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무용의 변화에 영향을 끼친 무용가
▣강선영 (1925 ~ 現) 중요 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사사 |
한성준 등 |
대표작품 |
태평무, 즉흥무, 초혼, 모란의 정, 심이무녀도, 수로부인 외 다수 |
영향력 |
* 무용인으로서 최초의 국회위원과 예총 회장 역임 -정책적으로 무용계 발전을 위한 선구자적인 역할을 함 * 전통 무용의 문화재적인 인지도와 함께 무대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창작작품의 현대화를 위한 노력을 하였음 - 그러나 현재 태평무 보존·계승을 위한 노력에 심혈을 기울임 * 여성 전통무용의 기교발전을 위해 태평무의 연구와 지속적인 인재 양성을 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태평무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에 심혈을 기울임 |
평가 |
* 한성준 춤의 맥을 다른 각도에서 재해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 한성준에 관한 전통무용의 '춤의 미학'을 강조함으로써 새로운 권위를 마련 함 * 여성적인 전통무용의 인식을 태평무라는 작품으로 활성화함 * 전통무용의 보존과 발전, 그리고 한성준 무용의 계보를 다시 확립하고자 노력함 * 다양한 인재양성을 통해 전통 무용의 계보를 구축하고자 함 * 무용분야 뿐만 아니라 무용의 제도적 장치와 정책적으로 이끌어 가는데 인지도가 높음
|
▣ 김백봉 (1927 ~ 現)
사사 |
최승희 등 |
대표작품 |
부채춤·청명심수·무용극 "심청"·산조·장고춤·화관무·보살춤 외 다수 |
영향력 |
* 한국 신무용을 최승희에게서 맥을 이어 계승, 발전시켰음 * 신무용 발전·계승에 공헌함 * 부채춤 외 다수 작품으로 무용 대중화를 꾀함 * 대학 한국 무용 교육과 국립 무용단 창단에 발전적 계기를 마련함 * 무용의 대중화, 무용극화, 스펙타클한 구조적 틀을 형성하여 한국 신무용 사에 공헌함 * 한국 신무용의 무대화를 꾀함 |
평가 |
* 부채춤, 장고춤, 화관무 - 대표적인 한국 전통무용으로 외국에 널리 알려진 무용으로 평가됨 * 신무용 춤언어의 정립 * 무용인 양성과 저변확대에 노력함 |
▣ 김진걸 (1926년 ~ 現)
사사 |
고목.이채옥.장추화 등 |
대표작품 |
달과 여인, 김진걸의 산조, 김진걸류 산조춤 외 다수 |
영향력 |
*전통무용의 아버지 한성준, 무대예술 무용의 선구자 최승희와 조택원에서 한영숙, 김백봉, 김진걸에 이르는 한국무용계의 흐름 형성 * 국립무용단 창단 멤버로 현대 한국 무용 기틀을 잡음 * 1960 ~ 70년대 활발한 공연활동으로 공연문화를 활성화함 * 김진걸류 산조춤 창시자 |
평가 |
* 선을 강조 - 직선적 표현 * 후진 양성 * 정적이면서 서정적 시의 표현 |
▣ 김천흥 (1909 ~ 現)
사사 |
한성준, 하규일, 함화진, 이수경, 김영재 등 |
대표작품 |
처용무, 춘앵전, 만파식적, 무산향 외 다수 |
영향력 |
* 전통 예술 전반의 발전과 후계자 양성 * 한국 궁중무의 멋과 다양성으로 궁중무용의 재현 - 궁중무의 대가 * 오늘날 한국 전통무용의 수호자로 건재 |
평가 |
* 궁중무용의 맥을 이음 * 궁중 전통무용의 변혁 * 국립국악원 무용 분야의 구조적인 형태를 보전하는데 영향력 발휘 |
▣ 송 범(1926 ~ 現)
사사 |
장추화, 조택원 등 |
대표작품 |
왕자호동, 도미부인, 은하수, 그 하늘 그 북소리, 사바의 유혹, 별의 전설 외 다수 |
영향력 |
* 외국 무용 테크닉의 접목 - 표현의 다양화 * 국립무용단을 이끌면서 세계 무대에 우리 무용을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한 예술가 * 전통 민속 무용과 신무용을 병행하여 국립무용단의 예술관을 정립하였고, 무용극화의 선구자적 인물임 * 대학교수이자 무용예술가로서의 복합된 역할을 지속적으로 활동하며 무용계 전체에 영향력을 과시하였으며 한국 무용의 무대화와 한국적인 소재의 틀을 발레 전통극과 유사한 틀을 정립하는데 주도적이며 적극적인 활동을 함
|
평가 |
* 새로운 장르인 「무용극」의 개척자 * 한국 전통무용을 소재로 서구 무대형식을 도입하여 극화시킴으로 예술적 승화에 기여 * 20C 지속적인 무용극의 틀을 창작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도록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으며 안무가의 성향에 따라 무용에 다양한 표현을 개인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인식시킴. * 전통무용이나 민속놀이를 무용극 속에 단편적으로 활용하여 전통 무용의 기교를 새로운 각도에서 수용·발전시켰음 * 국립무용단을 계기로 하여 많은 국·시립 단체가 생성되어지는데 일조하였고, 국립무용단의 성공적인 외교사절단으로서의 활동에 적극 대처함 * 신무용을 대중화하는 데 일조하였으며 전통 무용과 신무용의 접목, 외국무용의 구조적인 틀을 수용함으로써 무대화에 있어 확대된 무용 예술 규모와 대단원의 장시간 공연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선구자적 노력을 하였음 * 작품에 있어서 곧고 단순한 선의 간결함과 스피드를 부여하여 한국 무용의 동적인 부분을 부각시킴
