꽹과리 기초
※ 꽹가리 악기 설명, 연주자세, 연주법, 그리고 호흡법은 1.풍물의 이해편의 4.풍물(굿물)연주법과 2. 장구의 기초편의 1. 호흡법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 일러두기 ... 갠, 갱, 당, 라에는 막음쇠가 들어가고
.지, 다, 그, 응, 웃는 막음쇠가 들어가지 않는다.
.다만, ‘지’ 나 ‘다’가 맨 앞에 올 때는 막음쇠가 들어간다.
.갯, 닷은 치고 울음을 잡아주고
. 뜻, 깩, 딱은 잡고 쳐주는 것을 말한다.
※ 꽹가리의 성질을 이해하고 연주하면 다양한 표현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가장 강한 소리를 내야 할 때는 ‘중앙부위’를 연주하고
보통 소리를 낼 때는 ‘치는 부위’를 친다.
‘튀는 부위’는 쇠가락을 꾸며주는 기술이 요할 때 사용되는 부위이다.
2. 꽹가리 잡는 방법
1) 감는 법
- 감는 법은 꽹가리 면을 거울 보듯이 들고 꽹가리 끈을 아래로 늘여 뜨린다.
왼손 등이 하늘로 향하게 한 후 늘여뜨린 끈 안으로 왼손을 넣어 엄지 손가락을
끈 우측 바깥으로 빼내어 꽹가리를 잡는다. 집개 손가락을 꽹가리 밖으로 내밀고 장지로 꽹가리를 지탱한다. 끈을, 치는 손으로 당겨 집개 손가락에 적당히 감고 엄
지 손가락을 가볍게 꽹가리 전두리에 대는 방법이다. 막음쇠는 나머지 약지와 소
지, 두 손가락으로 한다. 막음쇠가 엷어 맑고 힘있는 소리가 나며 엄지와 함께 막 음쇠를 할 경우에는 강하고 투박한 맛의 쇠가락을 낼 수 있다.
2) 거는 법
- 거는 법은 엄지가 들어갈 만큼의 고리를 만들어 꽹가리 안쪽 두 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끼워 엄지를 끼우고 집개 손가락으로 꽹가리를 지탱해 주는 방법이
다. 막음쇠는 장지, 약지, 소지로 하는 일반적인 유형이다.
3) 넣는 법
- 넣는 법은 손목에 꽹가리 끈을 넣은 채 몇 바퀴 감아서 그대로 손 전체를 꽹가리
안으로 넣는 방법이다. 엄지와 집개 손가락으로 꽹가리를 지탱하고 나머지 손가락
으로 막음쇠를 넣는다.
3. 꽹가리 치기 준비자세
우선 허리를 바르게 펴고 몸과 꽹가리 사이는 한 뼘 정도의 간격을 유지한다. 양 팔의
겨드랑이를 가볍게 들어 꽹가리를 든 팔과 꽹가리 채를 든 팔의 모양이 가슴 앞에서
산 모양이 되게 자세를 잡는다.
4. 꽹가리 치는 요령
- 꽹가리 채는 부드럽게 잡되 너무 세워서 잡지 말고 채의 방맹이가 약간 앞으로 숙
이도록 잡아야 한다.
- 특히 어깨와 손목에 힘을 빼주어 부드럽게 쳐야 한다.
- 손등이 먼저 나가서 손목 안쪽이 먼저 들어오는 방식으로 쳐야 한다.
- 꽹가리는 전두리에서 이어지는 부분이 ‘튀는 부위’이고 그 다음 중앙에서 3분의 2
되는 지점의 원테가 ‘치는 부위’이고 중앙이 ‘울림 부위’이다. 치는 부분에 막음쇠가
들어가게 되는데 막음쇠가 들어 가는 부위에 꽹가리 채로 꽹가리를 치는 것이다.
- 막음쇠는 기본음 ‘당’앞에 순간적으로 손가락으로 꽹가리 뒷면을 붙였다 떼는 동작 을 말한다. 소리를 정확하고 분명하게 내게하는데 쓰이고 막음쇠의 변화에 따라 꽹
가리의 소리가 무한히 다양해 지는 것이다.
