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耀)
가족치료(family therapy)
가족치료는 가족 일원 중에 문제가 생기면 그 원인이나 해결 방안이 가족모두가 될 수 있으므로 가족전체가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보는 치료이다.
치료는 가족들간에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하게 함으로써 서로간에 관계를 도모하여 문제 해결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
감각(sensation)
눈, 코, 입, 귀, 촉각과 같은 감각 기관의 자극 뒤에 오는 경험.
감각 운동기(sensorimotor stage)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의 첫 단계를 일컫는 용어로 생후부터 두 살까지를 말한다. 이 단계의 유아는 세상을 자신의 중심으로 생각하며 점차적으로 자아와 타인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시기.
감정(affect)
느낌과 정서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대신 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단어이다. 심리학에서는 느낌, 정서라는 용어 대신 감정이라는 용어를 많이 쓰고 있음.
감정이입(empathy)
배우들과 같이 자신이 직접 경험한 것은 아니지만 그 감정을 이해하고 자기화 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정서적인 경험 이라기 보다는 지적 경험으로 간주된다.
강박적 사고 (obsession)
불안을 유발시키는 사고.
강박적 행동(compulsion)
의식이 추구하는 것에 무의식의 욕구가 억제되어 의식의 반발로 나타나는 무의식적 욕구.
강화(reinforcement)
조건화의 기초로써 자신에게 주어지는 반복 또는 특정한 행동에 보상함으로서 그 보상에 대해 계속 같은 행동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
개념형성(concept formation)
정신적 능력의 한 형태로 언어와의 밀접한 관계로 지능이 사물에 대한 특성 본질 등을 추론해내고 규칙화 시켜 하나의 통합된 범주로 분류하는 것.
검열(censorship)
검열은 정신분석 용어로 스스로가 무의식의 세계에서 자아에 위협적인 존재라고 생각되는 것들을 의식세계에 들어오지 못하게 통제하는 것.
게슈탈트 치료(gestalt therapy)
게슈탈트란 통합되어 있는 구조라는 의미이며 현상학과 실존 철학이 함께 적용되는 치료이다. 여기, 지금 현재의 상황을 중요시하고 다른 사람과의 만남과 관계를 강조한다. 또한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을 스스로가 지지할 수 있게 하고 집단에서 적용하도록 한다. 치료자는 내담자가 선택하고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도와주는 치료임.
격리 불안(separation anxiety)
정신 분석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유아가 어머니의 상실로 인해 겪는 불안 공포 등을 칭하는 것
구강기(oral stage)
프로이드는 구강기를 유아에게 나타나는 첫 번째 단계로 자신의 입을 통한 기쁨에 관심과 만족을 느끼며, 또한 프로이드는 다른 단계와 마찬가지로 구강기의 지나친 불만족과 과다한 만족감은 성장하는데 다른 발달단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함.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s)
구체적 조작기는 피아제의 발달 단계 중 3단계로 일곱 살에서 열 한 살의 아이들의 연령을 말한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이들은 보통 구체적 사물은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은 되나 추상적인 사고에 대해서는 인지 능력이 없는 상태.
굿이너프의 인물 검사(goodenough draw-a-person test)
미국의 심리학자 플로렌스 굿이너프가 개발한 지능 검사이다. 인물검사의 대상은 열두 살 이하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며 검사의 도구는 종이와 연필이다. 방법에 있어서는 내담자에게 자신이 그리고 싶은 사람을 자유롭게 그리게 하는 방법.
꿈(dream)
렘 상태라고도 말하며 잠을 자는 동안 생기는 무의식의 이미지.
꿈꾸는 수면 (dream sleep)
1950년에 렘(REM)이 꿈과 관련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로 인해 많은 심리학자들은 꿈의 생리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 토대를 만들었으며, 꿈꾸는 수면에 대해서는 프로이드와 다른 여러 심리학 학자들의 주장이 분분한데 프로이드는 사람이 꿈을 꾸는 이유는 불쾌한 것들을 좀 더 유쾌한 요소로 전환시키기 위한 해소의 역할이라 했으나 몇몇 다른 심리학자들은 잠을 잠으로써 꿈을 꿀 수 있는 것이라며 꿈은 잠이라는 휴식과 해소의 그저 부수적인 현상으로 간주하기도 했음.
꿈의 작업(dream work)
꿈을 꾼다는 것은 정신분석에서 원초아(id)의 본능적인 욕구들과 의식으로부터 억제 해온 불만들이 무의식적으로 꿈의 주제 또는 소재로 전환되어 활동하는 과정.
