * 산소방울 ; 일이 잘 풀리지 않는 상태 * 물풀 ; 혼자서 조용히 쉬고 싶은 상태 * 자갈 ; 마음의 짐...크기
자신이 꾸미고 싶은것을 그려보세요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물고기를 그리세요 -나를 중심으로 그렸을때 위에 있는것 : 권위적이며 지배적이다 -수평이나 아랭 : 친절한 관계 -도식외에손잡이나 받침등: 불안심리,외부로의 도움요청,안전욕구 -장식없이 물고기만 있는 경우: 인간관계 관심도 고민 - 주변장식에 치중 : 사회화에 대한 관심 -지나치게 큰 것 : 자기중심적, 외향적, 공격적, 조급,화를 잘냄, 사치, 과장, 부적절한 보상적 방어 감정, 심한 과잉행동 -(큰것: 자존감,자기확대욕구,공상적자아) -지나치게 작은 것 : 자아축소, 내향적인 성격,우울 -(작은것: 무력감, 열등감,불안감, 폐쇠적,자기억제강함) -화려한 물고기 : 감정적이며 감각적인 면이 많다(정)
'♧강의목록1♧ > 미술.애니어.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상한 그림들 不思議な画 (0) | 2011.11.13 |
---|---|
[스크랩] 풍경구성법 (0) | 2011.11.13 |
미술치료에서 진단 및 해석하기 두 번째 이론 (0) | 2011.11.13 |
미술치료의 진단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일-안진봉박사의 미술치료 임상이론-1 (0) | 2011.11.13 |
칼융과 정신분석 (0) | 201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