- 채를 들어 칠 때는 항상 호흡법에 의해 들어야 하고 전체적인 움직임이 부드러운
곡선이 나오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5. 꽹가리 치는 타법의 여러 가지
1) 직 타법 - 꽹가리의 치는 부분을 치며 일반적인 가락을 칠 때 쓰인다.
2) 박음 타법 - 손목의 움직임이 없이 채의 망뱅이의 힘으로 쇠의 정 중앙을 박아 서 치는 방법이다.
3) 당김 타법 - 손의 힘을 풀고 밑에서 위로 장구의 ‘기닥’처럼 당겨 치는 방법이다.
4) 평 타법 - 손목의 힘을 풀고 손목을 상하동작을 함으로써 쳐지는 방법이다. 꽹가 리의 봉이 딸려와서 흘려쳐지는 타법이다.
5) 수직 타법 - 손목을 굳히고 팔의 상하 동작에 의해 소리를 내는 타법이다. 빠른
가락을 연주 할 때 쓰인다.
6) 흘림 타법 - 꽹가리의 튀는 부분을 이용하여 치는 방법이다. 사선으로 위에서 중
앙 부위로 내려 치는 경우와 안에서 밖으로 밀어치는 경우, 또 채를
수직으로 위에서 아래로 긁어치는 경우가 그것이다. 쇠의 튀는 부위
를 이용하여 가락을 꾸며주는 꾸밈가락을 연주할 때 많이 쓰이는데
손목 움직임 한 동작으로 꾸밈가락과 원 가락 ‘당’을 동시에 튀겨 소
리를 내주는 방법이다.
6. 꽹가리 기본연습
1) ‘당’ 연습
①
②
③
* ν당은 '당' 앞에 순간적으로 막음쇠를 해주는 것을 말한다. 이때 순간막음은 꽹가리
채로 꽹가리를 치기 직전에 꽹가리를 든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꽹가리 안쪽면을 접촉하여 떼어내는 동작을 말한다.
2) '그' 연습
①
②
* ‘당’은 정박으로 세게 정타로 친다면 ‘그’는 ‘당’보다 작은 소리를 내며 막음쇠 없이 손
가락을 열고 작게 치는 것을 말한다.
3) ‘당그’연습
① 직타법 ‘당그’
3쪽 장단으로 치고 타점은 하나이다. 손목을 밀어 쳐 주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가 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② 박음 타법 ‘당그’
쇠외 중앙부분은 밀어 박듯이 쳐서 소리를 낸다.
③ 당김타법 '당그'
치는 손목을 8자처럼 틀어 올리면서 치는 방식이다. 가락은 조여갈 때 많이 쓴다.
④ 평 타법 ‘당그’
채의 방맹이가 거의 중앙에서 있고 손잡이 부분이 위 아래로 흘려지며 부드럽게 펴 서 소리내는 방법이다.
,⑤ 수직 타법 ‘당그당그’
채의 방망이와 손잡이가 일직선이 되게 하고 손목은 굳힌다음 빠른동작으로 수직
운동하여 내는 소리법이다. 아주 빠른 이채가락을 연주할 때 쓰인다.
.⑥ 흘림타법 ‘당그’
흘림타법은 연주하는 쇠의 부위에 따라 크게 3가지 타법으로 나뉠 수 있다.
㉡ 두껑 연주법
쇠 중앙, 위 부분에서 튀는 부분을 이용하여 박아치는 방법이다. 막음쇠 소리가 깊이 있 게 들어가 ‘뚜껑 뚜껑’소리를 낸다. 소리가 커서 마당에서 주로 연주한다.
㉢ 안팎밀음 연주법
연주자 몸 쪽 튀는부위를 이용하여 쇠의 중심원 중앙부위로 흘려치는 방법이다. 안에서
밖으로 튀겨 밀어 연주하는 방식이다.
4) ‘다당-그’ 연습
① 직타법 ‘다당-그’
‘다당-그’는 가락과 가락을 부드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다당-그’의 ‘를’ 타점이 하나가 되도록 직타로 밀어쳐 주는 방법이다.
