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1. 관계성 그림
2. 지점토 놀이작업
3. 내 이름 그리기
4. 색 습자지 색 한지 찢어 붙이기
5. 실물판화 (지문찍기)
6. 우리 집 그리기
7. 핑거페인팅 (형태 없이 또는 나무그리기)
8. 석고 뜨기-손
9. 사진 꼴라주
10. 스탠실 기법
11. 찰흙으로 얼굴 만들기
12. 공동벽화 꼴라쥬
13. 만다라
14. 연필난화
15. 그림자그림
16. 긁어내는 그림
17. 어항꾸미기
18. 우드락 판화
19. 도라지꽃 보고 그리기
20. 한지 접시 만들기
21. 사포에 그리기
22. 실로 표현하기
23. 손바닥 찍기 및 핑거페인팅
24. 종이죽 꾸미기
25. 얼굴 꾸미기-아니마, 아니무스
26. 과일 그려서 오려 붙이기
27. 만다라
28. 색종이 색채디자인
29. 과일단면 찍기
30. 펼친그림(데칼코마니)
31. 입체물을 통한 구성
32. 먹지에 그리기
33. 깃발 만들기
34. 찰흙으로 꾸미기
35. 석고붕대- 손 뜨기
36. 집단화-나무 꾸미기
37. 그릇 만들기-도자기
38. 먹물로 그리기
39. 습식 수채화
40. 꼴라쥬
41. 지점토 만다라
42. 물고기 오리고 붙이기
43. 야채 찍기
44. 색종이 모자이크
45. 꽃 만들기
46. 만다라 채색
47. 지점토, 고무찰흙으로 만들기
48. 옥당지에 그리기
49. 꽃동산 꾸미기
50. 벼를 홅아서 시트지에 꾸미기
51. 볏짚을 이용하여 새끼꼬기
노인대상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예
날짜 |
회 기 |
주 제 |
활동 목적 |
활동 내용 |
재료 |
기대효과 |
작업형태 |
|
1 |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
-무의식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새롭게 인식할 수 있다. |
[w.u 잼잼, 짝짝궁 놀이] -도입: 지점토의 느낌을 느껴본다. [오 감을 동원] -심화: 자유롭게 형태를 만들어본다. -나눔: 자신이 만든 형태에 이름을 붙 여보고 연상되는 것을 야기 해 본다. |
지점토, 색 도화지[검정] |
자신의 인지확인 및 오감의 사용을 통해 감각기능 개발 |
개인 작업 |
|
2 |
초상화 그려주기 |
-현재의 자기의 모습을 객관적으로바라 볼 수 있다. |
[w.u 눈을 감았다 뜨기를 반복하기] -도입: 상대방의 얼굴을 손으로 만져 본다. -심화: 상대방의 얼굴을 도화지를 보 지 않은 채 그려 본다. 다음에는 본인 이 모델이 된다. -나눔: 모델이 되었을 때와 그림을 그 릴 때의 느낌 자신의 초상화에서 받 는 인상을 이야기 해 본다. |
색 도화지, 색채도구 |
잊고 있던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다. 상대방의 초상화를 대신 그려 줌으로 상호 작용을 촉진시킨다. |
2인 작업 |
|
3 |
데칼코마니로 우연의 효과를 체험 |
-자신이 기대하지않았던 것으로부터 우연효과를 체험 해 볼 수 있다. |
[w.u 큰 숨 들이쉬었다 내쉬기 반복 3회] -도입: 도화지를 반을 접에 한쪽 면에 원하는 색의 물감을 짠다. -심화: 도화지를 반을 접어 데칼코마니 의 효과를 경험한다. 연상되는 것을 이야기하고 주변에 그림을 그려 넣는 다. -나눔: 다른 사람의 그림을 보고 연상 되는 것을 서로 이야 기해 본다. |
흰 도화지 ,물감 및 색채 도구 |
우연히 나온 그림의 형태를 통해 연상되는 것을 찾아봄으로 기억을 회상 수 있다. |
개인 작업 |
|
4 |
집단 난화 그리기 |
-함께 그리기 작업으로사회성 과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다. |
[w.u 일어서서 몸을 움직인 후 자신이 원하는 자리에 앉 는다. ] -도입: 자신 앞에 놓인 도화지 주변에 둘러앉아 그림을 그 리기 시작한다. -심화: 자신의 영역과 다른 사람과의 영역의 경계를 오고 가며 확장 시 켜 그린다. -나눔: 함께 그린 공동화를 그리면서 느꼈던 감정을 주고 받는다. |
'♧강의목록1♧ > 미술.애니어.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어그램: 9가지 유형의 주요 특성 (0) | 2010.02.11 |
---|---|
미술치료의 실제 (0) | 2010.02.03 |
감정형용사 목록 (0) | 2010.02.03 |
평화 주의자 스타일/자녀의 애니어그램 유형별 특징(9) (0) | 2010.02.03 |
자기 주장이 강한 스타일/자녀의 애니어그램 유형별 특징(8) (0) | 2010.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