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목록1♧/미술.애니어.도형

제 8 장 미술치료실과 미술 매체

花受紛-동아줄 2009. 10. 9. 23:45

제 8 장 미술치료실과 미술 매체

 

1. 미술치료실

: 적당히 넓은 공간, 충분한 채광, 다양한 미술도구 등이 갖추어지고 치료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곳

공간구성

위치

․ 외부와의 접근 용이

․ 치료자의 출입, 활동에서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는 위치

분위기

․ 치료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표현의 욕구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

․ 좋은 조명, 적당한 온도

비품과 가구

․ 가구 : 치료자에게 자유로운 접근으로 자율성과 창조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

           단순하면서 조화를 이루고 벽면을 따라 비치함이 좋다.

           가구의 종류 : 정리장, 자료보관함, 싱크대 등

․ 비품 : 테이블, 의자

           치료사와 치료대상자가 나란히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벽과 바닥

․ 색상이 밝고 미끄럽지 않으며 청소하기 쉬운 재료

  (부드러운 모노륨, 비닐장판 등)․

미술치료실의 크기

․ 개인 : 11~14㎡(3~4평)

․ 단체 : 23~28㎡(7~8평)

대기실

환영하는 분위기

미술활동의 준비와 정돈

작업복 착용, 필요한 도구 스스로 챙기기, 도구 정돈, 스스로 손씻기 등

시간구성

치료대상, 치료목표, 치료방법, 치료기간과 빈도, 긴 시간을 요구하는 매체의 사용,

특정 활동, 치료 종료

 

2. 치료대상자 특성과 미술매체

: 미술매체는 심상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 하는 중요한 도구

미술매체의 심리 촉진과 통제

1.진흙, 물감 : 자발성 촉진

2. 연필, 색연필 : 자기통제가 어려운 산만한 대상자

                        ⇒ 자기통제, 불균형적인 감정과 행동 조절

3. 강한 연필, 사인펜 : 주의력 결핍, 산만, 과잉행동 대상자

                        ⇒ 자기 통제

4. 핑거페인팅, 점토 : 경직된 성격의 대상자

                        ⇒ 퇴행, 이완, 즐거운 감정, 혐오스런 감정 자극

※ 고려해애 할 예외적인 경우

1. 위축이 심하고 자발적인 자기표현이 어려운 경우의 물감이나 점토

2. 분노와 좌절감 표출을 위해 물감이나 진흙 등을 마구 칠하고 휘젓기

3. 산만행동, 과잉행동에 통제매체의 사용

매체 선택의 일반적 사항

폭넓은 정서표현이 가능한 매체

단순하고 비구조적인 미술매체( 색종이 등)

창조적 표현을 촉진시키는 매체

치료자가 할 수 있다는 느낌과 무엇인가 이루었다는 성취감을 줄 수 있는 매체

치료대상자 특성에 맞는 매체

연령, 성격 특성, 문제에 맞는 매체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매체

치료자의 지각 능력, 운동능력, 심리상태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매체

정돈과 보관이 용이한 매체

깨끗하게 정돈할 수 있고 손상 없이 보관할 수 있는 매체

치료사가 잘 다룰 수 있는 매체

도구의 사용법을 충분히 알고 있는 매체

실용적인 매체

치료 시간, 공간, 예산을 충분히 고려한 매체

3. 매체의 종류와 활용

 

1) 화지 : 2차원 매체, 3차원 매체 평면작업에 활용

    ① 도화지/ 켄트지 : 그림을 그릴 때 사용

    ② OH 필름지 / 투명지 : 직접 그려 볼 수도 있고 밑그림을 그대로 복사할 때 사용

    ③ 마분지/ 두꺼운 판지 : 화지나 입체공작 등에 사용

    ④ 골판지 : 탄력성이 좋아 여러 가지 조형작업에 사용

    ⑤ 색종이, 한지, 각종 포장지/ 벽지 등

 

2) 2차원 건조 매체

    ① 연필 : 세밀하고 정교한 묘사와 대당성과 활기를 표현하는 데 사용

    ② 하드 색연필 : 섬세한 표현이나 선을 강조하는 데 사용

        수채 색연필 : 물과 함께 사용할 때 퍼지는 효과로 넓고 부드러운 선의 효과를 나타낼 때 사용

        소프트 색연필

    ③ 파스텔 : 부드러운 느낌의 색감을 표현할 때 사용

    ④ 크레파스 : 강한 색채, 다양한 질감과 색의 구별이 가능하여 자유로운 표현에 사용

    ⑤ 사인펜 : 세밀한 표현과 강한 효과를 내는 데 사용. 단 색의 확장이 어려움

 

3) 2차원 습식 매체

    ① 수채화 물감 : 불기, 찍기, 데칼코마니 등에 활용

    ② 아크릴 물감 : 벽화 공예 등에 활용

    ③ 유화 물감 : 선을 자유롭게 긋거나 정밀한 명암을 표현하는 데 사용

    ④ 먹물 : 무의식의 표현이 가능하며 은근한 표현에 사용

 

4) 3차원 습식 매체

    ① 점토 : 대 ․ 소근육을 발달시켜주는 것에 사용 ⇒ 긴장 해소, 이완, 원초적 감정 표출

    ② 마스크 재료 : 자아인식 기법에 사용

    ③ 풀물감

 

5) 3차원 건조 매체 : 지끈, 모루, 빵끈, 노끈, 색철사, 선재외의 매체

 

6) 도구

    ① 붓 : 2차원 습식매체를 사용하는 데 사용

    ② 붙이는 재료 : 풀종류, 접착제, 테이프

    ③ 지우개 : 수정할 때 사용

    ④ 가위류, 스테이플러, 이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