② 흘림타법 ‘다당-그’
‘다당-그’의 ‘그’를 튀는 부위를 이용하여 안팎 밀음 연주법으로 연주하는 방법이다.
5) 꾸밈 가락 연습
① ‘그라당’
쇠의 튀는 부위를 이용하여 ‘그라’를 연주하고 바로 좀 더 강하게 ‘당’을 쳐준다.
‘그라’를 만들때는 쇠, 중앙,위에서 아래로 튀는 부위를 긁듯이 손 놀림을 하여 만든
다. 유의할 점은 ‘당’을 ‘그라’에 바로 붙여 한 소리로 연주되어야 한다.
② ‘다브르’
쇠의 중앙, 위 부분을 올려쳐 ‘다’를 만들고, 만들자 마자 순간적으로 손목을 엎는 동
작을 통해 ‘브르’를 만든다. ‘다’와 ‘브르’가 떨어져 있지 않고 한 동작으로, 한 소리를 만들어 내야 한다.
③ ‘다브르당’
②번의 ‘다브르’동작에 바로 ‘당’을 붙여 연주하는 방법이다. 이것도 한 동작으로 연주 해 주어야 한다.
7. 꽹가리 가락연습
1) 굿거리
① 굿거리 도입 신호
② 굿거리 도입
쇠 |
1 |
당 |
|
|
당 |
|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2 |
당 |
당 |
|
그라다 |
당 |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3 |
당 |
|
당 |
|
당 |
다다 |
읏당 |
그라 |
당 |
그라다 |
당 |
딱 |
4 |
당 |
|
|
다르 |
---- |
~ |
읏 |
읏 |
당 |
읏그라 |
당 |
딱 |
③ 굿거리 내는 가락
쇠 |
당 |
|
당 |
당 |
|
당 |
당 |
기 |
당 |
당 |
|
당 |
당 |
기 |
당 |
당 |
기 |
당 |
당 |
기 |
당 |
당 |
|
당 |
당 |
기 |
당 |
당 |
다다 |
다 |
당 |
기 |
당 |
당 |
다다 |
다 |
당기 |
다다 |
다 기 |
당기 |
다다 |
다 기 |
다당 |
기 다 |
당기 |
당기 |
다다 |
당 기 |
당 |
당 |
다다 |
읏다 |
당 |
당 |
다당 |
다 |
당 |
당기 |
다다 |
당 |
당기 |
당기 |
당기 |
당기 |
다다 |
당 |
다당 |
응그라 |
당 |
그라라 |
당 |
닥 |
④ 굿거리 연주의 여러 가지
1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2 |
당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당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다다 |
당 |
3 |
당 |
읏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4 |
당 |
당 |
|
당 |
읏그라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당 |
읏그라 |
당 |
다당 |
읏그라 |
당 |
당 |
그라다 |
당 |
⑤ 굿거리 꽹가리 놀이의 여러 가지
( 사례 1)
1 |
당 |
|
다 |
당 |
|
다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
2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당 |
응그라 |
당 |
당 |
|
다 |
3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당 |
응그라 |
당 |
당 |
다다 |
당 |
4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5 |
당 |
그라다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다당 |
읏그라 |
당 |
당 |
그라다 |
당 |
6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당 |
읏그라 |
당 |
그라당 |
읏그라 |
당 |
×2 |
7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
8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9 |
다다 |
당 |
다다 |
읏그라 |
다다 |
당 |
다다 |
읏그라 |
당 |
그라다 |
당 |
딱 |
10 |
당 |
|
|
다르 |
~~ |
~~ |
읏 |
읏 |
당 |
읏그라 |
당 |
딱 |
(사례2)
1 |
당 |
다 |
당 |
당 |
다르 |
르… |
(읏) |
다 |
당 |
당 |
다르르 |
…… |
2 |
당 |
다 |
당 |
당 |
다르 |
르… |
(읏) |
당 |
당 |
당 |
