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아리랑 가사는 왜곡되어 있다.
글./龍海 김순옥
진도 아리랑을 부르자면.
첫 마디에
“문경새재는 왠 고갠가~” 라는
가사로 불리어지고 있다.
학교 음악 책에도 이렇게 수록 되어 있는데
이것은 왜곡되어 있는 것이다.
민요란 그 지역의 용어로써 표현이 되어있는데
왜 진도아리랑이 진도 지역의 수백여수로 이루어진
애환서린 가사에
왜 경북문경의 지명이 들어간단 말인가!
“문경새재”는 그 누군가에 의해
왜곡된 가사다.
이렇게 사용해야 한다.
“문전세재”로
그럼 문전 세제란 ?
1,태어나는 것을 첫 번째 고개(문).
2,인생살이가 두 번째 고개(문).
3,북망산으로 가는 것을 세 번째(문).
"문전세재는 왠 고갠가~~"
이렇게 불리어 져야 옳은 것이다.
*글을 읽는 님들이시여!
이 글을 펌 하시여 가시는 카페에 올려 주소서,
07년12월6일 龍海 순서 구슬
진도아리랑 가사 (중모리)
오다가 가다가 만나는 임은 (팔)폴묵이 끊어져도 나는 못 놓겄네
◈.물 넘메 총각은 절대야 소리 물 길는 큰애기가 한숨이로구나
◈.십오야 밝은달 구름 속에서 놀고 이십안짝 새 큰애기 내 품속에서 논다
◈.저건네 저가시나 엎우러져라 일세나주는 데끼 보듬어나 보자
◈.춥냐 더웁냐 내 품안으로 들어라 비게가 높고 얕차면 이내팔을 비고
◈.허리똥 늘어지고 가느쪽쪽한 큰액아 앞동산 좁은질로 날만 찾아 오너라
◈.치매끈 잘라매고 논 샀 더 니 물 좋고 밭 존데로 신작로가 난다.
◈.신작로 난일도 내 원통한데 지도비 무라는 고지서가 나왔네
◈.저건네 저가시나 앞가심(앞가슴) 보아라 연출 없는 호박이 두통이나 열었네
◈.만주야 봉천은 얼마나 좋아 꽃과 같은 날 버리고 만주봉천을 가는가
◈.일본아 대판아 다 무너져라 육로로 걸어서 임 찾아 가자
◈.니가 잘나 내가 잘나 그 누가 잘 나 은앙수 곳간에 금전이 잘 나
◈.씨업씨 선산을 까투리봉에다 썼더니 시동새 네동새 떼갈보가 나간다
◈.우리딸 때르면 금 산 에 오 기 동네수산에 술집한량 시차처리로 구나
◈.씨보야 갈보야 몸단장 마라 돈 없는 이내 건달놈 나 죽어난다
◈.청초매 밑에다 소주뱅 차고 오동나무 순풀로 임 찾아 가자
◈.신작로 복판안에 솥 떼는 저사람 임 정떨어진데는 못 떼워 주요
◈.육칠월 장마에 삼천게 뜨고 이내야 수단에는 큰애기몸이 동당 떴네
◈.십오야 밝은 달 흔양산(흰양산) 받고 아장아장 걸른것이 갈보로구나
◈.울타리 밑에서 깔비는 총각 눈치만 채고서 떡 받어 먹게
◈.떡은 받아서 망태에 담고 눈치고 채고서 날따러 오게
진도 아리랑
〈정선아리랑〉·〈밀양아리랑〉·〈본조아리랑〉 등 여러 아리랑 중의 하나이다.
진도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부르는데 진도를 비롯하여 전라도지역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
문경새재는 웬 고갠가/구부야 구부가 눈물이고나/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로 시작되는 민요로,
선창자가 부르면 여러 사람이 그 소리를 받아서 후렴을 부르고
다시 선창자가 메기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선후창 형식이다.
여성들이 일을 할 때나 놀 때 부르는 노래로 일정한 기능에 얽매이지 않는다.
특히 노래판을 벌여서 놀 때 가장 많이 부른다.