꿈의 해석(dream interpretation)
프로이드는 꿈은 무의식 세계의 반영이라 했으며 환자들로 하여금 꿈을 얘기하고 또는 그림으로 그려 그 상징성들을 환자의 병에 단서 또는 근원으로 생각했다. 정신분석에서는 꿈에 관련된 것들을 자유연상 하게 하여 꿈에 포장되어 있는 그 의미를 찾아 분석하는 정신분석학에 기본적인 기법.
(考)
내담자(client)
상담, 심리치료, 미술치료 등을 원하는 사람을 칭하며 인본주의 접근으로 환자를 병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인생에 있어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평범한 사람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비지시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접근을 바탕으로 치료하는 의사나 치료사에게 치료를 받는 사람.
내담자 중심 치료(client-centred therapy)
내담자 중심이라 함은 치료의 중심이 내담자라는 의미로 치료사가 치료의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가 치료의 주체가 되는 치료이며 칼 로저스(Carl Rogers)가 개발한 심리치료의 한 형태이다. 치료에 있어 치료자는 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과 이해를 기본으로 하며 내담자는 의사나 치료사가 정한 특정한 치료를 위한 진단을 받지 않으므로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는 자가치료적인 능력을 기르고 자신의 문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권유받는 치료.
내적 동기 (intrinsic motivation)
외부적인 요인이 동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만족을 느끼기 때문에 어떤 행동이나 활동을 그 만족자체를 위해 행하는 것으로 외적동기와 상반되는 개념.
내향성(introversion)
성격에 있어 그다지 사교적이지 못하고 수동적이며 내부 지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성격으로 외향성과 상반되는 개념.
놀이치료(play therapy)
심리 치료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로 가장 거부감 없이 진단과 치료를 도울 수 있는 치료로 억제된 것에 대한 해소와 위축, 여러 문제에 대한 발산의 경험을 유도하는 치료.
(耆)
다중 성격(multiple)
각 개인 마다 자기 색깔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다중인격이라 함은 이 성격이 두 개 이상 완전한 성격으로 분리되어 한 개인 안에 많은 인격이 살고 있는 성격.
단계 이론(stage theory)
인간의 발달에 대한 피아제의 이론과 같이 불변하는 순서(단계)에 따라 진행되는 이론으로 유아가 성장하여 아동이 되고 아동은 성장하여 성인이 되듯이 각 발달단계들은 성인이 되기까지의 발달단계 과정에 모두 포함되어져 있다.
대상관계학파(object-relation school)
대상관계학파는 인간이 출생부터 두 살까지가 인격, 정서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는 학파로 멜라닌 크라인, 로널드 페어베언과 도널드 위니코 등을 포함하는 영국 정신 분석가들의 집단.
동일시(identification)
정신분석에서는 자신이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 대상의 행동이나 습관 또는 성격 등을 본받아 자신과 그 대상과의 닮은꼴을 만드는 것.
디오니소스적(dionysian)
인간의 본능적, 충동적, 정서적 측면을 고대 그리스의 포도주와 육체적 쾌락의 신인 디오니소스를 통해 빌려온 문화 인류학적 개념.
(?)
리비도(libido)
프로이드는 리비도의 의미를 성적 에너지를 인간행동의 근원이 되는 힘으로 모든 종류의 정신적 에너지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하였으며 오늘날에는 이성적이지 못한 다시 말해 역동적, 성적이라는 비이성적으로 표현되는 에너지를 일컫는 용어로 쓰임.
(耐)
무의식(unconscious)
현실에서 맞지 않기 때문에 의식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자신도 모르게 억제하고 금지했던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정신세계의 영역
무의식은 정신분석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프로이드는 무의식의 세계와 의식적인 세계의 연관성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를 함으로써 인간이라는 존재의 비합리성을 밝혔음.
몰개인화(deindividuation)
자신이라는 주체가 불분명해지는 현상으로 한 무리 속에 일부(군중)가 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한 개인의 정체성과 개성이 다수의 무리 속에서 희미해져 가는 것을 뜻함.
(?)
발달 심리학(development psychology)
인간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나이를 먹고 각기 다른 환경에서 성장하는데서 발생하는 신체적 발달과 심리적 발달 그리고 사회적 변화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한 인간의 총체적인 인간발달사에 대한 심리학 분야.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
무의식과 방어기제는 절대적인 관계로 자아가 무의식적인(초자아, 원초아) 위협과 외부적인 환경으로부터 오는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식으로 투사, 자기 합리화, 승화 부정, 퇴행과 같은 용어들의 의미가 방어기제의 역할을 함.
