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계가 적절하게 신체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해 초래
실험실상으로는 사립체(mitochondria)의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애로 인한 독성 화학물질의 생성, 생성된 독성 물질의
제거 감소의 기전을 통해 분석
임상적으로는 활력징후, 혈액화학 검사, 소변량의 측정, 산소 포화도의 측정 등을 통해 분석
용어의 정의
Bacteremia |
박테리아가 혈액내에 존재하는 상태 |
Septicemia |
병원균이나 병원균 독소가 혈액내에 존재하는 상태 |
SIRS |
2개 이상의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① 발열(구강체온>38C)이나 저체온(<36C) ② 빈호흡(>24회/분) ③빈맥(>90회/분) ④백혈구 증가증(>12,000/uL), 백혈구 감소증(<4,000/uL), >10% band |
Sepsis |
Bacteremia+SIRS |
Severe sepsis |
Sepsis+1개 이상의 장기 기능장애(대사성 산혈증, 급성 뇌증, 핍뇨, 저산소혈증,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또는 저혈압 |
Septic shock |
Sepsis+ 장기 기능장애와 더불어 수액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저혈압(수축기 혈압<90mmHg 또는 평소 혈압보다 40 mmHg이상 적을 때) |
Refractory septic shock |
septic shock이 1시간 이상 지속되고 수액이나 승압제에 반응하지 않는 상태 |
MODS |
한 장기 이상의 기능장애 ① 폐: ARDS ② 신장: 급성 세뇨관 괴사 ③ 심혈관계: hyperdynamic hypotension ④ 중추신경계: 대사성 뇌증 ⑤ 말초신경계: polyneuropathy of critical illness ⑥ 응고계: DIC ⑦ 소화기계: gastroparesis and intestinal ileus ⑧ 간: 급성 비감염성 간염 ⑨ 부신: acute adrenal insufficiency ⑩ 골근육계: 횡문근 융해증 |
분류
일차적인 치료방법에 따른 쇽의 분류
순환량의 보충 |
출혈성 쇽 |
외상 |
|
|
소화기 |
|
|
체강내 |
|
저혈량성 쇽 |
소화기를 통한 소실 |
불감수분손실 | ||
수축 촉진제 |
심근 경색 |
관상동맥 혈전 |
|
|
저산소증이 동반된 동맥성 저혈압 |
|
심근병증 |
급성 심근염 |
심근의 만성 질환 | ||
|
심박동 이상 |
빠른 심실반응이 동반된 심방세동 |
심실빈맥 | ||
심실상부 빈맥 | ||
|
후기 패혈증성 쇽 |
|
|
심근 억제약물의 과량 투여 |
베타 차단제 |
칼슘길항제 | ||
|
심장의 구조적 손상 |
외상 |
심실중격 손상 | ||
유두근 손상 | ||
순환량의 보충과 혈압상승 |
초기 패혈증성 쇽 |
|
|
아나필락틱 쇽 |
|
|
신경성 쇽 |
|
|
약물 중독 |
|
심유출로 폐쇄의 치료 |
폐색전증 |
|
|
심낭압전 |
|
|
기흉 |
|
|
심장판막 기능부전
|
인공판막의 급성 혈전증 |
대동맥판 협착 | ||
|
선천성 심장질환 |
|
해독제, 길항제(antidote) 사용 |
일산화 탄소 |
|
|
메트헤모글로빈혈증 |
|
|
황화 수소 |
|
|
청산가리 |
|
세포 수준
사립체
① 호기성 에너지 생성의 95%를 생산
② 조직 관류 감소 시 가장 먼저 손상을 받는 구조물
③ 부적절한 산소 관류시 Acetyl coenzyme A(Acetyl CoA)의 사립체 내로의 이동 저하
④ 골격근 내에서의 과도한 해당작용으로 인한 피루브산염(pyruvate)의 축적
⑤ ③, ④로 인한 젖산의 축적
전신 수준
생체 기관으로의 혈류량을 유지하려는 일련의 스트레스성 반응
① 흉강 내 중요 동맥벽의 압력 감소
② 압력수용체의 작용으로 교감신경 활성도 증가 및 호르몬 분비 증가
ⓐ 교감신경 활성도 증가 → 심장의 교감신경 활성도 증가 및 말초 혈관 수축
ⓑ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HPA axis)로부터 stress hormone 분비 증가→ 스테로이드, 레닌, 글루카곤의 분비 증가→ 당원분해 증가, 지질 분해 증가→ 젖산의 생성 및 혈류내 분포 증가③ 염증 반응
ⓐ 종양괴사인자(TNF-α)의 작용으로 산화질소(NO)의 생성 증가, superoxide(O2-)와 결합, 사립체에 손상을 주고 ATP 생성을 저해
ⓑ TNF-α가 표면수용체와 결합, 세포핵 내에서 TNF-α와 다른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의 분비 증가
심장 기능
① 저산소증, 동맥 저혈압, 산증에 의한 심근 수축력의 감소는 크지 않다.
