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필,선♧/哲學.心理學

소크라테스의변명을읽고그의사상엿보기.

花受紛-동아줄 2008. 3. 18. 10:11
소크라테스의변명을읽고그의사상엿보기.hwp

소크라테스의 변명이라는 책은 기원전 399년 플라톤이 소크라테스가 재판 받는 모습을 직접 목격하고,

소크라테스 스스로가 자신을 변호한 연설을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변명으로 발표한 것이다.

이 책은 소크라테스의 생애에 있어 마지 막 부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수공업자 출신의 부유한 민주 파 정치가인 아니 토스의 앞잡이 멜레토스는 소크라테스를 `청년들을 현혹시키고

나라에서 신봉하는 신들을 믿지 않는다` 라고 하여 재판에 고소한다. 소크라테스는 변호인 없이 스스로를 변호하였다.

아니토스는 피혁업자 출신으로서, 펠로폰네소스 전쟁 후에 생긴 30 인 독재 정권을 타도하고 민주 정치를 재건한 민주 파의

주요한 정치가였다. 그러나 그는 소크라테스가 민주제를 비판하고 나서자 그를 위험한 인물로 단정짓고 소크라테스를 고소했다.

사실상 이 고소의 진정한 이유는 아니토스가 민주제를 비판한 소크라테스를 견제하기 위해서였다고 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을 고소한 사람들을 두 종류로 나누고 있다.

하나는 자신을 직접적으로 고소한 멜레토스이고 또 다른 하나는 예전부터 간접적으로 고소하고 있는 소피스트로 분류하였다.

소크라테스는 후자의 고소 (`소크라테스는 천상과 지하의 일을 탐구하고, 약한 주장을 강변하며,

또 이런 일을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치는 범죄자요 공연한 짓을 하고 있습니다.`)에 대해 먼저 변명한다.

그는 소피스트들이 자신을 예전부터 간접적으로 고소하고 있는 이유를 밝힌다.

그는 자신의 제 자이자 충실한 친구인 카이레폰이 델포이에 가서 다음과 같은 신탁을 받았다고 말한다

카레이폰이 무녀에게 `소크라테스 보다 더 지혜 있는 사람이 있는가?`라고 물었고,

무녀는 `소크라테스 보다 더 지혜 있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라고 대답했다. 카이레폰에게서 이 신탁을 전해들은

소크라테스는 의문에 휩싸였다. 그는 신이 거짓을 말 할 리가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 자신은 한번도 스스로를 지자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그 신탁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확인하고 싶어졌다.

그는 궁리 끝에 세상에서 가장 현명하다고 일컫어지는 지자(소피스트)들 을 찾아가 과연 자기보다 현명한지 아닌지 시험해 보았다.

세상에서 가장 현명하다는 지자들(소피스트 : 정치가, 시인, 수공업자)을 찾아가 보았지만,

그들은 자기가 모르면서도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세상의 모든 것을 아는 것처럼 생각하고 있을 뿐,

자기가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소크라테스는 `無知 의 知`를 깨닫고 있었으므로 소피스트들 보다 더 현명한 지자였다.

 소크라테스에 게 모르는 것을 아는 체 했던 소피스트들은 소크라테스에게서 곤욕을 치르게되었다.

소피스트들은 소크라테스를 미워하여 그를 직접적으로 고소하기 위해 정계에 서 유력한 아니토스와 그의 앞잡이인 멜레토스를

부추겼다. 소피스트들의 꼬임에 넘어간 멜레토스는 민주제를 비판한 소크라테스를 위험한 인물로 생각하여 고소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제자이자 충실한 친구인 카이레폰이

---------------------------------------------------------------------------------------------------

누구나 한번은 들어 보았을 기원전 철학인이다. (BC469-BC 399)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시민들과 많은 대화로 가르침을 가졌다.
그 중 메델로스의 젊은 청년의 고발로 법정에 서게 되었고, 사형을 언도 받았다.
소크라테스의 죄명은
“신을 인정하지 않고 아테네 젊은이들을 궤변으로 유혹하여 악의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라는 것이 죄목이었다. 그 재판의 결과를 소크라테스가 변명하는 것이다.
“텔포이의 아폴로신탁소(무당이 점을 처서 앞날을 예언하는 곳) 에서
말하기를 나 보다 더 지혜로운 자는 없다고 합니다. 나는 한 번도 나 자신이
지혜롭다고 생각한 적이 없으므로 이 신탁을 이상하게 여겼습니다.
그래서 전 아테네를 돌며 지혜롭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만나 보았습니다.
그 결과 모두가 한 가지 잘 아는 걸 가지고, 뭐든지 잘 안다는 교만에 빠져 있는
것을 발견 하였습니다.
내가 그들보다 지혜롭다면 스스로 무지를 잘 알고 있다는 점에서 그럴 것입니다.
젊은이들이 이러한 나를 따르며 사람들의 지혜롭지 못함을 알게 되었으니
나는 당연히 사람들의 미움을 사고 누명을 쓰게 된 것입니다”
소크라테스의 변명이 위의 몇 줄로 다 요약했다고는 할 수 없다.
다시 설명하자면 소크라테스가 아테네 젊은이들과 대화를 할 때 질문이
“선이란 무엇인가? 용기란 무엇인가? 착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자기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 였다.
그리고 대화가 끝 날 때는 “아직도 그것은 모른다.” 라는 것이다.