병리적(pathology)
인간을 이루고 있는 신체와 정신에 대한 문제 즉 질병의 근원을 찾고 연구하는 분야.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
언어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얼굴 표정이나 그림, 신체를 이용해서 자기 표현을 하는 것을 의미함.
비지시적 치료(non-directive therapy)
치료를 위해 미리 준비되어진 해석체계나 진단 검사의 도구가 아니라 치료사의 개입 또는 지시가 어느 정도 배제된 가운데 내담자가 스스로 치료에 대한 모든 것을 선택하고 책임지는 치료이며 치료사는 개인의 갈등과 요구 등을 있는 그대로 수용해야 함.
(?)
색채 대비(colour contrast)
두 색을 두고 어떤 한 색이 반대되는 색의 차이를 강하게 하며 그들 간의 차이가 강해지는 경향성. 예를 들어 청록과 빨강 서로의 색감을 강화시켜서 두 색이 모두 선명하게 보임.
소묘(drawing)
그림을 그리기 이전에 준비의 목적으로 그리는 밑그림으로 연필을 이용하여 그린다. 작품의 목적에 따라서 크로키, 에스키스 등으로 쓰임.
소조(modelling)
입체감을 주는 삼차원적 형태로 점토와 같은 유연성인 오래가는 재료를 사용해 오랫동안 재료를 만지며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재료의 질감이나 특성을 느낄 수 있어야 함.
선천적(congenital)
한 개인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것 반대적 의미로는 후천적이라는 용어가 있음.
성격(personality)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것이지만 각 개인마다 감정과 환경, 행동의 영향으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런 요소들은 모두 인간으로서의 존재를 구성하는 요인들이다. 이런 요인들의 합을 성격이라 함.
성격장애(character disorder)
성격 장애라 함은 미성숙 또는 성숙된 신체를 가지고 있음에도 생활에 대한 무능력함으로 자신과 사회에 긍정적인 사고를 하지 못하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알코올, 마약 중독이나 범죄 등으로 사회문제로 그 장애가 나타나게 됨.
성숙(maturation)
인간뿐만 아니라 어떤 종의 구성원이든 나타나는 성장과 발달 과정.
성 정체감(gender identity)
자신이 여자인지 혹은 남자인지를 인지하고 남성과 여성의 어느 한 성에 자신을 포함시킬 수 있는 것.
스트레스(stress)
어떤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거나 자신이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가 느껴질 때 심리적 또는 신체적인 긴장이 지속되는 현상.
승화(sublimation)
승화라 함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서 방어기제의 하나로 수용할 수 없는 무의식의 부분을 사회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어기제.
심리치료(psychotherapy)
심리치료의 주된 형태는 인본주의적, 인지적, 행동주의적, 정신분석적의 네 가지 형태이며 심리적 장애의 치료를 위해 대상에 따라 위와 같은 심리치료의 형태를 바탕으로 심리치료를 하는 기법.
(?)
아동기(childhood)
생물학에서 출생 또는 유아기부터 열 두 살 전후 사춘기까지의 발달 기간으로 아동기를 정의한다. 이시기는 심리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므로 아주 중요한 시기로 신체와 감성이 성숙되어지고 정체성에 많은 혼란이 생기는 시기임.
애착(attachment)
자신이 아닌 타인과 갖는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 관계를 의미한다. 보통 처음 아이가 엄마에게 느끼는 유대관계를 기술할 때 쓰인다. 애착은 유아들의 생존 방법이므로 유아기의 애착은 인간 발달 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애착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했을 경우에는 성인이 되어 정신 또는 사회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애착 형성(bonding)
사회에서 한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이 서로 좋은 관계로 연결되는 과정을 말하며 특히 유아와 어머니가 서로 정서적인 관계를 형성해 가는데 사용함.
억제(repression)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에서 여러 방어 기제 중 핵심적인 개념으로 원초아로부터 분출되는 갈등과 충동을 억제함이 억제의 본질이며 이는 무의식 속에 침체되어 부정적인 요인으로 표출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의식적 인식으로부터 갈등과 충동을 없애는 것임.
역동심리학(dynamic psychology)
인간 행동은 일관된 동기나 유형이 있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의 변화와 역동성의 다양한 유형들이 모든 원인이 되는 것이므로 인간 행동의 근본적 원인을 이해하고자 하는 심리학 영역.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역전이라 함은 보통 정신분석에서 환자에 대한 분석가의 전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환자에게 느껴지는 감정을 표현할 때 쓰이는 용어.