② 수축력은 두가지 요소에 의해 조절
ⓐ 세포내 칼슘이 Troponin C와 결합하며 수축력을 증강
ⓑ ATP③심근 수축력 저하의 기전
ⓐ 염증 반응으로 인한 TNF-α, IL-1, IL-6의 생성과 NO의 생성
ⓑ NO로 인한 억제성 G 단백의 생성→ L 형 칼슘 통로를 통한 칼슘 유입의 감소
ⓒ NO로 인한 심근세포 사립체의 직접적인 손상
원인 별 병태생리
출혈성 쇽
|
Class I |
Class II |
Class III |
Class IV |
Blood loss(cc) |
up to 750 |
750~1500 |
1500~2000 |
>2000 |
Blood loss (% blood volume) |
up to 15% |
15~30% |
30~40% |
>40% |
Pulse rate |
<100 |
>100 |
>120 |
>140 |
Blood pressure |
normal |
normal |
decreased |
decreased |
Pulse pressure |
normal or increased |
decreased |
decreased |
decreased |
Respiratory rate |
14~20 |
20~30 |
30~40 |
>35 |
U.O(cc/hr) |
>30 |
20~30 |
5`15 |
negligible |
mental state |
slightly anxious |
mildly anxious |
anxious, confused |
confused, lethargic |
Fluid replacement (3:1 Rule) |
crystalloid |
crystallioid |
crystalloid, blood |
crystalloid, blood |
① 최초 증상: 빈맥
② 산-염기 평형의 이상: 수소이온 농도와 혈압이 정상으로 나타나는 초기에도 나타남
ⓐ 염기 결핍(Base deficit): 정상범위> -2mEq/L
ⓑ 분당 호흡수를 증가시켜 조절③ 1/3가량의 실혈 이후에야 저혈압이 분명해진다.
④ HPA axis를 자극,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시켜 당원분해(glycogenolysis), 지질분해(lipolysis), 경미한
저칼륨혈증을 일으킨다.⑤ 소생술 과정에서의 장기 손상
ⓐ 호중구가 폐 내피세포에 부착하여 모세혈관 유출을 초래,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ARDS) 유발
ⓑ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으로 인한 세포막 손상
ⓒ 염증과 호중구의 산화반응으로 인한 지속적인 미세허혈
패혈성 쇽
① 대부분의 경우 그람 음성균이 원인이나 1/3에서는 원인균이 규명되지 않음
② 지질다당체가 패혈성 쇽의 주된 매개인자
③ 패혈성 쇽으로 인한 세가지 이상 기전
ⓐ 저혈량증: 소화관을 통한 소실, 빈호흡, 발한, 수분 섭취의 감소, 모세혈관 유출에 의한 third space loss
ⓑ 심혈관계 억제: 심근 수축력 감소,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 NO 등에 의한 산화적 인산화 과정의 장애
ⓒ 전신적 염증반응: 폐에서의 모세혈관 유출을 초래, ARDS의 조기 발현, 폐렴 또는 폐 흡인, 저산소증이 저혈량성쇽 보다 흔함
심인성 쇽
① 심근의 40% 이상이 괴사되었을 때 발생
② 수축력의 장애가 주 기전
아나필락틱 쇽
① 비만세포가 주 역할