“당신이 많이 알고 있지만 나는 당신이 알고 있는 것 외에
내가 모른다는 것까지 알고 있다”
라는 것이다.
소피스트들은 자기가 모르고 있다는 것을 소크라테스가 알고 있어
미워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너자신을 알라.'
이글을 텔포스 입구에 쓰여 있던 문구다. 소크라테스 한 말이 아니라는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말 했다면
'너가 모른다는 것을 알라'
라고 말하지 않았을까?
소크라테스의 논법은 상대자로부터 로고스(論說)를 끌어내어 무지의 자각
아포리아(통로가 없는 것, 길이 막힌것)로 유도하는 무지를 가장하는 태도 방법이다.
또 상대방이 제출한 논설이나 질문을 거듭함으로써 개념규정을 음미하고 당사자가
의식하지 못했던 새로운 사상을 낳게 하는 문답법이다.
결국에는
“나는 아직도 그것을 모른다는 것”
의 대답을 이끌어 낸다.
소크라테스는 자기스스로 이제 새로운 지혜를 낳을 수 있는 능력이 없으나
다른 사람들이 낳은 것을 도와 그 지혜의 진위를 식별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자기의 활동을 어머니의 직업인 산파에 비유하여 지혜를 낳는 산파술이라고 불렀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학설을 정리 하였다.
아테네 마지막 왕족의 아버지와 법률집안의 딸 사이에 태어난 플라톤은 22세에
소크라테스를 만난다.
소크라테스가 사형을 당하자 아테네를 떠나 있다가 다시 돌아와 아카데미
(세계 최초의 대학)를설립하여 후학에 힘쓴다.
여기에 아리스토텔레스가 17세에 입문하여 플라톤과 인연을 맺는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와서 소크라테스의 학문이 완성된다.
주장하는 것은 서로 다른 이론이 있지만 소크라테스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학계의 주장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다.
정복자 알렉산더 대왕은 정복하는 나라마다 그 나라에 학문을 스승인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보내어 학문을 정리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중용이다. 어느 쪽도 치우치지 않는 중간 설이다.
쾌락도 과잉하면 타락하고, 너무 적어도 재미없다. 선도 지나치면 불편하고, 부족하면
선이 없다.
친절도 지나치면 불편하고 부족하면 친절하지 않다.
따라서 중용을 본성으로 하고 최선으로 하는 덕은 초과와 부족 모두가 악덕이라고 하였다.
플라톤의 아카데미에는 많은 학자들이 나왔다.
의학의 히포크라테스와 수학의 피타고라스(피타고라스의 정의) 수학과 수사학이
공동생활과 학문적 논리, 학문 활동으로 서양철학사의 근본을 세웠고,
이데아론을 창시하였다.
소크라테스 학문이 자연철학에서 관념철학으로 전환하는데 공을 세웠다면
플라톤은 관념철학을 정립하였다. 플라톤의 아카데미는 900년간 지속 되다가
AD 500년에 폐쇄 되었다. 그러나 그의 학문은 지금까지 우리 인간의 관념에 기둥이
되고 있다.
죽음까지도 받아드린 소크라테스는 진리를 위해 죽었다고 한다.
소크라테스가 죽음으로써 진리가 산 것이다.
현실을 소크라테스의 눈으로 비춰보자.
진정 국민을 위한다고 외쳤던 위정자들, 그들은 진정 국민을 위해서 국회의원이 되었고,
대통령이 되었을까? 법을 집행하고 있는 법조계 사람들.
진정 그들은 공정한 집행을 하기로 약속하고는 그렇게 하고 있을까?
의술은 어떨까? 히포크라테스를 선서하고 의사가 된다. 그러나 그것은 형식적이다.
약사는 어떨까? 요즘 세상에 돈 많이 버는 직업을 갖고 있는 귀족들 그들이 세상의
궤변자들은 아닐까?
과연 진실은 살아 있을까?
얼마 전 오형사란 형사가 소신을 갖고 일을 했다.
그런데 모 재벌을 신문하게 된 것이 게기가 되어 상부로부터 곤혹을 당하고 있다한다.
또 모 재벌의 비자금을 세상에 알렸다가 힘들게 싸움을 하고 있는 사람도 있다.
나라의 법은 힘 있는 자 편에 서 있는 것 같다.
진리의 편에 서서 국민들에게서 받은 권력을 국민들을 위해 진실되게 써야 하는데
힘든 모양이다.
소크라테스가 소피스트들의 눈속임 학문을 알리게 됨으로 사형을 당했듯 오늘
날에도 진리는 가식(허식)을 이길 수 없는 모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