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가 말하는 아동 성폭력에 대한 실질적인 대처법 | ||||||
아동 성폭력 사건이 일어났을 때 보호자가 당황하면 피해를 당한 아이는 2배 이상의 정신적 충격을 받는다. 사건이 발생한 후, 부모가 신속하게 취해야 할 것들과 아이를 위한 심리치료에 대해 일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소향 사회복지사에게 물었다. 1 자녀가 성폭력을 당했을 때 법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증거채취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2 주로 의료기관을 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의료지원을 받기 전에 주의할 사항이 있다면? 사건 발생 후 즉시 가야 하는데, 입은 옷이나 손·피해 부위를 씻지 않고 사건 발생시의 모습 그대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 항문, 질, 손톱, 머리카락, 음모의 빗질을 통해 증거를 얻기 때문에 샤워나 목욕, 질 세척을 하지 말고 옷도 갈아입지 않고 가야 한다. 3 일련의 사건에서 볼 수 있듯, 의료기관의 거부 등 의료기관에서 부당한 취급을 당했을 때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있나요? 부당한 취급을 당했을 때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제도화된 것이 없다. 대신 성폭력 피해자 치료 전담기관이나 여성 학교폭력 원스톱 지원센터, 해바라기아동센터를 이용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것이다. 4 보통 성폭력 이후 어린이들이 입는 정신적 상해에 대한 통계가 있나요?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정신과 진단율은 많게는 69%까지 나타났다.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포함한 불안장애의 비율이 해마다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장애가 그 다음을 잇는다. 후유증의 심각도 역시 해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체로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약물치료와 심리치료를 함께 요하는 정도의 중증 후유증을 보이는 아동이 9~21%에 해당한다. 5 사건 이후 심리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알고 있는데, 집 안에서 부모님들이 할 수 있는 심리치료가 있을까요?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말 ● 엄마 아빠는 너를 믿어. ● 너 때문에 일어난 일이 아니란다. ● 네가 나쁜 애라서 생긴 일이 아니란다. ● 큰일 날 뻔했구나, 그만하니 참으로 다행이다. ● 다른 아이였더라도 마찬가지였을 거야. 그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할 수 없었겠구나. ● 거기만 아픈 거지, 온몸이 다 잘못된 것은 아니란다. ● 네가 화가 나는 건 당연해. 아이에게 해서는 안 될 말 ● 그게 정말이니? 거짓말 아니니? ● 내가 반드시 복수하고 말 거야. ● 거기를 왜 갔니? ● 그 친구랑 놀지 말라고 그랬지? ● 내가 그런 사람을 조심하라고 그랬잖니? ● 아무나 따라가지 말라고 했잖니? ● 왜 진작 말하지 않았니? ● 그 얘기는 그만하자. 나중에 말하자. ■글 / 이유진 기자 ■사진 / 홍태식(프리랜서), 경향신문 포토뱅크 ■도움말 / 김소향(서울해바라기아동센터 사회복지사) ⓒ 레이디경향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처 : 행복이네마을
글쓴이 : 아줌마 원글보기
메모 :
'♧강의목록1♧ > 성폭.학폭.존스쿨.아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교육 동영상]아우성-자주묻는 질문 (0) | 2010.03.14 |
---|---|
[스크랩] [아동 성폭력 예방&대처법]내 아이는 내가 지킨다! (0) | 2010.03.14 |
[스크랩] 성폭력 ‘형사고소’와 ‘민사소송’ 절차와 방법에 대해 (0) | 2010.03.14 |
[스크랩] 아이들이 집에서 모두 벗고 다니는걸 좋아하는데 그냥 둬도 되는지.... (0) | 2010.03.14 |
[스크랩] 포경수술 정말 안하는게 좋을까요? (0) | 201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