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 장 미술치료실과 미술 매체
1. 미술치료실
: 적당히 넓은 공간, 충분한 채광, 다양한 미술도구 등이 갖추어지고 치료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곳
공간구성 |
위치 |
․ 외부와의 접근 용이 ․ 치료자의 출입, 활동에서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는 위치 |
분위기 |
․ 치료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표현의 욕구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 ․ 좋은 조명, 적당한 온도 | |
비품과 가구 |
․ 가구 : 치료자에게 자유로운 접근으로 자율성과 창조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 단순하면서 조화를 이루고 벽면을 따라 비치함이 좋다. 가구의 종류 : 정리장, 자료보관함, 싱크대 등 ․ 비품 : 테이블, 의자 치료사와 치료대상자가 나란히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 |
벽과 바닥 |
․ 색상이 밝고 미끄럽지 않으며 청소하기 쉬운 재료 (부드러운 모노륨, 비닐장판 등)․ | |
미술치료실의 크기 |
․ 개인 : 11~14㎡(3~4평) ․ 단체 : 23~28㎡(7~8평) | |
대기실 |
환영하는 분위기 | |
미술활동의 준비와 정돈 |
작업복 착용, 필요한 도구 스스로 챙기기, 도구 정돈, 스스로 손씻기 등 | |
시간구성 |
치료대상, 치료목표, 치료방법, 치료기간과 빈도, 긴 시간을 요구하는 매체의 사용, 특정 활동, 치료 종료 |
2. 치료대상자 특성과 미술매체
: 미술매체는 심상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 하는 중요한 도구
미술매체의 심리 촉진과 통제 |
1.진흙, 물감 : 자발성 촉진 2. 연필, 색연필 : 자기통제가 어려운 산만한 대상자 ⇒ 자기통제, 불균형적인 감정과 행동 조절 3. 강한 연필, 사인펜 : 주의력 결핍, 산만, 과잉행동 대상자 ⇒ 자기 통제 4. 핑거페인팅, 점토 : 경직된 성격의 대상자 ⇒ 퇴행, 이완, 즐거운 감정, 혐오스런 감정 자극 ※ 고려해애 할 예외적인 경우 1. 위축이 심하고 자발적인 자기표현이 어려운 경우의 물감이나 점토 2. 분노와 좌절감 표출을 위해 물감이나 진흙 등을 마구 칠하고 휘젓기 3. 산만행동, 과잉행동에 통제매체의 사용 | |
매체 선택의 일반적 사항 |
폭넓은 정서표현이 가능한 매체 |
단순하고 비구조적인 미술매체( 색종이 등) |
창조적 표현을 촉진시키는 매체 |
치료자가 할 수 있다는 느낌과 무엇인가 이루었다는 성취감을 줄 수 있는 매체 | |
치료대상자 특성에 맞는 매체 |
연령, 성격 특성, 문제에 맞는 매체 | |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매체 |
치료자의 지각 능력, 운동능력, 심리상태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매체 | |
정돈과 보관이 용이한 매체 |
깨끗하게 정돈할 수 있고 손상 없이 보관할 수 있는 매체 | |
치료사가 잘 다룰 수 있는 매체 |
도구의 사용법을 충분히 알고 있는 매체 | |
실용적인 매체 |
치료 시간, 공간, 예산을 충분히 고려한 매체 |
3. 매체의 종류와 활용
1) 화지 : 2차원 매체, 3차원 매체 평면작업에 활용
① 도화지/ 켄트지 : 그림을 그릴 때 사용
② OH 필름지 / 투명지 : 직접 그려 볼 수도 있고 밑그림을 그대로 복사할 때 사용
③ 마분지/ 두꺼운 판지 : 화지나 입체공작 등에 사용
④ 골판지 : 탄력성이 좋아 여러 가지 조형작업에 사용
⑤ 색종이, 한지, 각종 포장지/ 벽지 등
2) 2차원 건조 매체
① 연필 : 세밀하고 정교한 묘사와 대당성과 활기를 표현하는 데 사용
② 하드 색연필 : 섬세한 표현이나 선을 강조하는 데 사용
수채 색연필 : 물과 함께 사용할 때 퍼지는 효과로 넓고 부드러운 선의 효과를 나타낼 때 사용
소프트 색연필
③ 파스텔 : 부드러운 느낌의 색감을 표현할 때 사용
④ 크레파스 : 강한 색채, 다양한 질감과 색의 구별이 가능하여 자유로운 표현에 사용
⑤ 사인펜 : 세밀한 표현과 강한 효과를 내는 데 사용. 단 색의 확장이 어려움
3) 2차원 습식 매체
① 수채화 물감 : 불기, 찍기, 데칼코마니 등에 활용
② 아크릴 물감 : 벽화 공예 등에 활용
③ 유화 물감 : 선을 자유롭게 긋거나 정밀한 명암을 표현하는 데 사용
④ 먹물 : 무의식의 표현이 가능하며 은근한 표현에 사용
4) 3차원 습식 매체
① 점토 : 대 ․ 소근육을 발달시켜주는 것에 사용 ⇒ 긴장 해소, 이완, 원초적 감정 표출
② 마스크 재료 : 자아인식 기법에 사용
③ 풀물감
5) 3차원 건조 매체 : 지끈, 모루, 빵끈, 노끈, 색철사, 선재외의 매체
6) 도구
① 붓 : 2차원 습식매체를 사용하는 데 사용
② 붙이는 재료 : 풀종류, 접착제, 테이프
③ 지우개 : 수정할 때 사용
④ 가위류, 스테이플러, 이젤
'♧강의목록1♧ > 미술.애니어.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도(Mourning)란 일반적으로 의미 있는 애정 대상을 상실한 후에 따라오는 (0) | 2010.01.06 |
---|---|
내 사랑은 어떤 모습일까? (0) | 2010.01.06 |
미술치료/미술매체 (0) | 2009.10.09 |
미술용어 (0) | 2009.10.09 |
◈그림심리분석◈ (0) | 2009.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