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수술.치료♧/☎음식.운동

심폐소생술과 하임리히법

花受紛-동아줄 2009. 10. 23. 23:05

심폐소생술과 하임리히법

심폐소생술  
1. 기도유지


의식이 없는 사람은 기도(숨길)가 막혀있을 가능성이 높 기 때문에, 첫 번째 응급조치로 기도를 열어주어야 합니 다. 한 손을 목뒤에 넣고 다른 한 손을 이마에 댄 후, 목 을 들고 이마를 밀면 목부위가 뒤로 젖혀집니다. 목이 젖 혀지면 이마에 있는 손은 그대로 둔 채, 목 뒤의 손을 빼 내어 턱 끝을 들어 올리면 기도가 열립니다. 턱 끝을 들 어 올릴 때에는 턱의 뼈 부분을 들어 올려야 합니다. 뼈 부분이 아닌 곳을 누르면 오히려 기도가 막히게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인공호흡법


인공호흡을 할 때에는 기도가 잘 유지되고 있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인공호흡은 입-입으로 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도 유지를 위하여 턱을 들어 올리고 있던 손으로 환자의 입을 열고, 이마를 누르고 있던 손으로 환자의 코를 잡아서 코를 막습니다.(이 때에도 기도가 잘 유지되도록 목이 젖혀져 있어야 합니다.) 자신이 숨을 들이쉰 상태에서 환자의 입에 자신의 입을 대고 1초 정도 숨을 불어넣습니다. 숨을 불어넣을 때에는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를 확인합니다. 숨을 불어넣은 후에는 입을 떼고 코도 놓아주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합니다. 2번의 입-입 인공호흡을 한 후에는 혈액순환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합니다.혈액순환을 확인하려면 맥박을 만져보아야 하지만, 심장마비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맥박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입-입 인공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호흡, 기침, 손발의 움직임이 전혀 없으면, 심장이 멎은 것으로 판단하고 가슴 압박을 시작합니다.

   

3. 심장압박법


가슴의 정 중앙에서 약간 아래 부분(흉골의 아래쪽 절반)을 압박하여야 하므로, 젖꼭지를 연결한 선의 중앙에 한 손바닥을 올려놓고 그 위에 다른 손을 겹칩니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가슴뼈를 밑으로 누릅니다. 성인에서는 두 손으로 가슴이 4-5 cm정도 눌릴 정도의 강도로 압박합니다. 압박할 때에는 양팔을 쭉 편 상태에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에 수직이 되게 눌러야합니다. 30회의 압박이 끝나면 2회의 인공호흡을 합니다. 압박을 할 때에는 ‘하나’, ‘둘’, ‘셋’, ---, ‘서른’ 하고 세어가면서 압박을 해야 합니다. 가슴압박은 1분당 100회의 속도로 시행합니다. 5 차례(약 2분)의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시행한 후에는 환자의 상태를 다시 평가하여야 하며, 순환-호흡-의식의 순으로 확인을 합니다. 순환이 없는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계속하고, 순환은 있으나 호흡이 없으면 인공호흡만을 계속합니다. 순환과 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를 옆으로 눕혀 주어서 기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합니다.



하임리히 법

 

※ 기도가 완전히 폐쇄됐거나 의식이 없는 환자의 복부를 압박하는 응 급처치법으로 샴페인 마개를 터뜨리는 효과와 원리가 비슷하다. 우리말 로 ‘복부 밀쳐 올리기’라고도 한다.

   

● 복부밀쳐올리기'를 위해 구조자는 환자의 뒤에 서서 주먹을 쥔 채 엄지손가락 쪽을 환자의 배 중앙에 놓는다.

   

● 구조자는 다른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고 환자의 배를 등 쪽으로 강하게 밀쳐 올린다.

   

● 구조자는 환자의 입에서 이물질이 배출됐는지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