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목록1♧/성교육:청소년.노인

생식 기관의 구조와 기능

花受紛-동아줄 2011. 3. 1. 21:15

1. 생식 기관의 구조와 기능

2. 정자와 난자의 형성

3. 생식 주기

4. 수정과 발생

5. 건전한 성 윤리

 

· 정자와 난자가 수정하여 이루어진 수정란은 곧 활발하게 세포 분열을 하면서 발생이 진행된다. 발생은 단순히 세포의 수만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의 모양과 기능이 다양화됨으로써 하나의 개체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1. 수정과 임신

 (1) 수정
  배란된 난자는 나팔관을 통해 수란관으로 진입 → 자궁으로 이동 → 수란관 상부에서 정자를 만나면 수정

  ① 난자에 가장 먼저 도달한 정자는 첨체의 효소를 이용하여 난자를 둘러싼 투명대와 난자의 막을 용해한 후 정자의 머리가 난자로 들어간다.

난자의 표면에 수정막이 형성됨(다른 정자의 침입을 막기위해)

  ③ 정자의 핵과 난자의 핵이 융합하여 체세포의 염색체 수(2n)을 회복한 수정란이 형성

  ☞ 1회 사정시 배출되는 정자의 수는 수억 마리에 이르지만 난자의 표면에 도달한 정자의 수는 수백 마리에 불과
      이 중에서도 난자의 표면에 가장 먼저 도달한 1개의 정자만이 수정됨

 

 [출처 : http://www.seonsan.hs.kr/ ~ janges/image/bio3/sengsik.htm]

 (2) 착상과 임신
  수정란은 수란관의 상단부에서 난할을 시작하면서 자궁을 향하여 이동
  수정 후 6∼7일이 지나면 자궁에 도달하여 수백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포배 상태가 됨
  이 상태에서 임신에 대비하여 두터워져 있는 자궁 내막에 파묻히게 됨 (☞ 배가 자궁 내막에 파묻히는 현상 : 착상)
  착상이 되면 그 때부터 임신이 되었다고 함

[출처 : http://science.kongju.ac.kr/highschool/bio/ 생물 2/main242000.html]를

난할과 할구
  난할 : 수정란의 발생 초기에 일어나는 세포 분열
  난할의 결과 생긴 세포 : 할구

  난할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세포 분열이 진행됨 → 분열 후 세포질이 증가하여 세포가 원래의 크기로 자라는 과정이 없음
난할이 거듭될수록 할구의 크기는 줄어들고, 배 전체의 크기는 변함 없다.

[출처 : http://www.seonsan.hs.kr/ ~ janges/image/bio3/sengsik.htm]

과학과 생활 - 임신의 진단

임신을 하였을 때 나타나는 증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월경 중단 : 예정일에 월경이 나타나지 않는다.
② 유방의 변화 : 임신이 진행되면서 유방의 크기가 증가한다.
③ 구토 : 임신 6주경 시작되어 임신 16∼20주 사이에 입덧이라고 하는 구토 증상을 느낀다.
④ 빈뇨 : 자궁이 커져 방광을 압박하여 소변을 자주 보게 된다.
⑤ 피부 색소 침착 : 얼굴, 목, 배, 팔 부위에 색소 침착이 있을 수 있다.
⑥ 기초 체온 증가 : 기초 체온이 증가된 상태가 계속된다.

★ 임신이 되면 왜 기초 체온이 올라갈까?
 배란이 되고 나면 황체에서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 등의 영향으로 기초 체온이 0.5∼1℃정도 증가하는 고온기가 된다.
 만일 임신이 되면 프로게스테론이 계속 분비되기 때문에 고온기가 계속된다.

2. 인공 수정

 인공 수정이란 정상적으로 임신이 불가능한 경우 인위적으로 정자와 난자를 수정시키는 방법으로, 체내 수정 방법과 체외 수정 방법이 있다.

 1) 체내 수정 방법
  남성의 정자 수가 부족하는 등의 문제 발생시 실시
  남성의 정자를 모아서 여성의 자궁에 넣어 수정이 일어나도록 유도

 2) 체외 수정 방법
  남성과 여성으로부터 정자와 난자를 각각 채취 → 수정 → 수정란을 일정 시간 배양 → 여성의 자궁에 착상

3. 태아의 발달

 1) 태아

  8주 정도 지나면, 눈, 귀, 손가락 등 대부분 기관의 구조가 형성되어 사람의 모습을 갖춤
  ⇒ 이 때부터 태아라고 한다.

 ★ 혈액동
  태반에서 모체의 혈액이 많이 모여 있는 부분
  태아의 모세 혈관은 혈액동에 담겨 있음
  이 곳에서 태아와 모체의 물질 교환이 일어남

[출처 : http://science.dsgo.net/photoCD/4_생물/3_생식/page_03.htm]

 2) 태아와 태반
  착상 후 배 조직의 일부와 자궁벽 사이에 태반 형성
  태아와 태반은 탯줄로 연결
  태아는 양막 속의 양수에 떠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으며 자란다.

3)태아와 모체의 물질 교환
   태아는 태반을 통해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 받고 호흡 결과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요소 등의 노폐물을 모체의 혈액으로 내보냄
   주로 확산에 의해 이루어짐

 4) 태아의 발달
  ① 1개월 : 심장이 생겨 뛰기 시작한다.
  ② 2개월 : 거의 모든 기관의 발생이 완성된다.
  ③ 4개월 : 손발이 움직이며 모체는 태아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④ 7개월 : 거의 모든 기관이 완성되며 이후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
                모체를 떠나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 생김

월령(주령)

크기(Cm)

무게(g)

1개월(0∼3주)

1.2

-

2개월(4∼7주)

1 ~ 2.5

1 ~ 4

3개월(8∼11주)

8 ~ 9

20 ~ 30

4개월(12∼15주)

16 ~ 18

110 ~ 120

5개월(16∼19주)

약25

200 ~ 250

6개월(20∼23주)

28 ~ 30

907

7개월(24∼27주)

약35

1.2kg

8개월(28∼31주)

약43

2kg

9개월(32∼35주)

51 ~ 56

3.1 ~ 3.4kg

[출처 :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생물1']

 5) 분만
  수정 후 266일이 지나면 태아가 모체의 밖으로 나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옥시톳힌(자궁 수축 호르몬)이 자궁을 수축시켜 태아의 분만이 이루어짐

분만 예정일 계산

분만 예정일은 수정 후 266일
마지막 월경 시작 후 280일
따라서 마지막 월경 시작일+9개월+4일로 계산

[출처 : http://gracewoman.hihome.com/page-54.html]

초유와 프로락틴

출산 수일 후에 모체에서 영양 물질과 항체가 풍부한 초유가 분비
그 이후에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프로락틴(젖 분비 자극 호르몬)의 자극에 의해 젖이 나옴

tools_back.gif tools_next.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