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자기개념, 자기표상, 자기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나 여러 가지 감정들이 투사.
(1) 머리 - 아동의 인지적 능력, 즉 지적 능력 및 공상 활동에 대한 정보
① 머리를 그리지 않은 경우 : 사고장애나 신경학적장애가 있는 경우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② 머리의 크기와 형태 -
· 너무 큰 경우 : 자신의 지적능력에 대해 불안감, 이를 과도하게 보상하려는 욕구
· 너무 작은 경우 : 자신의 지정능력, 공상세계와 관련된 부적절감,
수동적, 억제적, 위축된태도
③ 머리와 몸의 연결
: 정신과 신체의 통합이 어려운 사고장애, 신경학적 장애의 가능성을 시사
(2) 얼굴
① 얼굴의 어느 면을 그렸는가 :
· 뒤통수 - 외모에 대한 극도의 불안감, 예민, 세상에 대해 억제적이고 회피적인 태도
· 옆얼굴 - 자신감 부족, 자신의 외모가 창피하여 사회적 접촉을 피하고 있을 가능성.
② 수염 : 쾌락이나 힘을 의미, 남성적인 면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불안감. 보상 노력
(3) 눈 - 아동이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① 눈을 그리지 않는 경우
: 타인과 감정을 교류하는데 있어 극심한 불안감을 느끼며 회피, 사고장애의 가능성
② 눈의 크기
· 너무 큰 경우 - 타인과의 정서적 교류에 지나치게 예민
· 너무 작은 경우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위축되고 회피하고자 함
· 눈을 진하게, 강조하는 경우-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의심, 방어적 태도, 편집증적경향성
③ 눈의 모양
· 눈의 윤곽만 그린 경우 - 내적인 공허함
· 점만 찍거나 가느다란 선으로 표현 - 타인의 감정공유, 자신의 감정표현에 제약, 한계
· 눈꺼풀, 속눈썹 - 타인과 정서적으로 교류하는 것에 과민, 집착
④ 눈썹
· 코를 향하여 기울어진 모습 - 내면의 적대적인 태도
· 반원의 아치모양 - 경멸적인 태도
· 진하게 그린 것 - 공격적인 태도
(4) 귀 - 아동이 정서 자극을 수용하고 이에 반응하는 방식.
① 귀를 그리지 않은 경우 : 종종 있는 경우이므로 정서적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② 귀의 크기
· 너무 큰 경우 - 대인관계 상황에서 너무 예민함
· 너무 작은 경우 - 정서적 자극을 피하고 싶고 위축 되어 있음
③ 귀걸이를 그린 경우
: 외모에 관심이 많음, 자기애적 욕구,
대인관계 불안감을 강박적으로 보상하고자 하는 욕구
(5) 코 - 정서적 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에 반응하는 것,
외모에 대한 관심의 여부
① 코를 그리지 않은 경우 : 자신이 타인에게 어떻게 보일지에 매우 예민하고 두려워함
② 코의 크기
· 너무 큰 경우 - 정서적 자극에 너무 예민, 외모에 지나친 관심을 가지고 있음
· 너무 작은 경우 - 외모에 대해서 자신이 없고 위축, 감정교류에 수동적, 회피적 태도
(6) 입 - 생존, 심리적인 충족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서적 이슈
① 입을 그리지 않은 경우
: 애정의 교류에 있어서 심한 좌절감, 무능력감, 위축감, 약가감정을 느낌.
② 입의 크기
· 너무 큰 경우 - 정서적 교류, 애정 교류에 불안감, 과도하게 적극적, 주장적,
심지어 공격적
· 너무 작은 경우 - 정서적 상호작용 회피, 타인의 애정어린 태도를 거절,
절망감, 우울감
③ 입의 모양
· 가로선 하나 - 정서적 교류에 무감각, 냉정한 태도
· 비웃음 띤 모양 - 성격적으로 적대감, 공격성이 내재
· 환하게 웃는 모습 - 타인의 애정을 지나치게 원하며 친밀한 관계에 너무 몰두하고자 함
· 입을 ‘헤’하고 벌린 모습 - 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의 무기력감, 수동적 태도
④ 입에 다른 물건을 물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경우
: 스스로 혼자서도 내적 충족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과시,
타인의 거절에대한 불안감 보상
(7) 이 - 이를 그리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 5세 이하 - 행복감이나 기쁨의 표현
· 6세 이상 - 정서적인 욕구충족, 애정욕구 충족에 있어서 심한 좌절감, 불안감
(8) 턱 - 자기 주장성과 관련
① 턱을 그리지 않은 경우
: 자기 주장성이 부족하고 대인관계에서 수동적이며 쉽게 위축됨을 의미
② 턱의 크기
· 강조한 경우 - 자기주장적인 태도가 지나쳐 공격적으로 행동할수 있음,
과잉보상하고자 함
(9) 머리카락 - 외모에 대한 관심, 중요시
① 머리카락을 그리지 않은 경우 : 종종 있다.
② 머리숱의 정도
· 많고 진한 경우 - 지나치게 자신있거나 적극적, 자기주장적으로 행동, 때로 공격적태도
· 숱이 적은 경우 - 성적인 면에서 지나치게 수동적이거나 억제적인 태도
(10) 얼굴을 그릴 때 적당한 표현 양식
· 전체적으로는 선의 질이나 음영, 필압, 크기 모두가 적당한 정도여야 한다.
· 머리는 계란형이나 둥근 모양, 목을 적절하게 그려 머리에 연결되도록..
· 얼굴은 앞모습, 약간 옆으로 향한 모습, 수염은 없어야 한다,
· 눈은 두개를 그리되, 윤곽과 눈동자가 모두 있고, 눈썹이 약간 아치를 그리는 모양
· 코도 적당한 크기, 귀도 두개 다 그리고, 귀걸이가 있다면 모양이 적당하도록..
· 입도 윗입술 아랫입술이 모두 있고, 입은 벌리지 않은 모양, 선이 하나라면 입꼬리가
올라가도록, 이를 그렸다면 너무 자세하지 않고, 톱니모양이 아니어야 한다.
· 머리카락의 숱도 적당하고 헝클어진 모양이 아니어야 하므로 모자를 그리지 않도록 한다.
'♧강의목록1♧ > 미술.애니어.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문제해결을 위한 그림그리기-단기치료모델 (0) | 2011.07.02 |
---|---|
[스크랩] 아이 심리와 그림에 대해서 (0) | 2011.07.02 |
[스크랩] 미술치료와 개, 나비, 다람쥐의 상징적인 의미는? (0) | 2011.07.02 |
[스크랩] 청소년 임상미술치료 방법론 (0) | 2011.07.02 |
[스크랩] 미술치료-심리와 그림발달단계 (0) | 2011.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