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필,선♧/哲學.心理學

1. MMPI의 역사와 발달

花受紛-동아줄 2009. 9. 20. 22:56

1. MMPI의 역사와 발달
Starke R. Hathaway와 Charnley McKinley가 미네소타 대학에서, 정신과 병동에서 성인 환자를 평가하고 장애의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며, 심리치료에 따른 변화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도록 돕기 위하여 1939년에 만들었다.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험적 준거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즉 처음에는 어떠한 이론적 입장 위에서 검사를 개발하기 시작했지만 최종적으로 특정문항을 선택하고 제외시킬 것인가는 환자집단의 반응에 의거하였다.
2. MMPI의 신뢰도와 타당도
시간적 안정성과 내적 일관성이 중간 정도이다.
문제는 척도 구성에 있다. 특히, 여러 척도들이 서로 중복되어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구성되어 있다. 척도간에 상관관계가 높은 이유 중 일부는 원래 문항을 선택할 때 정상집단과 임상집단을 비교하여 반응에 차이가 나는 문항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신뢰도와 척도구성의 문제는 MMPI의 타당도에도 문제를 일으킨다. 심지어는 Rodgers(1972)는 MMPI가 ‘심리측정적 악몽’이라고까지 하였다.
3. MMPI의 실시방식
16세 이상이며, 중학교 2학년 정도의 독해력이 갖춰진 사람에게 실시 할 수 있다. 실시자는 검사하는 이유와 결과가 어떻게 사용될지를 내담자에게 설명해 주어야 한다.
MMPI가 너무 길다고 생각하여 여러 단축형이 개발되었지만 현재로서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충분하지 않다. 검사를 실시할 때는 지시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해주고, 내담자가 지시를 충분히 이해했는지를 확인하며 적절히 감독하고 주변의 소음이나 방해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검사에 집중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4. 검사의 해석
1) 타당도 척도
(1) ? 척도(무응답 척도, Cannot say, ?)
답하지 않응 문항이나 ‘네, 아니오’ 둘 다에 답한 문항의 합이다. 원 점수가 30점 이상이면 임상척도의 점수를 저하시킬 수 있고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더 이상 채점하지 않는다.
(2) L 척도(거짓말 척도, Lie)
피검사자가 자신을 기술할 때 비현실적일 정도로 이상적인 모습을 얼마나 보여주려 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점수가 높은 사람은 지나치게 완벽하고 이상적인 모습을 꾸며대는 경향이 있다.
(3) F 척도(infrequency)
대답이 얼마나 비전형적인지 그리고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를 측정한다. 높은 점수는 정신병이나 실직, 이론, 사별 등에 의한 혼란된 감정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4) K(교정) 척도(Correction, Defensiveness)
내담자가 나신을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측정하는 문항이다. 이 점에서는 L척도와 유사하지만 K척도가 더 미묘하고 효과적이다. 순진하고 도덕적이고 세련되지 않은 사람은 L척도의 점수가 높은 반면, 지적이고 심리적으로 세련된 사람들은 K척도의 점수가 높다. 사회경제적, 교육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K척도의 점수가 다소 낮으므로 해석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일반적 타당도 척도 패턴에 대한 해석
․ 감정적, 정신적 어려움과 인간의 취약성에 의하여 타당도의 형태가 다양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L, F, K 형태로 설명할 수 있다.
․ 타당도 척도 기준에 의한 남

----------------------------------------------------------------------------------------

심리검사 시간에 MBTI, WAIS, 이화방어기제 검사에 이어 MMPI 검사를 하면서 다시 한번 내 성격을 상세히 분석하고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MMPI는 피검자에 대한 가설을 제공할 뿐 확실하고 완전한 해석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기에, 전문적 지식을 갖추지 않은 나로서는 접근과 해석에 있어 다소 조심스러웠다. 특히 MMPI는 응답태도에 따라 해석이 크게 좌우되므로 타당도 척도 L, F, K는 가능한한 신중하고 확실하게 검토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타당도 척도의 점수를 보고 나의 검사수행 태도를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런 후 각 척도들의 점수와 상승 정도를 살펴보고 방어기제검사 결과와 연관지어보면서 ‘적응수준’과 ‘성격적, 행동적 특성’을 파악하여 나름대로 진단을 해보았다.
2. MMPI
MMPI는 1940년대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학의 심리학자인 Stark Hathaway와 정신과 의사인 Jovian Mckinley에 의하여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졌다. 일차적인 목적은 정신과적 진단분류를 위한 측정으로, 일반적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경험적 방식에 따라 검사가 제작되었는데 검사의 전체적인 제작과정이 경험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원문항들이 정신의학적 진단과 관련되는 기존의 내용영역과 주제를 고려하여 선택되었기 때문이다. 집단 간 비교 방식으로 8개의 임상척도 가 구성되었는데 이들 척도들은 Hs(건강염려증), D(우울증), Hy(히스테리), Pd(반사회성), Pa(편집증), Pt(강박증), Sc(정신분열증), Ma(경조증)이었다. 또한 Hathaway와 Mckinley는 그 당시의 다른 검사와는 달리 타당도 척도를 포함시켰는데, 자기보고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검사수행 양식이나 태도에 따라 지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것이다. 다른 두 개의 임상척도 Mf, Si 척도는 나중에 추가되어 1946년에 MMPI 척도 구성이 완료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MMPI는 4개의 타당성 척도와 10개의 임상척도, 총 문항 수 55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렇듯 MMPI는 개인의 인성 특징의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하기 위함은 물론, 비정상적이고 불건전한 방향으로 진전될 가능성을 미리 찾아내어 예방 및 지도책을 도모하기 위한 검사이다.