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목록1♧/미술.애니어.도형

花受紛-동아줄 2011. 1. 27. 09:02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저핵의 모양


기저핵(미세한 근육을 조절하는 뇌)...이란...

1. 대뇌반구의 백질 내의 깊숙히 묻혀 있는 4개의 핵
 
   미상핵 (Caudate nucleus) ; 선조체의 표층을 이루는 회백질
   렌즈핵 (Lentiform nucleus) = 피각(Putamen) + 담창구(Globus pallidus)
                                             ->선조체(Corpus striatum)
   편도체 (Amygdaloid body) ; 미상핵미가 여기에서 끝나며 피각,
                                              전장의 일부와도 접촉
   전장 (Claustrum) ; 도피질의 내측에서 헨즈핵 사이에 있는 얇고 넓은 회백질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뇌 속에서의 기저핵의 위치


2. 기저핵의 기능(고도로 통합된 것으로서 간단히 정의를 내릴 수 없다)
 
  ; 자동운동(일상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얼굴의 표정,자세,
    보행시의 팔의 움직임 등 인격의 표정과 같은 특징을 표출하는것)이나
    학습운동(보행,학습,수영,자전거타기,춤 등)에 관여한다.
   
    운동 학습시에는 복작한 반복운동은 고정화된 운동형태로서 자동화
    하지만 이와 같은 운동형태는 선조체에 모아져 있을지도.....
    기저핵은 근육긴장, 특히 자세의 유지에 관계하는 근육긴장에도 관여한다.

3. 기저핵에 장애가 오면...
 
  ; 1) 무도병 (빠르고 경련적이며 불규칙한 비반복적인 움직임을 보이거나
                   잠깐 얼굴을 찡그린다거나 머리나 사지를 갑자기 움직이는 것 등)
   
    2) 파킨슨병
        (손이나 안면근에 빠른 빈도의 떨림 및 강직이 자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고, 표정이 굳어져서 무표정하게 되기도함)
     
      - 뇌의 기능이 최대로 약해지게 되면 구조적으로 이상을 주게된다.
        기저핵 중에서 한핵이 문제가 있으면 파킨스시병이 오고 다른 핵에
        또 문제가 오면 무도병(춤추듯 멈추지 않는것)이 온다.
       
        틱이나 뚜렛도 일종인데 아이들보다 어른들이 치료가 그렇게 어려운 것은
        이미 기저핵에 기능이 최대를 넘어 구조적으로 이상이 온것이다.
        하지만 MRI나 CT상에는 기능의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도파민이나 세라토닌 등 많은 세포들에는 각 호르몬들이 모두 공존하는
        것이지 어떤 뇌세포는 도파민, 어떤 뇌세포는 세라토닌 등 절대 따로따로가
        아니다. 한세포에 도파민 호르몬이 부족하다는 것인데 양약은 지금까지
        그 세포 즉, 도파민이 부족한 그세포에만가서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세포의 도파민 호르몬이 작용을 하는것이다.
        그렇게 되면 뇌 전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부작용이 생기는 것이다.

     ; 이러한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자극(뇌에 자극)을 서서히 해줘야 한다.
       뇌 운동을 하는데 피로감을 느낀다면 이미 자기의 신진대사율이 떨어진다.
       자율신경계가 좋으면 신진대사율도 좋다. 운동은 조금씩 자주 하는것이
       좋으며 한꺼번에 많이 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신진대사율이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