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수술.치료♧/☎음식.운동

花受紛-동아줄 2011. 1. 1. 22:15

병은 유행하는 방법으로 해결되는것이 아님니다.

병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방법을 찾아다닐것이 아니라 먼저

몸의 원리를 알아야 하는것입니다.

부항을 뜨는 사람들도 부항을 공부하기 전에 먼저 몸의 원리를 알아야 할것이고

침을 놓는 사람들도 침을 공부하기 전에 먼저 몸의 원리를 알아야 할것이고

뜸을 뜨고자 하는 사람람들도 뜸을 공부하기전에 먼저 몸의 원리를 이해해야 하는것입니다.

몸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정 부항,침,뜸을 비롯한 각종 건강식품, 약초를 비롯한 병에 좋다는 방법들을

찾아다니면 시행착오를 되풀이 하거나 다른 사람은 효과를 보거나 멀쩡하다고 하는데

자신만 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부작용이 나타나는것입니다.

뜸은 전혀부작용이 없다고 말한것은 그사람들이 부작용이라고 할만한 증상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할것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뜸을 떠보니 혈압이 올라간다

왜 올라갈지 그 원리를 이해해야 하지요.

사람이 살아가는 기본은 기혈의 순환에 있습니다.

기혈의 순환이 막히는것이 병이며 침,뜸은 자극을 통해서 기혈순환을 시켜주는 행위일뿐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침뜸이 기혈순환을 시켜주는 방법일지라도 그것의 한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자극을 가하면 반응이 보이는곳에는 충분한 효과를 볼수 있지만 감각이 사라진고 무뎌진곳에는

어떠한 자극을 가해도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것입니다.

 

사람은 몸에는 수많은 모세혈관이 있습니다.

그 모세혈관을 통해서 세포는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받는것입니다.

신경이 세포분열을 할수 있는것도 혈액의 공급이 이루어져야만 가능한것이지요.

그런데 사람은 태어나면 반드시 죽게 되어 있습니다.

그말은 나이들수록 모세혈관이 막혀 간다는것을 말합니다.

모세혈관이 막히는곳에는 통증, 저림,시림, 점, 기미,주근깨,주름, 닭살,검버섯,사마귀,염증등

모든 병증과 노화증상이 나타나는것입니다.

나이를 먹었다는것은 몸안의 모세혈관이 그만큼 막혀 있다는것을 말합니다.

혈관이 막혀 혈액이 흐르지 못한다는것은 혈액이 탁해진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병이 심한 사람일수록 나이가 많이 들수록 혈액은 더 많이 탁해져 있는것입니다.

사람마다 척추의 틀어짐이 다르고 하는일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나이만큼 모세혈관이 막혔다고는 말하기 어렵지만

대충 자신의 나이만큼의 %정도는 막혀 있다고 봐야 할것입니다.

질문에 50대는 약 50%의 모세혈관이 막혀 있으며

80대이신분의 경우 약  80%의 모세혈관이 막혀 있는것입니다.

이말은 몸을 구성하는 전체세포중 20%만 제기능을 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런 분들을 뜸 몇방으로 병을 해결한다는것은 불가능한것입니다.

 

혈압이란 심장박동뿐만이 아니라 모세혈관이 막힘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것입니다.

모세혈관중에서도 동맥보다는 정맥쪽의 모세혈관과 관계 있는것입니다.

모세혈관이 막히면 막힐수록 혈압은 오르게 되지요.

이것을 고혈압이라고 말하는것입니다.

이는 모세혈관을 열어주어 잘 흐르게 한다면 다시 혈압이 내려가는것입니다.

 

뜸을 뜨니 혈압이 오른다

이것은 뜸이라는 자극을 통해 기가 이동하고 기를 따라서 혈액이 이동하긴 하지만

막혀 있는 부분이 많아서 충분히 빠져나가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혈압이 오르게 된것입니다.

 

몸에 대해서 할말은 참 많은데 글내용이 자꾸 길어지는군요.

더 많은 내용은 원리의술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뜸은 기혈순환시켜주기 위해서  뜨지만 그 흉터는 다시 기혈순환장애를 유발하는곳이 된다는것을

알고 뜨는사람은 없습니다.

 

서양의학의 단점이라면 기혈순환장애를 알지 못한다는것이며

몸 전체를 생각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본다는것입니다.

한의학의 단점이라면 기혈순환장애를 말하면서도 기혈순환시켜주는 방법에 한계가 있으며

경락과 경혈점에 치중되어 있다는것입니다.

 

고혈압을 해결한다는것은 몸전체가 회춘한다는것입니다.

 

유행따라서 뜸을 뜨기보다는 먼저 기혈순환에 대해서 이해하는것이

병을 다스리고 건강을 지키는데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병원.수술.치료♧ > ☎음식.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풍안걸리는법  (0) 2011.01.01
단전호흡 : 문.답  (0) 2011.01.01
百會  (0) 2011.01.01
건강나이  (0) 2011.01.01
복식호흡법  (0) 201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