오이디프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오이디프스는 그리스 작가 소포클레스의 신화에서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결혼한 오이디푸스 신화를 프로이드가 아들이 어머니에게 가지는 무의식적 성적 욕구와 그 욕구로 인해 생기는 아버지에 대한 질투와 미움을 오이디프스 신화에 빗대어 지칭한 것임.
이러한 콤플렉스는 해소되어져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죄의식과 모든 다른 신경증에 원인이 됨.
외적동기(extrinsic motivation)
자신의 마음이 그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보상이나 처벌 등의 힘이 주체가 되어 어떤 행동이나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함.
외향성(extraversion)
활달하고 사교적이며 자신에 대한 표현을 적극적으로 하는 개방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성격. 외향성의 상반되는 의미는 내향성이라고 함.
원초아(id)
신체의 생물학적인 본질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된 욕구로 쾌락 원리가 원초아를 지배하며 원초아의 욕구가 해결되지 않으면 자아에 문제가 생김.
의식적(conscious)
내가 주체가 되어 상황과 환경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또는 자아가 인식하는 것들이라고 함.
이상적 자아(ego ideal)
정신 분석에서 초자아의 한 부분으로 자신이 평소에 존경하거나 우월하다고 생각하고 있던 사람을 두고 자신이 그 대상과 유사해 지고 싶어하는 초자아의 한 부분.
인물화 검사(Draw-a-person test)
인물화는 여러 검사 법 중에 가장 연구가 깊이 진행된 것으로 사람을 그려서 진단하는 기법이다. 인물화 검사는 무의식 속에 내재된 자기상이 잘 나타나는 기법이다.
인간 중심론적(anthropocentric)
어떤 사람은 우주의 중심은 신이라 한다. 그 말은 인간은 신을 위해 존재하며 스스로가 중심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 중심론적이라 함은 이와 반대로 우주의 중심은 인간이며 이 가정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뜻함.
인식(awareness)
의식과 인식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고 많은 심리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자신이 현재의 상황과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아는 것. 의식화시키는 것.
인지(cognition)
인간이 출생해서 죽을 때까지 세상의 많은 것들을 보고 느끼고 배우며 지식을 얻는다. 인지는 이런 모든 정신적 과정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용어임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
인간의 출생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의 정신구조는 시간의 경과함과 함께 더욱더 복잡해진다. 이렇게 정신구조와 과정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방식을 인지의 발달이라 함.
인지는 발달단계에 맞는 자극을 받음으로써 단계에 맞는 인지발달이 이루어진다.
임상(clinical)
책, 영화와 같이 간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병원이나 임상 진료소에서 직접 환자들을 돌보고 치료하는 것을 의미함.
(耗)
자아(ego)
자신에 대한 의식적인 인식으로서의 '나' 초자아와 이드를 적절히 조절해 주는 것이 자아의 역할이다.
자아(self)
자신의 정체감을 의식하는 성격의 한 부분이다.
자아개념(self-concept)
각자 나름대로 스스로가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의 구성요소들.
자아 존중감(self-esteem)
한 개인이 스스로 자신을 사랑하고 아끼는 정도와 타인이 자신에 대한 가치를 얼마나 또는 어떻게 생각하는 지의 정도.
자아 중심성(egocentricity)
타인에 대한 배려 없이 자기 중심적인 성향.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기법 중에 하나로 환자의 무의식에서의 억제, 갈등을 의사나 치료사의 프로그램 된 지시에 따르지 않고 자유롭게 연상하게 하여 그림 또는 언어로써 의식화 시켜 치료사가 분석하는 정신분석 기법.
장애(lesion)
신체적, 정신적인 면에서 유전 또는 사고나 충격으로 인해 생긴 손상.
저항(resistance)
정신 분석의 용어이며, 무의식에서 의식화되기를 거부하는 현상으로 치료자 또는 의사가 자신의 무의식 속에 내용들을 읽는 것을 거부하는 것으로 자신의 억제된 내용들을 의식화시킴을 거부하는 반응.
전의식(preconscious)
무의식과 의식의 중간 단계로 의식상태에는 없지만 자신의 의지로 회상이 가능하며 완전하게 의식화되어진 상태는 아니지만 의식화의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음.
전이(transference)
정신 분석에서 내담자가 중요시하는 사람에 대한 감정을 다른 대상에게 전가시키는 과정.
전조작기(preoperatoinal stage)
2∼7사이의 아이들이 성취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의 단계로 피아제의 발달 단계 중에 두 번째 단계로 이 시기의 아이들의 발달 단계를 총칭하는 말.
