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P의 구조적 해석 >
1. 집 그림의 구조적 해석
1) 문 -세상과 자기 자신간의 접근 가능성을 나타낸다.
① 문이나 문의 손잡이를 빠뜨린 경우
: 다른 사람이 자신의 삶, 세계 안에 들어오는 것에 대해서, 또 자기 스스로 세상 속으로
나아가는 것에 대해 불안감, 혹은 저항감을 느끼며, 자기만이 세계에 고립되고 위축되
어 있음.
② 문의 크기 :
· 지나치게 큰 것 - 사회적 접근 가능성이 과다
· 지나치게 작은 것 -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고는 싶으나, 이에 대한 거부감, 두려움,
불편감 등의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다.
③ 세부적인 장식: 예)초인종,우편함- 타인과 세상과의 접근 가능성에 과도하게 집착함의미
지나치게 자세하게 그린 것은 이러한 욕구와 관심을 강박적으로 보상하고 있을 가능성,
혹은 자신의 관계에 대한 보상적 과시나 관계의 피상성을 의심해 볼 수도 있다.
④ 문의 개수 및 위치 :
대문 외에 옆쪽에 문을 하나 이상 더 그리는 경우
: 세상과의 접근가능성에 대한 불편감을 반영한 것
⑤ 문을 가리거나 마지막에 그린 경우 :
· 문을 가린 경우 - 세상 및 타인과의 접근 가능성에 대한 여러 가지 부정적 감정들,
혹은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반영할 확률이 높다.
· 문을 마지막에 그린 경우 - 피검자가 최소한의 대인관계 접촉을 하기는 하지만
다소꺼리고 불편해함, 수줍음, 불안을 느낄 가능성이 있음.
2) 창문 - 대인관계와 관련된 피검자의 주관적인 경험, 자기 혹은 자기대상이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스스로 느끼는 감정
① 창문을 안 그렸을 경우 : 대인관계에 대한 주관적인 불편감, 위축되어 있음
② 창문을 너무 많이 그린 경우
: 과도한 자신의 개방하고 타인과 관계 맺고자 하는 욕구, 때로 지나치게 타인에게
다가가고 타인이 수용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가까워지고자 하는 소망을 반영
③ 창문의 위치 : 대부분 창문은 문 높이보다는 아래쪽에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 지붕의 창문 - 자신의 모습이 드러나는것을 감추고 싶어함을 의미, 내적인 고립감, 위축감
· 창문을 적절히 배열하지 못하는 경우
- 시공간적 조직화 능력의 어려움 반영, 초기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보이는 징후
④ 창문의 크기 : 문의 경우와 마찬가지
⑤ 세부적인 장식 :
· 창문을 가리지 않는 범위 - 환경에 좀더 능동적으로 관여하고 개입하고자 함
· 창문이 가려지는 정도 - 대인관계에서 자신이 상처받지 않도록 보호하려는 방어적 태도
3) 벽 - 자아 붕괴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 즉, 자아 강도와 자아 통제력
① 벽의 형태 :
· 벽이 견고하지 못함 - 자아 강도가 약화, 자아 통제력이 취약
· 벽의 견고함을 강조할 때 - 자아 강도가 강함, 자아위협에 대한 두려움, 예민,
자기를 통제 하고자 하는 과도한 욕구가 있음.
② 벽을 안 그리거나 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 심한 현실 왜곡, 자아의 붕괴, 자아통제력의 와해, 현실 검증력의 손상, 정신분열병환자
③ 벽의 개수와 위치 :
· 집을 2차원적으로 그려 벽을 하나만 보이게 한 경우
- 남에게 보여지는 자신의 부분에 대한 통제, 자신에 대한 제한되고 피상적인 부분만
드러내고자 하는 욕구.
· 앞면과 옆면을 함께 그린 집 - 신경학적 손상, 사고장애, 현실 검증력의 장애 시사.
④ 선 : 휘어지거나 비스듬한 선- 자기 통제력이 매우 약화, 현실 검증력의 불안정.
⑤ 투명성
·벽이 투명해서 안이 보이는 경우 - 자아통제력의 상실, 현실 검증력의 장애.
⑥ 벽돌이나 돌, 통나무 결 무늬 등을 벽에 그려 넣는 경우 :
· 지나치게 정교하고 자세하게 그린 경우
- 사소한것에 대한 과도한 집착, 자기통제감을 유지하려는 강박적,완벽주의적 성격 경향.
4) 굴뚝
· 굴뚝 - 가족 내의 관계와 분위기, 가족들 간의 애정과 교류에 관한 정보를 제공.
· 굴뚝의 연기 - 애정의 욕구, 애정욕구와 관련된 좌절감이나 상실감. 우울감 시사.