다르르 |
…… |
3 |
당 |
다르르 |
…… |
(읏) |
다르 |
르… |
(읏) |
다르르 |
…… |
(읏) |
다르르 |
…… |
4 |
(읏) |
당 |
|
(읏) |
당 |
|
(읏) |
당 |
|
(읏) |
당 |
|
5 |
(읏) |
다당 |
|
(읏) |
다당 |
|
(읏) |
다당 |
|
(읏) |
다당 |
|
6 |
(읏) |
당 |
(읏) |
당 |
(읏) |
당 |
(읏)당 |
(읏) |
당 |
(읏)당 |
(읏) |
당 |
7 |
당다 |
당다 |
당다 |
당다 |
당다 |
당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다다 |
8 |
다다 |
당 |
다당 |
응그라 |
다다 |
당 |
다당 |
응그라 |
당 |
그라 |
당 |
딱 |
(사례3)
쇠
|
1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
그라당 |
읏 다 |
2 |
응 |
그라다 |
읏 다 |
응 |
그라다 |
읏 다 |
응 |
그라다 |
읏 다 |
응 |
그라다 |
읏 다 |
3 |
당 |
그라다 |
읏 다 |
당 |
그라다 |
읏 다 |
당 |
그라다 |
읏 다 |
당 |
그라다 |
읏 다 |
4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당 |
그라다 |
5 |
당그라 |
다 다 |
당 |
당그라 |
다 다 |
당 |
당그라 |
다 다 |
당 |
당그라 |
다 다 |
당 |
6 |
당그라 |
닷-다 |
당 |
당그라 |
닷-다 |
당 |
당그라 |
닷-다 |
당 |
당그라 |
닷-다 |
당 |
7 |
당그라 |
다다 |
당그라 |
다다 |
당그라 |
다다 |
당그라 |
다당 |
그라다 |
당그라 |
다당 |
그라다 |
8 |
당그라 |
당그라 |
당그라 |
당그라 |
당그라 |
당그라 |
다다 |
다다 |
다다 |
당 |
그라다 |
당 |
9 |
당 |
당 |
다다 |
읏그라 |
다다 |
당 |
다당 |
응그라 |
당 |
그라다 |
당 |
닥 |
⑥ 굿거리 맺는 가락
당 |
당 |
당 |
그라다 |
당 |
당 |
다당 |
응그라 |
당 |
닷 |
당 |
|
2) 삼 채
① 삼채 도입 신호
② 삼채 도입
쇠 |
1 |
당 |
|
기 |
닥 |
|
기 |
당 |
|
기 |
닥 |
|
기 |
2 |
당 |
|
|
다 |
당 |
|
당 |
|
기 |
닥 |
|
기 |
3 |
당 |
|
당 |
|
당 |
|
당 |
|
당 |
|
당 |
|
4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그라 |
닥 |
|
기 |
5 |
당 |
|
|
다 |
닥 |
기 |
당 |
|
그라 |
다 |
당 |
|
③ 삼채 내는 가락
쇠 |
1 |
당 |
|
|
허이 |
|
|
당 |
|
|
허이 |
|
|
2 |
당 |
|
|
당 |
|
|
당 |
|
|
당 |
|
다 |
3 |
당 |
|
|
당 |
|
다 |
당 |
|
그라 |
당 |
|
다 |
4 |
다 |
당 |
|
당 |
|
기 |
당 |
|
그라 |
다 |
당 |
|
④ 삼채 연주의 여러 가지
1 |
당 |
|
그 |
당 |
|
그 |
당 |
|
그 |
다 |
당 |
|
2 |
다 |
당 |
|
당 |
|
그 |
당 |
|
그 |
다 |
당 |
|
3 |
당 |
|
그 |
다 |
당 |
|
당 |
|
그 |
다 |
당 |
|
4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그 |
다 |
당 |
|
5 |
당 |
|
당 |
|
다 |
다 |
읏 |
당 |
그 |
다 |
당 |
|
6 |
다 |
당 |
|
다 |
다 |
다 |
읏 |
당 |
그 |
다 |
당 |
|
7 |
다 |
당 |
그 |
다 |
당 |
그 |
다 |
당 |
그 |
다 |
당 |
|
8 |
당 |
|
당 |
|
당 |
|
당 |
|
그라 |
다 |
당 |
|
9 |
당 |
|
그라 |
당 |
|
그라 |
당 |
|
그라 |
다 |
당 |
|
10 |
다 |
당 |
|
당 |
|
그라 |
응 |
당 |
그라 |
다 |
당 |
|
11 |
다 |
당 |
기 |
다 |
당 |
기 |
당 |
|
그라 |
다 |
당 |
|
12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당 |
|
그라 |
다 |
당 |
|
13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그라 |
다 |
당 |
|
14 |
다 |
당 |
|