|
▣ 이매방 (1926 ~現) 중요 무형 문화재 제 27호 승무 등
사사 |
박영구, 이대조, 이창조, 임방울 등 |
대표작품 |
승무, 살풀이, 교방무 외 다수 |
영향력 |
* 전통 예술의 보급과 선양에 공헌 * 국내외 공연을 함으로 국위선양 및 전통 문화 계승 발전에 공로 * 한국 전통무용 부문에 있어서 독보적인 존재로서 인식됨 - 많은 무용인들의 인재양성에 공헌함 * 승무에 있어서 북의 기교를 다양하게 발전시켜 많은 무용인들에게 전수하여 한국전통 북의 기교와 멋을 과시함 * 남성무용의 전통적 무용동작의 기법을 보존·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적극적 활동과 그 틀을 마련하였음. * 전통무용의 대중화와 전통무용의 기교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공헌도, 인지도가 높음
|
평가 |
* 전통무용의 테크닉을 다양하게 구사하여 어깨춤이나 곡선적인 처리, 인간 내면에 내재된 감성을 분출하는 데 있어서 선의 미학으로 처리하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음 * 즉흥적이고도 수양버들처럼 늘어지는 멋을 승무에 접목시켜 한국 무용에 정점이 되는 대표적 작품으로 인식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 남성 전통무용의 선구자적인 인물로 인식함 * 승무, 살풀이의 활성화에 일조함
|
▣ 최 현 (1929 ~ 現)
사사 |
김해랑, 한영숙, 김천홍, 박금슬, 정인방 등 |
대표작품 |
남색끝동, 춘향전, 교방무, 시집가는 날, 군잡, 비상 외 다수 |
영향력 |
* 전통춤의 무대화, 시각화 * 선의 미학을 곡선으로 처리하여 한국 전통무용의 무대화와 다양한 춤의 언어를 구사함 * 전통무용의 무대화를 위해 한국 전통의 미를 극대화시키는데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함으로써 현재까지 많은 후학들에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 * 한국무용의 고전적인 멋을 전수하고자 하는데 최선을 다함 * 남성무용의 멋과 여성적인 섬세함의 조화로서 다양성을 추구 * 무대화를 위한 한국무용의 틀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예술적으로 승화시켜보고자 하는데 인지도를 지님 |
평가 |
* 최 현 춤의 귀결은 「빈 마음, 빈 손이 춤으로 가득하다」 (문예령- 한국일보 1994. 12. 9) * 겉으로 자신을 내세우려 하지 않는 완벽주의자답게 풍류로서 삶과 예술을 동일선상에 놓은 최현의 작품들은 작품이 인품의 반영이다. * 전통춤의 극장화·시각화 작업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 무용가 (동아일보 1998.7.9) * 전통 민속 무용의 골자를 살리면서도 예술적 품격이 높고 춤의 맛이 담백함(서울신문 1998.7.10) * 까다로운 안무자(경향신문 1999.9.15) |
▣ 한영숙 (1920 ~ 1989) 중요 무형 문화재 제27호 승무, 제40호 학무 등
사사 |
한성준 |
대표작품 |
승무, 살풀이, 태평무, 학무 등 |
영향력 |
* 한국무용 기본동작의 틀 마련 * 한성준의 예술성을 토대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창작적 예술세계를 펼침 * 절도와 기개의 고고한 멋으로 변환 * 승무 - 우리 민족 문화의 전통적 정서를 함축하고 있는 작품으로서 무대 무용의 예술적 가치로 발전시킴 |
평가 |
* 살풀이 - 모든 것을 하나로 묶어 오붓하게 담아낸 자신의 전부 * 태평무 - 아름다운 여인의 자태 표현 * 승무 -달인의 경지에 들어선 예인의 완성된 모습 * 학춤 - 엄격한 배움과 기교를 터득하고 표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수련 의 성과 과시(구희서 1992) * 전통무용의 무대화를 이룬 실제적인 무용인으로 곧고 단아하며 단순한 여 백의 미를 잘 처리한 무용가로 평가됨 * 한국 전통무용의 무용가로서 활동을 뛰어나게 인정받아 생존하는 동안 많은 무용인들의 양성과 무용 교육을 위한 마지막 재산을 기증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