② 히스타민(histamine) 분비, 혈관 평활근 이완 및 기관지 평활근 수축, 모세혈관 유출을 통한 혈장의 유출
③ 혈소판 활성 인자(PAF)에 의한 말초 혈관 및 관상 동맥, 폐동맥 수축
임상양상
기도의 유지와 호흡의 적정성 평가 및 보조, 순환의 적정성 평가 및 유지
환자의 전신을 노출시킨 상태에서의 이학적 검진
진단
진단 기준
패혈성 쇽, 출혈성 쇽, 심인성 쇽의 분류와 진단 기준
패혈성 쇽 |
전신적 염증반응 증후군(SIRS) |
체온 >38°C 또는 <36°C |
|
|
심박동수 >90회/분 |
호흡수>20회/분 또는 PaCO2<32 mmHg | ||
WBC >12000/mm3 또는 <4000/mm3 또는 band 형이 10%이상 | ||
패혈증 증후군 |
SIRS와 연관된 장기부전 또는 저혈압 | |
(유산증, 핍뇨, 의식 수준의 변화) | ||
패혈성 쇽 |
SIRS | |
수액 공급에 반응 없는 저혈압 | ||
출혈성 쇽 |
단순 출혈 |
맥박수<100회/분, 정상 호흡수, 혈압, 염기 결핍 |
|
저관류가 동반된 출혈 |
염기 결핍<-5mmol, 맥박>100회가 지속 |
출혈성 쇽 |
위의 진단 기준을 충족 | |
심인성 쇽 |
심부전 |
심혈류량 감소의 임상양상 |
|
심인성 쇽 |
심부전 |
위의 진단 기준을 충족 |
출혈의 분류
출혈의 분류는 급성 혈액소실의 양에 근거하고 이 단원에서는 개별적으로 출혈의 생리적 임상적 이해를 목적으로
분류하였다.
분류 사이의 차이는 환자 개인에 따라 분명치는 않다. 하지만 이 분류는 쇼크 상태의 초기 증상과 병태 생리를
강조하기에 유용하다.
① CLASS I 한 unit의 수액으로 치료가능한 상태
② CLASS II 복합적이지 않은 출혈이지만 수액요법이 필요한 경우
③ CLASS III 적어도 수액요법과 수혈이 필요한 복합성출혈
④ CLASS IV 지속적인 처치를 하지않으면 수 분 내에 환자가 죽을 경우
치료
관류상태의 감시
순환 상태의 감시 : 심전도, 산소 포화도, 심박동수, 혈압(2-5분 간격), 소변량(1ml/kg/hr)
정맥로의 확보
① 말초 혈관: 18 gauge 이하인 경우 2개의 정맥로 확보, 16 gauge인 경우 하나의 정맥로 확보
② 심부전이나 신부전이 있는 경우: 중심정맥압의 측정을 위해 중심정맥도관 삽관
목표 지향적인 치료
전신 관류나 생체 기관의 기능의 복구를 의미하는 지표가 필요
폐동맥관내 카테터를 이용
① Lactate clearance index : 유산의 농도가 2mM로 떨어질 때까지 소생술 시행
② 위장관 또는 직장 압 측정: 점막 내 수소이온농도도 측정 가능
환기
신속기관삽관술(Rapid Sequence Intubation)을 선호
심혈관 억제효과가 적은 ketamine이나 etomidate를 사용
기관삽관의 장점
① 흡인을 방지
② 산소화의 증가
③ 급성 호흡 부전을 치료
④ 대사성 또는 과탄소성 산혈증에 대한 초기 치료
⑤ 호흡 시 요구되는 부하의 감소: 산소 운반율 증가
⑥ 기도 저항이 증가했거나 폐 순응도가 떨어진 경우: 양압 환기로 후부하를 줄이고 심실 기능과 심박출량의 호전을 기대
순환량의 보충
중심정맥압을 우심실충만압의 지표로 사용
쇽 발생시 심실이 경직되기 쉬우므로 적정한 순환량의 보충을 위해서는 다소 높은 중심정맥압이 필요
(10~15 cmH2O)
적절한 순환량의 보충 → 소변량이 증가, 혈압의 증가, 유산의 혈중 농도 감소
원인질환의 치료
쇽의 흔한 원인에 따른 치료 지침
출혈성 쇽 |
적절한 환기 및 산소화 유지 |
|
교정 가능한 출혈 요인의 교정 |
|