※우리나라의 경우 - 동화책이나 그림책에서 보았던 굴뚝을 그리는 경우는 가정 내에서 애정욕구의 좌절이나 우울감이 내재되어 있지만 이를 주로 공상세계에 빠짐으로써 보상한 것.
<우리나라의 경우>
①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그림 :
· 연기가 나도록 그린 것 - 가정 내 불화나 가족 내에서의 정서적 긴장감 반영
· 짙게 많이 그린 경우 - 애정이나 따듯함에 대한 과도한 욕구와 관심,
그것의 좌절감 결핍감.
② 굴뚝을 안 그렸을 경우 : 우리나라에선 안 그리는 경우가 많다.
③ 굴뚝에 벽돌 무늬를 그려 넣는 경우 :
· 지나치게 자세한 그림 - 강박적인 성격 경향을 반영, 가족간의 따듯한 교류와 상호작용,
애정의 교환에 대해 강박적으로 집착하고 있을 가능성.
5) 지붕 - 내적인 공상 활동, 자기 자신의 생각이나 관념, 기억과 같은 내적 인지과정
① 지붕을 안 그렸을 경우 : 사고장애, 현실 검증력의 장애 시사, 정신분열병 환자
② 지붕을 지나치게 강조해서 그렸을 경우
: 내적 공상과 인지과정에 대한 강조, 공상에 많이 몰두하는 아동
③ 지붕의 크기 :
· 너무 크다 - 대인관계에서는 좌절감을 느끼고 위축되어 내면의 공상속에서 즐거움과
욕구 추구 하거나 자폐적 공상에 과도하게 몰두하는 경향.
· 너무 작다 - 내적인 인지과정이 활발하지 않음. 회피, 억제, 억압.
④ 기와나 널빤지를 그려 넣어 정교하게 표현하려 한 경우
: 강박적인 경향. 내적 인지과정, 내적 공상과 관련된 불안감
⑤ 지붕에 문과 창문을 그렸을 경우
: 내적 사고활동을 주된 매개로 세상과 소통함을 의미. 정신 분열형 성격장애 환자.
6) 계단이나 출입로 - 타인과 접촉하고 관계를 맺고 있다는 느낌, 즉 근접성을 의미
① 계단이나 출입로를 안 그린 경우
: 우리나라에서는 계단이나 출입로가 있는 집이 흔치 않으므로 별다른 의미부여하지않음
② 형태 및 위치 :
· 출입로의 너비를 너무 좁게 그리는 경우- 타인과 가까워지는것에 대해 접근과 회피의갈등
· 집의 입구에서는 길을 넓게 그리다가 점차 좁게 그릴 경우
- 처음에는 대인관계에 대해 좀 더 개방적이지만 다른 사람과 가까워질수록 주저하게 됨.
· 현관문 부분에는 좁게 그리다가 점차 넓어지는 경우
- 관계초기에는 다소 주저할 수 있지만 점차 타인수용의 폭이 넓어짐.
7) 집과 지면이 맞닿은 선
- 집의 바닥이 땅에 닿아 있는 방식은 안정성, 현실과의 접촉을 나타낸다.
① 지면선을 안 그렸을 경우
: 선을 안 그리고도 집의 밑부분이 안정하다면 별다른 임상적 의미는 없다.
② 집의 밑바닥 면은 그렸으니 지면 부분은 없는 경우 :
· 외국연구 - 정서적 불안정감. 현실과의 접촉의 불안정성
8) 집을 바라보는 관점
① 위에서 내려다보는 모습으로 그린 경우
: 현재 가정 형편이나 상황에 대한 불만감, 벗어나고 싶은 욕구를 느끼고 있음.
사회적인 가치규준에 대해 거부적인 태도.
② 아래서 위로 올려다보는 모습으로 그린 경우
: 가족관계 속에서 수용되지 못하고 거부당하는 느낌과 애정욕구에 대한 좌절감,
열등감, 부적절감, 자기존중감과 자기 가치감의 결여의 시사.
③ 멀리 떨어져 있는 듯이 그린 집
: 현재 자신의 가족상황에 대해 대처할 수 없다는 무력감을 느끼고 있음.
9) 부수적인 사물을 그려 넣었을 경우 :
① 태양 - 성인의 경우는 부모와 같은 자기대상존재를 갈망하는 것이나.
아동의 경우는 일반적이다.
· 태양을 지나치게 강조한 경우 - 강한 애정 욕구 및 이에 대한 좌절감을 시사.
②잔디나 나무 : 내적으로 생동감과 에너지가 있음을 의미.
출처:http://blog.naver.com/aurora9700/30003923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