그라 |
당 |
|
당 |
|
그라 |
다 |
당 |
|
⑤ 삼채 꽹가리 놀이의 여러 가지
(사례1)
1 |
당 |
|
|
|
|
|
당 |
|
|
|
|
|
× 2 |
2 |
당 |
|
|
당 |
|
|
당 |
|
|
당 |
|
다 |
|
3 |
당 |
|
|
당 |
|
다 |
당 |
그 |
라 |
당 |
|
다 |
4 |
읏 |
당 |
|
당 |
|
다 |
읏 |
당 |
기 |
다 |
당 |
|
5 |
다 |
당 |
|
다 |
다 |
다 |
읏 |
당 |
기 |
다 |
당 |
|
× 2 |
6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기 |
다 |
당 |
|
|
7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 2 |
8 |
다 |
다 |
그 |
다 |
다 |
그 |
다 |
다 |
그 |
다 |
다 |
그 |
× 2 |
9 |
다 |
그 |
다 |
그 |
다 |
그 |
다 |
그 |
다 |
그 |
다 |
그 |
× 2 |
10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
11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당 |
|
당 |
|
다 |
다 |
12 |
읏 |
당 |
|
당 |
|
기 |
당 |
|
기 |
다 |
답 |
|
13 |
당 |
|
|
다 |
다 |
그 |
당 |
|
기 |
다 |
당 |
|
(사례 2)
1 |
응 |
|
|
다 |
당 |
|
응 |
|
|
다 |
당 |
|
×2 |
2 |
응 |
|
|
당 |
|
|
응 |
|
|
당 |
|
|
×2 |
3 |
응 |
|
|
당 |
|
|
당 |
|
|
당 |
|
다 |
|
4 |
읏 |
당 |
|
다 |
당 |
|
당 |
|
기 |
다 |
당 |
|
5 |
다 |
브라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2 |
6 |
다 |
브라 |
다 |
다 |
다 |
다 |
다 |
브라 |
다 |
다 |
다 |
다 |
×1 |
7 |
다 |
브라 |
다 |
다 |
브라 |
다 |
다 |
브라 |
다 |
다 |
브라 |
다 |
|
8 |
다 |
브라 |
다 |
브라 |
다 |
브라 |
다 |
브라 |
다 |
브라 |
다 |
브라 |
9 |
다 |
브라 |
다 |
다 |
다 |
다 |
당 |
|
당 |
|
당 |
|
10 |
브라 |
당 |
|
|
|
|
다 |
당 |
|
|
|
|
11 |
당 |
|
|
|
|
|
|
|
|
|
브라 |
다 |
12 |
당 |
|
기 |
다 |
당 |
|
당 |
|
기 |
다 |
당 |
|
×∞ |
⑥ 삼채 맺는 가락의 여러 가지
1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
딱 |
|
|
2 |
당 |
|
|
다 |
다 |
다 |
당 |
|
|
딱 |
|
|
3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당 |
|
|
딱 |
|
|
4 |
다 |
당 |
|
당 |
|
기 |
당 |
|
|
딱 |
|
|
5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당 |
|
딱 |
|
|
6 |
당 |
|
|
따르 |
--- |
--- |
|
|
|
딱 |
|
|
3) 자진가락
① 자진가락 신호
② 자진가락 내는 가락
1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2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당 |
|
당 |
기 |
③ 자진가락
당 |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 |
④ 자진가락 연주의 여러 가지
1 |
당 |
|
다 |
당 |
응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다 |
응 |
다 |
당 |
|
2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3 |
읏 |
다 |
다 |
당 |
읏 |
다 |
다 |
당 |
읏 |
다 |
다 |
당 |
읏 |
다 |
다 |
당 |
4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⑤ 자진가락 맺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