진단 검사(diagnostic test)
본격적인 치료에 들어가기 이전에 환자의 병력에 대한 특징 또는 상태 등의 구체적인 진단을 위한 검사로 정신적,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 그 본질과 근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검사.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융 심리학의 핵심으로 개인 무의식과는 반대적이며 태초부터 갖고 태어나는 것으로 학습이나 관습을 통해 교육 된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으로 내재되어져 있는 무의식.
정신 지체(mental retardation)
미국과 영국에서 지능 지수가 70이하의 사람을 기술하는 용어.
정체감 형성(identity)
불변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청소년기에 이루어져야 할 과정으로 자존감, 자아, 에릭슨의 성격 발달 이론의 다섯 번째 단계인 청소년기에 이뤄야 할 과업으로 이때 개인은 자신의 정체감을 찾아야함.
(?)
초기 애착(primary attachment)
인간이 태어나서 엄마에게 애착을 갖게 되는 것처럼 자신이 아닌 다른 대상과 처음으로 관계를 맺는 애착으로 인간이 성장하고 발달하는데 있어 가장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애착.
초자아(superego)
프로이드의 성격구조의 3가지 요소 중 하나로 원초아와 반대되는 의미로 사회적인 규범, 도덕, 윤리적인 면에 있어 철저하게 지키면서 자신의 원초아적인 욕구를 억제하고 통제하려는 심리 또한 현재 '나' 이상의 이상적인 상을 추구하는 것.
촉진(facilitation)
현재의 능력에서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신경전달과 관련되는 현상이다.
(?)
콤플렉스(complex)
콤플렉스는 우리의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무수히 많은 감정적인 요소들이 강조된 심리적인 내용이다.
쾌락 원리(pleasure principle)
쾌락은 마음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로 무의식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본능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원리.
(?)
통합(integration)
통합이라는 단어의 의미 자체가 합으로 서로 다른 것들을 하나로 조직화한다는 과정을 뜻한다. 부정적인 의미보다는 조화로운 통합으로 긍정적 의미로 많이 쓰임.
퇴행(regression)
퇴행은 정신분석에서 방어기제 중 하나로 변화 또는 어떤 계기로 인해 불안을 느끼면 이전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것.
투사(projection)
정신 분석 용어이며 하나의 방어기제로 자신이 의식으로 받아들일 수 없을 만큼 자아에 위협을 느낄 때 사람은 다른 대상(사물, 사람, 그림, 춤 등의 어떤 것이든 상관없이)을 찾아 무의식적으로 대상에게 표출시키는 방어기제.
(?)
페르소나(persona)
외부조건에 맞추고 적응하기 위해 길러진 힘(인격)으로 어원은 연극 가면이라는 의미로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지나친 도덕관념과 사회적 규범 등도 포함되며 페르소나가 많아지면 형식적인 인격이 형성 될 수 있음.
(?)
해체(disintegration)
심리학에서는 성격과 관련해 사용하는데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서 행동을 구성하는 사고, 감정, 등의 여러 요소들이 통합되지 못하고 분리되는 현상으로 정신분열과 같이 상황과 행동이 적절하지 못하거나 말과 행동이 반대로 표현 될 때.
행동치료(behaviour therapy)
행동주의적 이론에 근거하여 환자의 문제가 되는 행동을 제거하고 수정하는 심리치료의 한 형태로 외형적으로 신체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에게 주로 많이 적용되는 치료임.
회상(retrieval)
과거의 기억을 지금 현 시점에서 기억하려 하는 행위.
< 참고문헌 >
쥬디 아론 루빈 저. 김진숙 역《미술심리치료 총론》한국표현심리치료학회, 2001
한국미술치료학회 저.《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대구 동아문화사, 1994
캐시A.말키오디 저. 쇡재영·김진연 역《미술치료》서울, 조형교육, 2000
주디트 루빈 저. 주리애 역《이구동성 미술치료》서울, 학지사, 2001
임창재 저.《심리학의 이해》서울, 형설출판사, 1998
데이비드 스탯 저. 정태연 역《심리학 용어 사전》서울, 이끌리오, 2001
문지원 <미술심리치료의 이론 및 그 적용 가능성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0
주리애 저.《미술치료는 마술치료》서울, 학지사, 2001
'♧강의목록1♧ > 미술.애니어.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MMTIC 검사 (0) | 2011.02.16 |
---|---|
뇌 (0) | 2011.01.27 |
[스크랩] 아동이 그린 그림심리검사 분석과 사례 (0) | 2010.11.26 |
[스크랩] 그림을 통한 심리이해 (0) | 2010.11.26 |
[스크랩]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0) | 2010.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