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목록2♧/양성평등.불륜.자녀

[스크랩] 미술 재료에 대한 이해

花受紛-동아줄 2011. 6. 21. 11:25

미술 재료에 대한 이해


1. 재료의 선택:

  # 평가적 도구의 기능

  # 단순하고 간단한 재료와 과정을 선호. 그 이유는

        1) 덜 구조적인 재료일수록 개인이 그 안에 투사하는 정도가 강해지기 때문이다.     

        2) 시간 또는 공간상 제한. 

        3) 사용의 용이함. 


2. 미술치료사의 역할

        1) 내담자에게 기술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2) 미술재료의 제한점, 단점, 잠재적 표현력 즉 속성을 파악. 

        3) 적절한 재료를 적절한 시기에 소개할 수 있어야 한다. 


3. 일반적인 미술 재료

        a. 표면: 여러 중량, 질감, 색, 크기의 종이

                여러 종류의 하드보드지

                캔바스

                

                나무

        b. drawing material

                연필: 부드러운가, 딱딱한가, 색이 있는가, 목탄, 일반적으로 저항적

                펜: 잉크펜, 볼펜, felt-tipped

                크레용; 크레파스. 페인트스틱, 분필, 모양이나 크기, 부드러운 정도

        c. painting media

                수채화 물감: 튜브, cake형

                템페라: 가루형, 액체형, cake형

                과슈: 수채용

                손가락 물감 : base에 따라 다양한 질감 표현(비누가루, 물비누, 또는 혼합)

                유채, 아크릴

        d. modeling 재료

                찰흙 : 가마에 굽는 것, 공기 중에 마르는 것, 오븐에 굽는 것,

                        

        e. 입체 구조물 재료

                딱딱한 종이, 골판지. 천, 철사, 털실, 나무, 플라스틱, 비닐, 철, 돌,

        f. 위의 재료들을 다루기 위한 적절한 도구 및 작업대

                가위, 붓, 조각칼, 칼, 스테이플, 끈, 접착제, 그 외의 전문화된 재료.


4. 재료의 속성

  재료는 일반적인 압력을 견딜 수 있을 만큼은 강해야 하며 자신의 기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즉 물감은 물감의 역할을 다할 수 있으면 전문가용을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양질의 재료가 작품을 더욱 완성도 있게 보이게 하지만 항상 비싼 재료가 그보다 가격대가 낮은 재료보다 좋은 것은 아니다.

        1) 유동적 vs. 저항적

        2) 단순 vs. 복잡: 신체적 혹은 정신적 작업의 단계

           ex.  마커 vs. 나무공예 

        3) 구조적 vs. 비구조적 

        4) 고정성 vs. 변화: ex. marker vs. clay 

         

5. 재료 선택 및 제시할 때 고려해야 할 점

        1) 가격

        2) 안전도

        3) 다른 곳에서 쓸 경우에도 가능한지 ex. bedside. 야외

        4) 재료사용의 쉽고 어려운 정도

        5) 내담자의 지각운동적인 능력.

        6) 시간과 공간의 파악

        7) 물, 비누 그 외의 다른 재료 등 환경적 조건.

        8) 미술재료에 대한 정서적, 인지적 반응.

        ex. 손가락 물감 (finger paints) :부드럽고, 촉촉하고 진하고 화려한 색

                                        vs. 너무 과하고 지저분하다.

                찰흙: 기분 좋고 즐겁고 자유자재로 움직이고 부드럽다

                                        vs. 역겹고, 차고 ,부담스럽다.

                나무에 못 박기: 공격적 에너지를 분출

                                        vs. 불안을 가중시키는 금지된 행동

                두껍고 긴 붓: 힘이 있다 vs. 다루기 힘들다.

                나무 결 고르기(사포질): 조심스럽게 다루는 느낌 loving kind of caress

                                        vs. 공포스러운 공격 hostile kind of attack

        9) 재료의 상징적 성질의 이해: 개인적 의미도 포함.

        ex. 도예가에게 찰흙은 구조적이고 저항적이 재료가 될 수도 있고 아동에게는 유동적이고 비구조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

6. 재료의 사용 및 보관

  모든 재료는 사용 후 잘 정돈되어야 한다. 즉 사용한 재료는 원래의 보관 상태로 정리하고 특히 붓이나 팔레트 물감 등은 사용 후  깨끗이 씻어 보관해야 한다. 이렇듯 재료를 잘 돌봄으로써 제한된 재료의 수명과 가치를 증가시키고 내담자에게 재료의 중요성을 은유적으로 일깨우게 된다. 이러한 태도는 나아가 치료사가 재료를 준비하고 보관, 정리하는 것과 내담자의 작품을 진지하게 보관하는 태도와도 연결된다.

출처 : 도형분석상담연구소
글쓴이 : 이른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