혼자서 일하며 부를 때는 후렴까지 독창으로 하는데 이때 주로 자탄적인 사설을 느리고 슬프게 부른다. 일판에서는 흥겹고 빠르게 불러 일의 고됨을 덜고 놀 때는 한껏 신명나게 불러서
춤과 노래가 어우러진다.
〈진도아리랑〉은 여성 민요이기 때문에 사설의 화자도 여자이고
그 내용도 여성들의 삶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섬지방 여성들의 구김살없는 신명이 풍부하게 드러난다는 점이
다른 아리랑에 비해 독특한 점이며, 다른 아리랑처럼 근대기의 파란 많은 삶을 노래한
사설도 흔히 볼 수 있다.
한 연의 사설과 후렴이 각기 중모리 두 장단에 맞으며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고
후렴에서 콧소리를 사용하는 것이 독특하다.
진도 출신의 대금 명인 박종기가 이 노래를 만들었다는 설이 있는데
음악적으로는 진도의 전통민요와 같은 성격을 지닌다.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오다가 가다가 만나는 님은 폴목이1) 끊어져도 나는 못 놓겄네
-물너메 총각은 절대야 소리 물질는 큰애기가 한숨이로고나
-십오야 밝은 달 구름 속에서 놀고 이십안짝 새 큰애기 내 품속에서 논다
-저 건네 저 가시나 엎우러져라 일세나 주는 떼끼2) 보듬어나 보자
-춥냐 더웁냐 내 품안으로 들어라 비개가 높고 야차면3) 이내 팔을 비고
-허리똥4) 늘어지고 가느쪽쪽한 큰액아 앞동산 좁은 질로 날만 찾아 오너라
-치매끈 잘라매고 논 샀더니 물좋고 밭 존 데로 신작로가 난다
-신작로 난 일도 내 원통한데 지도비 무라는5) 고지서가 나왔네
-저 건네 저 가시나 앞가심 보아라 연출없는6) 호박이 두 통이나 열었네
-만주야 봉천은 얼마나 좋아 꽃과 같은 날 버리고 만주 봉천을 가는가
-일본아 대판아 다 무너져라 육로로 걸어서 임 찾아 가자
-신작로 복판안에 솥 때는 저 사람 임 정 떨어진 데는 못 때워주요
-육칠월 장마에 삼천게7) 뜨고이내야 수단에는 큰애기 몸이 동당 떴네
-십오야 밝은달 흔8) 양산 받고 아장아장 걸는 것이 갈보로구나
-울타리 밑에서 깔 비는9) 총 눈치만 채고서 떡 받어 먹게
-떡은 받어서 망태에 담고눈치만 채고서 날 따라오게
===========================================
2. 호박은 늙으면 맛이나 좋구요 사람이 늙으면 무엇에나 쓰나
-너영 나영 두리둥실 놀고요 낮에 낮에나 밤에 밤에나 상사랑이로구나
3. 저 달은 둥근 달 산 넘어 가는데 이 몸은 언제면 임 만나 사나
-너영 나영 두리둥실 놀고요 낮에 낮에나 밤에 밤에나 상사랑이로구나
4. 백록담 올라갈때 누이동생 하더니 한라산 올라가니 신랑각시가 된다
-너영 나영 두리둥실 놀고요 낮에 낮에나 밤에 밤에나 상사랑이로구나
5. 높은산 상상봉 외로운 소나무 누구를 믿고서 왜 홀로 앉았나
-너영 나영 두리둥실 놀고요 낮에 낮에나 밤에 밤에나 상사랑이로구나
6. 아침에 우는새는 배가고파 울고요 저녁에 우는새는 임이 그리워 운다.
-너영 나영 두리둥실 놀고요 낮에 낮에나 밤에 밤에나 상사랑이로구나 -반복-
'♧♪音樂♪ 오락♧ > 사물놀이.민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리랑 - 한국무용 - 향당무 (0) | 2011.03.02 |
---|---|
[스크랩] 민요 - 노랫가락, 청춘가, 창부타령 (0) | 2011.03.02 |
강원도 아리랑 / 우리민요 (0) | 2011.03.02 |
너영 나영 (0) | 2011.02.26 |
새타령 (0) | 201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