링거액의 주입(10-20ml/Kg) 또는 5% hydroxyethyl starch 주입(5ml/Kg) |
|
장기 관류 저하의 소견과 30분 이상 출혈교정이 지연시, 농축 적혈구 주입(5-10ml/Kg) |
|
중추신경계 손상이 의심되거나 GCS <9 인 경우 최초 소생술의 시작으로 농축 적혈구 수혈 |
|
심한 산증(pH<6.8)의 교정 |
|
동반되는 심부정맥의 교정 |
심인성 쇽 |
폐부종은 호기말 양압환기와 산소 투여로 치료, |
|
수축력 증가 약제의 사용(dobutamine) |
|
교정 가능한 요인들의 교정 |
|
대동맥 내 풍선 펌프의 설치 |
패혈성 쇽 |
적절한 산소화로 호흡시의 부하를 감소 |
|
정질액(crystalloid) 20ml/Kg 또는 교질액(colloid) 5ml/Kg 정주 |
|
항생제 치료의 시작, 외과적 배액술 또는 소제술 시행 |
|
수액공급만으로 조직 관류가 부적절할 때는 혈관 수축제 사용: dopamine 5 - 15 ㎕/Kg/min 또는 norepinephrine 0.1-1㎕/Kg/min |
아나필락틱 쇽 |
기도와 호흡의 유지 및 보전 |
|
교질 용액 10-20ml/Kg |
|
에피네프린 정주(50-100㎍), 이후 식염수 500cc에 5mg을 혼합하여 주입, 동맥압을 측정 |
|
5-10mg/Kg의 hydrocortisone 또는 1-2mg/Kg의 methylprednisolone 복용 |
중추신경성 저혈압 |
저혈압의 교정(수축기<90mmHg 또는 평균동맥압<70mmHg):, atropine을 정주, 심박동수를 증가 |
|
α 아드레날린성 약물(phelylephrine 또는 ephedrine 10mg을 일시에 주사)을 사용, 혈압을 교정 |
|
소변량이 정상이더라도 혈압을 정상으로 교정 |
측정 가능한 요소들의 교정
수소이온농도
① 중탄산염
ⓐ 혈장 내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CO2)가 세포내로 유입, 세포를 산성으로 만든다.
ⓑ 세포내의 산증으로 심근 수축력 저하 및 부종 발생② 과호흡으로 교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③ 지속되는 심한 산증→ 폐혈관 저항 상승, 심박출량 감소, 부정맥의 발생
④ THAM(tris[hydroxymethyl]-aminoethane)
ⓐ CO2 분압을 낮추고 산증을 교정
ⓑ 심실기능을 회복
ⓒ 조직의 부종을 감소
ⓓ 부작용: 혈관 확장, 고칼륨혈증, 저혈당증
ⓔ 용량: 5-10mg/Kg를 10-15분에 걸쳐 주입
혈색소 농도
① 조직으로의 산소 전달은 혈색소량과 심박출량에 비례
② 혈색소량의 증가로 혈액의 점성이 커지는 경우 심장의 부하를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줄일 수 있다.
③ 출혈성 쇽이나 패혈성 쇽에서는 10-12gm%가 이상적인 혈색소 농도이다.
'♧병원.수술.치료♧ > ☎음식.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기억과 V=RD (0) | 2009.12.13 |
---|---|
전두엽 (0) | 2009.12.13 |
제3의 순환계’ 가설이 보완대체의학 국제심포지엄에 또 다시 제기될 예정 (0) | 2009.12.11 |
발1~2 (0) | 2009.12.11 |
호르몬(8대 분비 기관)과 자율신경 (0) | 2009.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